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임실의 재실
(보기 : 일자별구성)
▶ 지식지도
(A) 목차
발간사
임실읍
청웅면
운암면
신평면
성수면
오수면
신덕면
삼계면
관촌면
강진면
덕치면
지사면
정자편
about 임실의 재실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임실의 재실 ◊
▣ 주요 키워드
▣ 공개 페이지
◈ 최근등록순
2024.01.05
오수 주천리 화락정(和樂亭)
【향토】 화락정은 오수면 주천리 마을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주천리 노산아래에 자리 잡은 화락정은 현풍곽씨 문중에서 마을의 부노(父老)들이 서로 모여 저수지 위에 높고 시원한 땅을 골라서 물가 쪽에 돌을 쌓고 정자 하나를 세우고서 화락정(和樂亭)이라고 이름 하였다.
2024.01.05
오수 오암리 용두정(龍頭亭)
【향토】 임실군 오수면 오암리 오촌마을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옆 산자락에 칠우대(七友臺)가 위치해 있고 칠우대 산자락 중간에 있다. 또한 봉천리 냉천마을 뒤편에는 오노유상대(五老遊上臺)가 있어 이곳은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유명한곳이다.
2024.01.05
관촌 덕천리 영벽정(暎碧亭)
【향토】 영벽정(暎碧亭)은 관촌면 덕천리 사선대 입구 산자락에 있다. 팔작지붕 아래 정면 2칸, 측면 2칸의 구조로 1935년에 지었으며, 영벽정기 등 9개의 현판이 있다. 누각 왼쪽에는 1989년도에 후손들이 청주인 한동석이 찬(撰)을 하고 김해인 김호균이 글씨를 써서 세운 ‘영벽정기적비’가 있고, 그 뒤편 바위에 영벽정을 창건한 기념으로 단기 4268년(1935) 乙亥 7월에 창건자 명단을 새긴 암각서가 있다.
2024.01.05
덕치 물우리 월파정(月波亭)
【향토】 덕치면 물우리 섬진강변에 세워진 월파정(月波亭)은 조선식 건축양식으로 정교한 조각과 우아한 선, 화려한 단청이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져 선경(仙境)을 빚어놓고 있다. 특히 섬진강 맑은 물이 급류로 흐르다가 바위 사이를 감돌아 월파정 아래에 이르면 소(沼)가 되어 유유자적하며, 강기슭의 기암괴석과 천 년 묵은 낙락장송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 마치 한 폭의 산수화를 연산하게 하고 있다.
2024.01.05
안하리 관경재(觀敬齋)
【향토】 이 재실은 지사면 안하리 매남 동쪽 언덕너머 관기리 쪽 기슭에 외따로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 기와집으로 현판이 2개 있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성주 이씨(星州 李氏)의 선조 이덕겸(李德謙)의 재실로 성주 이씨 문중에서 1800년(?)에 세웠다.
2024.01.05
계산리 영사재(永思齋)
【향토】 지사면사무소에서 오수 쪽으로 가다가 중간 지점에 계산리 의암마을이 있으며, 마을에서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영사재(永思齋)는 팔작 기와지붕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 구조로 양쪽에 공방이 있으며 현판이 5개 주련이 7개 걸려있다.
2024.01.05
사곡리 영모재(永慕齋)
【향토】 덕치면 사곡리 자경마을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함안조씨 사인공파의 재실로 입향조인 조평 선생을 위한 재실로 관리되고 있다. 정면 4칸에 측면 2칸의 팔작 함석지붕으로 비교적 튼튼하고 고풍이 서려 있으며 현판이 1개, 주련이 5개 걸려있다.
2024.01.05
사곡리 서륜재(叙倫齋)
【향토】 이 재실은 덕치면 사곡리 자경동에 있으며 경주 이씨(慶州 李氏)종중의 재실이다. 무인년 봄에 묵은(黙隱) 이규상(李奎祥)이 비로소 완성하고 현판을 썼다. 정면 3칸에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지붕은 함석으로 이어져 있다. 내실에는 6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2024.01.05
백련리 추모재(追慕齋)
【향토】 청웅에서 강진면 경계를 지나 첫 마을인 신기마을에서 백련산 쪽으로 1.5km쯤 가면 함양박씨 재실인 추모재(追慕齋)가 있다. 상량문에 단기4283년 庚寅 2월 13일 건립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정면 4칸 측면 3칸으로 시멘트기와 팔작지붕이며, 추모재기 등 4개의 현판이 걸려 있다. ‘추모재(追慕齋)’란 편액은 각을 하지 않고 써져 있는 상태로 박봉희의 낙관이 있다.
