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정거장(停車場) 근처(近處) ◈
◇ 정거장 근처 14 ◇
카탈로그   목차 (총 : 16권)     이전 14권 다음
1937.4~10.
채만식
1
停車場近處
 
2
14
 
 
3
덕쇠는 날삯 사십 전씩을 받고 정거장 앞 들판의 금점판에서 일을 하고 있다. 허망하게 돈 백 원 잃어버리고 겸하여 안해까지 잃어버린 그 일이이 있은 지 바로 그 뒤부터니까 그때가 양력 정초였으니 벌써 석 달이 되어온다.
 
4
극성스럽던 추위도 끈질기게 뭉그대다가 할 수 없이 물러가고 어느결에 봄이다.
 
5
동리 앞에 두어 주 섰는 수양버들이 맨먼저 봄을 받아 하룻밤 사인 듯싶게 환하게 푸르다. 울타리 안의 살구나무에 볼록볼록 여문 꽃망울이 맺었다. 밭고랑에 눌러 붙었던 보리순이 벌써 두세 치나 자라 탐스럽게 나풀거린다.
 
6
밭두덕에서 산기슭에서 여인네며 어린 아이들이 장꾼같이 모여 나물을 뜯는다. 금점판의 일꾼들도 기를 펴고 일을 한다.
 
7
그러나 봄이 와서 춥지 아니한 것만이 다행이지 그 밖에는 봄이 되레 일꾼들한테는 괴롭다. 겨울보다 해가 길어 같은 품삯으로 일을 더 해야하니 괴롭고, 겨울처럼 아침 점심 두 끼만 먹어서는 해질 무렵까지 일을 해낼 수가 없어 오 전짜리 탁배기국 한 그릇이든지 호떡 한 개든지 더 먹어야 하니 돈이 더 들어서 걱정이다.
 
8
이러한 사람들이 이천 명, 지금 오늘도 들판에서 금을 파고 있다. 여느때 같으면 소를 들이대고 논을 갈고 거름을 내고 못자리(秧版[앙판])을 해야 할 때다. 그러나 넓다 못해 끝이 없는 이 들판에는 누구 하나 농사는 하는 사람이 없다.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벼보다도 더 값나가는 금이 나오니까.
 
9
이 광은 조선에서는 첫째 가는 사금광이다. 함금량이 턱없이 많은데 그나마 ‘자옥쇠’가 아니요 고루 먹혔고, 벌흙이 얇은데 감은 석 자 두께나 되고 가끔 ‘노다지’가 툭툭 뛰어나오고 해서 웬만큼 성적 좋다는 석금(石金)보다도 월등이다.
 
10
광을 수유하기는 유명한 x x 이지만 자기네가 직접 채굴을 하지 아니하고 분광(分鑛)을 내놓았다. 분광세(稅)가 매평 오 원 오십 전이다. x x는 사무원 몇 명만 두고 매평 오 원 오십 전씩 따먹는다. 백만 평만 잡고 그중에 나는 것이 십만 평이라더라도 오백만 원이다. 그래서 우선 광주가 배가 부르다.
 
11
크고 작은 분광업자가 수없이 들이밀렸다. 그들은 광주(鑛主)인 x x에 매평 오 원 오십 전씩의 광세를 내고 다시 지주(地主)한테 매평 오 원으로부터 십 원까지 주고 땅을 산다. 그래가지고 한번에 이삼천 평 혹은 몇 백평씩을 차지하고는 자 땅떼기를 한다.‘감’을 트럭으로 실어 나른다. 그놈을 ‘물목’에다 대고 찧어서 금을 건진다. 이 짓을 하느라고 매일 이천명의 일꾼을 사서 부린다.(그런 때문에 지주들이 또한 배가 부르다.)
 
12
금은 매평에 구십도짜리가 한 칠 돈 팔 푼으로부터 서 돈 중수까지 나오는 곳도 있다. 그러니까 광세와 땅값으로 십 원 각수를 물고도 분광업자들은 숱한 이문을 남기느라고 배가 부르다. 그래서 그새까지 이 들에서 농사일을 해주고 얻어먹던 농군들은 삽으로 금을 파주고 날삯 사십 전 아니면 사십오전을 얻어먹는다. 광주나 분광꾼이나 지주한테는 이 땅이 금점판이 된 덕에 깨가 쏟아지지만 농군들한테는 농사를 지어줄 때나 금을 파주는 지금이나 종시 일반이다. 농사일을 하던 때에도 해가 긴 봄날에는 배가 고팠으니까.
 
13
금을 파면서부터 논이 고르게 연해 있던 이 들판은 무엇이든지 형용이 괴상하다. 군데군데 벌흙을 파서 싸올린 것이 피라밋인가 있는 애급 풍경이다. 들판 가운데 사무소로 생철집이 생기고 논 가운데로는 트럭이 놓였다. 일꾼들한테 한 상에 칠 전짜리 현미 싸래기밥을 파느라고 밥집이 십여 군데 생기고 일꾼들을 재우느라고 네 귀에 기둥을 박고 가마니쪽을 둘러치고 바닥에는 등겨를 깔고 그 위에다가 가마니쪽을 깔고 집(?)이 생기고 호떡가게가 생기고 술집이 생기고, 담배가게 사탕가게 이런 것들이 들 가운데 아무렇게나 새로 생겨났다. 그야말로 지리(地理)가 변해버렸다.
 