2024.01.05
백련리 영사재(永思齋)
【향토】 청웅에서 강진 방향으로 가다가 중간에 호국원을 지나 백련리가 있고, 백련리마을을 거쳐 북쪽으로 300m 정도에 영사재(永思齋)가 있다. 영사재는 전주 이씨 재실로 통정공 10세조를 모신 재실로 상영(尙榮)의 10대조부이시다. 상량문을 보면 ‘숭정기원후 5무신 5월초’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908년에 세운 재실이며 문간 또한 단기 4316년이라고 적혀 있어 서기 1983년에 세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조회순
2024.01.01
신안리 영모재(永慕齋)
【향토】 이 재실은 임실읍 신안리 정촌 마을에 있다. 임실 초등학교에서 현곡리 쪽으로 쉰재를 넘어 신안리 정촌마을에 이르면 마을 숲을 이루는 곳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함양 오씨(咸陽 吳氏)의 입향조 오변하(吳變夏)의 재실로 문중에서 세웠다. 원래는 심곡사(深谷祠)의 강당으로 세워졌으나 뒤에 후손들에 의해 건물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건축하여 재실로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980년 중건한 것이다.
2024.01.05
오수 주천리 화락정(和樂亭)
【향토】 화락정은 오수면 주천리 마을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주천리 노산아래에 자리 잡은 화락정은 현풍곽씨 문중에서 마을의 부노(父老)들이 서로 모여 저수지 위에 높고 시원한 땅을 골라서 물가 쪽에 돌을 쌓고 정자 하나를 세우고서 화락정(和樂亭)이라고 이름 하였다.
2024.01.01
갈마리 경성재(敬誠齋)
【향토】 이 재실은 임실읍 갈마리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강화노씨(江華 魯氏)의 재실이다. 입향조는 노여(魯輿)로 자는 덕운(德運)이며 호는 송재(松齋)니 효간공의 아들로 창녕부사를 지내셨다. 무진년 고려 창왕 1년(1388) 정월에 현량과에 올라 진현전 제학에 이르렀다.
2024.01.03
【향토】 오수면 주천리 마을 안뜸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귀노재(歸魯齋)는 곡성 현감을 지낸 곽득형(郭得亨)의 재실로 팔작 기와집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이 지역에 거주하는 현풍 곽씨 문중에서 1922년에 지었다. 귀노재 편액은 효산 이광열이 썼으며, 건물 안에는 3개의 현판과 6개의 주련이 있다. 담장을 사이에 두고 삼계사(三溪祠)가 있다.
2024.01.05
오수 오암리 용두정(龍頭亭)
【향토】 임실군 오수면 오암리 오촌마을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옆 산자락에 칠우대(七友臺)가 위치해 있고 칠우대 산자락 중간에 있다. 또한 봉천리 냉천마을 뒤편에는 오노유상대(五老遊上臺)가 있어 이곳은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유명한곳이다.
2024.01.03
덕계리 노양재(魯陽齋)
【향토】 오수에서 삼계 소재지로 가는 도중 덕계리 모가울마을로 우회전하여 600여m를 안쪽으로 가다가 보면 노양재(魯陽齋)가 외따로 떨어져있다. 이 재실은 양천 허씨 문중에서 지어 관리하고 있으며 선조 매예(梅裔) 허변(許.)의 재실이다. 팔작지붕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시멘트기와지붕으로 되어 있다. 건물 내에는 주련이 5개가 있으며, 현판 2개가 있다.
2024.01.01
금기리 운암재(雲巖齋)
【향토】 이 재실은 운암면 금기리에 있다. 이 재실은 남양 홍씨 홍우경(洪宇慶)의 재실이다. 홍우경(1558~1617)의 자는 기서(箕瑞), 호는 운애(雲涯), 본관은 남양이며 출생지는 임실이다. 호은공(湖隱公) 황(潢)의 후손이며, 원주목사 석방(碩舫)의 손자이고, 아버지는 수제용감첨정(守濟用監僉正)을 지낸 홍붕(洪鵬)이다.
2024.01.05
계산리 영사재(永思齋)
【향토】 지사면사무소에서 오수 쪽으로 가다가 중간 지점에 계산리 의암마을이 있으며, 마을에서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영사재(永思齋)는 팔작 기와지붕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 구조로 양쪽에 공방이 있으며 현판이 5개 주련이 7개 걸려있다.
2024.01.02
오류리 오류재(五柳齋)
【향토】 이 재실은 성수면 오류리 68-2번지에 있다. 전주~남원 간 17번국도 중간 지점인 성수면 오류리는 임실에서 5km 지점의 오류마을 회관 뒤에 있다. 오류재(五柳齋)는 진주 강씨 선조인 강필열(姜必烈 : 1666~1735)의 재실로 문중에서 1973년 12월에 건립하였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 기와집이다.