14
덕쇠네 분광구에서는 어제까지 웃껍데기 벌흙을 다 벗겨내고 오늘은 아침부터 ‘감’을 파는 참이다. 덕쇠는 다른 일꾼 여남은과 같이 삽질을 하고 있다. 벌흙을 벗겨낸 밑으로 세사와 조약돌이 섞인 누르스름한 석 자 두께의 흙 한 켜---‘감’을 삽으로 퍽퍽 퍼서 들이대는 바지게에 부어준다. 분광도 규모를 크게 할라치면 트럭으로 감을 실어 나르지만 곰보 최덕대는 이번에는 조그맣게 한 오백 평밖에 아니 했고 또 ‘물목’도 가까와서 그냥 바지게꾼으로 져나른다. 바지게꾼들은 한 오십 명이나가 저편 물목까지 감을 지고 가고 지러 오고 하느라고 마치 밥을 물어나르는 개미떼처럼 두 줄로 연락 부절해서 오고가고 한다. 곰보 최덕대는 ‘물목’옆에서 금 캐는 것을 감독하면서 이편짝도 연해 감독을 하고 있다.
 
15
덕쇠는 지금 삽질을 하면서 정신은 삽끝에서 논다. 전에도 더러 나왔다는 그런 ‘노다지’가 한 덩이 눈에 띄었으면…… 띄기만 하면 슬쩍 집어가지고 눈치를 보아 뺑소니를 칠 요량이다. 그렇게라도 돈 백 원이나 손에 쥐어야 전자에 노름으로 백 원을 잃어버린 벌충도 되고 이쁜이를 찾으면 춘삼이한테 백 원을 갚아주고 도로 무르든지, 그렇게 계제가 못되면 장사를 시작할 밑천을 장만하든지 하려는 것이다.
 
16
그러나 어쩌면 한 덩이 얻어질 것도 같으면서 소위 ‘시운이 지지 아니 해서’ 그런지 아무리 정신을 차렸어도 석 달이 되어오도록 입때까지 소원을 이루지 못했다.
 
17
덕쇠는 한 짐을 겨우 퍼서 얹어주고 허리를 폈다. 딱 시장해서 구부렸던 허리를 펴기가 대견했다. 하마 점심 먹으라는 소리가 날 때가 되었는데 하면서 하늘을 올려다보아도 해는 아까 그 자리에 그냥 있지 더 간 것 같지도 않다. 일보다도 해가 원수 같았다.
 
18
겨우겨우 점심을 먹으라는 영으로 사방에서 깨어진 놈 성한 놈 쟁들이 괭괭 울렸다. 덕쇠는 쥐었던 삽을 내던지고 일터 한편 구석에 옴닥옴닥 모아놓은 점심 꾸러미에서 제것을 찾아들기가 바쁘게 저편 봇둑에 있는 국밥집으로 들고 뛴다.
 
19
벌써 몇십 명이 모여들어 국 푸는 솥을 둘러싸고 제가끔 가지각색의 밥그릇을 너도나도 들이민다. 그러나 밥이라는 것은 모두 한결같은 현미싸래기 밥이다.
 
20
오분지 일이 왼쌀의 쌀눈이요, 오분지 일이 푸르스름한 쭈그렁이쌀의 쌀토막이요(싸래기라는 이름은 그것 때문에 붙은 억울한 영광이다) 오분지 일이 피(稷[직])요, 오분지 일이 모래요, 오분지 일이 겨조각이다.
 
21
이놈을 대되로 한 되에(고봉으로) 십칠 전씩 주고 팔아다가는 조리로 일이 어쩌고 할 것도 없이 그냥 물에다가 한 번 헹궈서 밥을 짓는다.(이것은 실상인즉 닭모이로 쓰는 것인데 이 일꾼들이 빼앗아 먹는 참이다.)그래서 그 놈을 먹고 대변을 보면 다시 거기서 닭모이가 나온다.---피와 모래와 겨가.
 
22
일꾼들은 이런 밥 한 덩이씩을 담은 그릇을 들이밀고 서로 먼저 국을 받으려고 밀치고 넘어지고 욕하고 성내고 눈을 부라리고 실로 무서운 광경이다. 국이란 건 시래기에 콩나물과 된장과 벌써 여남은 번이나 삶은 것이다. 그 놈 한 사발과 말걸리 한 잔에 오 전이니 싸기는 일꾼같이 싸다.
 
23
먼저 국을 받은 사람들은 제가끔 흩어져서 버티고 선 채로 훌쩍거리며 먹고 있다. 덕쇠도 돈 오 전으로 겨우 말걸리 한 사발과 밥그릇에 부어주는 국을 받아가지고 물러서서 술을 들이켠 뒤에 국밥을 목구멍에 퍼넣기 시작했다. 실상 그것은 먹는 것이 아니라 조금 아까 삽으로 흙을 퍼얹듯이 숟갈로 밥을 목구멍에다가 퍼넣는다는 게 옳은 말이겠다. 혀와 이빨을 놀려 씹고 어쩌고 할 것도 없다. 씹으면 모래가 물려서 되레 폐롭다.
 
24
그러니까 그저 우물우물해서 목구멍으로 꿀떡꿀떡 넘기어 배만 부르면 그만이다. 이것은 덕쇠만 그렇다는 게 아니다. 열이면 열 백이면 백 다 그렇다.
【원문】정거장 근처 1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소설〕
▪ 분류 : 근/현대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116
- 전체 순위 : 530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72 위 / 86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04) 날개
• (36) 삼대(三代)
• (27) 순자(荀子)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정거장 근처 [제목]
 
  채만식(蔡萬植) [저자]
 
  여성(女性) [출처]
 
  1937년 [발표]
 
  소설(小說)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소설 카탈로그   목차 (총 : 16권)     이전 14권 다음 한글 
◈ 정거장(停車場) 근처(近處)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9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