2024.01.01
감성리 모선재(慕先齋)
【향토】 이 재실은 임실읍 감성리 감성 마을에 있다. 이 마을에 거주하는 창원 황씨(昌原 黃氏)의 재실이다. 문중에서 단기 4200년(1957)에 세웠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각 기와집으로 현판이 2개, 주련이 4개 걸려있다.
2024.01.05
덕치 물우리 월파정(月波亭)
【향토】 덕치면 물우리 섬진강변에 세워진 월파정(月波亭)은 조선식 건축양식으로 정교한 조각과 우아한 선, 화려한 단청이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져 선경(仙境)을 빚어놓고 있다. 특히 섬진강 맑은 물이 급류로 흐르다가 바위 사이를 감돌아 월파정 아래에 이르면 소(沼)가 되어 유유자적하며, 강기슭의 기암괴석과 천 년 묵은 낙락장송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 마치 한 폭의 산수화를 연산하게 하고 있다.
2024.01.05
사곡리 서륜재(叙倫齋)
【향토】 이 재실은 덕치면 사곡리 자경동에 있으며 경주 이씨(慶州 李氏)종중의 재실이다. 무인년 봄에 묵은(黙隱) 이규상(李奎祥)이 비로소 완성하고 현판을 썼다. 정면 3칸에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지붕은 함석으로 이어져 있다. 내실에는 6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2024.01.02
오암리 숭모재(崇慕齋)
【향토】 이 재실은 오수면 오암리에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현대식 벽돌 양옥집이다. 지붕은 팔작 기와로 현판이 1개, 주련이 3개 걸려있다.
2024.01.04
어은리 명성재(明盛齋)
【향토】 오수역에서 동계로 가는 13번 국도에서 삼계면 소재지 못미처 군수 이기방 선정불망비에서 우회전하면 바로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명성재(明盛齋)는 이 지역에 거주하는 연안김씨(延安金氏)의 선조 판결사 만은(晩隱) 김벽(金壁)의 재실로 팔작지붕 아래 겹처마를 두르고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지어졌다.
2024.01.03
덕계리 추원재(追遠齋)
【향토】 이 재실은 임실군 삼계면 덕계리 화촌마을 서쪽에 위치해있다. 이 지역 경주 정씨(慶州 鄭氏) 정희교(鄭希僑)의 재실이다. 정희교의 자는 정대(貞大)로 기묘사화 때 낙향하여 평생을 자연과 함께 조용히 지내니 세상 사람들이 ‘기묘완인(己卯完人)’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재실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 기와집으로 현판 1개, 주련이 4개 걸려있다.
2024.01.02
오산리 경성재(敬誠齋)
【향토】 이 재실은 오수면 오산리 금산동 마을 가운데에 있다.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 기와집으로 현판 2개, 주련이 5개 걸려 있다. 연안 김씨(延安 金氏)의 재실로 1942년에 지었다.
2024.01.02
학암리 덕수재(德修齋)
【향토】 이 재실은 운암면 학암리 학암 마을에 있다. 1965년 이 지역에 거주하는 밀양 손씨(密陽 孫氏)의 문중에서 이 지역 입향조인 손배흥(孫配興)과 그의 처 성산 배씨(星山 裵氏)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집으로 현판이 2개, 주련이 4개 걸려있다.
2024.01.03
두월리 영송재(永松齋)
【향토】 이 재실은 삼계면 두월리 뒷골 마을 가운데에 있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연안 김씨(延安 金氏)의 선조 지헌(止軒) 김이주(金以疇)의 재실이다. 처음에는 김이주가 서재로 조선 인조 때 지었으며 4280년(1947) 중수하였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 기와집으로 현판이 1개, 주련이 6개 걸려있다.
2024.01.03
수천리 흥학당(興學堂)
【향토】 이 재실은 신덕면소재지 수천마을 경로당 맞은편에 있다. 흥학당(興學堂) 이 지역에 거주하는 평산 신씨의 시조 장절공 신승겸의 25세손 신덕 입향조, 호조참의인 신보일(申寶一)의 유덕을 기리기 위하여 지어진 재실로 문중에서 1893년 10월 3일에 건립하였다.
2024.01.01
신정리 수구당(守邱堂)
【향토】 이 재실은 임실읍 신정리 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 입향조인 청주 한씨(淸州 韓氏) 韓빈의 재실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집으로 현판이 2개, 주련이 4개 걸려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