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1년
2021년 12월
2021년 12월 6일
2021년 11월
2021년 11월 2일
2021년 10월
2021년 10월 29일
2021년 10월 5일
2021년 9월
2021년 9월 29일
2021년 9월 24일
2021년 9월 10일
2021년 9월 6일
2021년 8월
2021년 8월 21일
2021년 8월 17일
2021년 7월
2021년 7월 29일
2021년 7월 23일
2021년 7월 5일
2021년 6월
2021년 6월 29일
서울 둘레길 8 코스(도봉산역~ 우이역~ 도선사)
2021년 6월 23일
2021년 6월 16일
2021년 6월 10일
2021년 6월 7일
2021년 6월 1일
2021년 5월
2021년 5월 24일
2021년 5월 17일
2021년 5월 14일
2021년 5월 10일
2021년 5월 6일
2021년 4월
2021년 4월 23일
2021년 3월
2021년 3월 29일
2021년 3월 26일
2021년 3월 20일
2021년 3월 8일
2021년 1월
2021년 1월 25일
about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내서재
추천 : 0
# 능원사 # 도봉 옛길 # 도봉사 # 도봉산역 # 도선사 # 서울 둘레길 8코스 # 우이역
【여행】
(2021.07.01. 09:57) 
◈ 서울 둘레길 8 코스(도봉산역~ 우이역~ 도선사)
서울 둘레길 8 코스(구파발~ 도봉산역)의 아직 못 걸은 마지막 구간(우이역~ 도봉산역)은 도봉산역에서 우이역을 지나 우이동 도선사까지 걸어 전 구간 157km를 마무리 지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니 지도를 보지 않아 좋았고 이정표를 따라 걸으니 편하네요! 서울 둘레길 8코스는 북한산 둘레길과 겹치는 구간으로 북한산과 도봉산을 잘 볼 수 있지만 너무 긴 34.5km의 코스다.
서울 둘레길 8 코스(구파발~ 도봉산역)의 아직 못 걸은 마지막 구간(우이역~ 도봉산역)은 도봉산역에서 우이역을 지나 우이동 도선사까지 걸어 전 구간 157km를 마무리 지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니 지도를 보지 않아 좋았고 이정표를 따라 걸으니 편하네요! 서울 둘레길 8코스는 북한산 둘레길과 겹치는 구간으로 북한산과 도봉산을 잘 볼 수 있지만 너무 긴 34.5km의 코스다.
▶걸은 코스
도봉산역→ 북한산 국립공원 입구→ 능원사→ 도봉사→ 도봉 옛길→ 무수골→ 쌍둥이 전망대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 → 연산군묘→ 방학동 은행나무→ 원당샘공원→ 우이역 → 도선사
 
 
\na-;▼한국불교 도봉산 능원사(能園寺) ☎ 02-954-6664
☞조계종‧태고종‧천태종‧진각종‧조동종 등 한국 불교계에 여러 종파가 있지만 어느 종파에도 속하지 않은 사찰
☞주불전은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불)이 아니라 용화전(龍華殿, 미륵불)으로 조선 왕궁 건물처럼 월대와 난간 있음
☞용화전(미륵전의 다른 이름)은 미륵불이 용화수(보리수: 석가모니가 그 아래에서 변함없이 진리를 깨달아 불도를 이루었다고 하는 나무) 아래에서 성불해 용화세계를 펼칠 것이라는 데서 붙여짐
☞용화전 지붕에 용머리 대신 금시조(金翅鳥, 전설의 새)가 눈길을 끔
☞일반 사찰의 단청은 푸른색으로 오랜 역사의 흔적을 보이지만 능원사는 붉은색과 황금색을 주색으로 이용해 엄청 화려함
☞만(卍) 자 대신 모서리 6개의 별 모양 장식으로 특이함
 
 
\na-;▼천년 고찰의 도봉사(道峯寺, 968년 창건) ☎02-954-1112
968년(고려 광종 19)에 혜거 국사(惠居國師)가 창건하였으며, 971년 광종(光宗)이 여주 고달사와 희양산 봉암사, 양주 도봉사 세 곳을 특별 선원으로 삼았다. 고려 현종(顯宗) 때 거란의 침입으로 왕이 남쪽으로 피난하면서 도봉사에 들렀던 적이 있다. 이후 도봉사는 전쟁과 화재 등으로 여러 번 소실되었으며, 그 내력을 잘 알 수 없다. -한국학 중앙연구원 -
 
\na-;▼무장애 데크길(도봉 옛길, 난이도 하)
 
\na-;▼무수골
무수골이란 마을 이름은 1477년(성종 8) 세종의 아홉째 아들 영해군의 묘가 조성되면서 유래되었다. 옛 명칭은 수철동이었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무수동으로 바뀌었으며 무수(無愁)골은 ‘무수울’이라고도 한다. 즉 아무런 걱정 근심이 없는 골짜기, 마을이란 뜻이란다.
 
\na-;▼흙길
 
 
\na-;▼구름 전망대는 폐쇄되었는데 쌍둥이 전망대는 OPEN
 
\na-;▼저 멀리 도봉산이...
 
 
\na-;▼멧돼지 출현으로 닫는 철조망 문 설치
 
 
\na-;▼방학동 길을 마무리합니다.
 
\na-;▼양효공 안맹담(1415~1462)과 정의공주(세종의 2녀, 1415~1477) 묘로 각각 묘갈(墓碣)과 혼유석(魂遊石)이 갖추어져 있고 묘 앞에는 석등과 문인석 4기가 있다. 묘 아래에 안종해(安宗海, 1681~1754, 안맹담의 11대손)의 묘가 있다.
 
\na-;▼양효안공 묘비(良孝安公墓碑)
☞세종의 사위 안맹담(安孟聃)과 둘째 딸 정의 공주(貞懿公主)의 묘역 아래에 세워진 신도비로, 묘역과 함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됨
☞안맹담은 세종(世宗)의 딸 정의 공주에게 장가들어 죽성군(竹城君)으로 봉하였고 뒤에 연창군(延昌君)으로 고쳤다. 1462년 안맹담이 사망하자 시호(諡號)는 양효(良孝)라 하였으니, 온량(溫良)하고 즐기기를 좋아한 것을 양(良)이라 하고 자혜(慈惠)하고 어버이를 사랑으로 섬긴 것을 효(孝)라 한 것에서 지었다 - 조선왕조실록-
☞비의 형태는 거대한 화강석 귀부(龜趺,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위에 대리석으로 된 이수(螭首)를 갖춘 통비(通碑)임
☞중앙에 여의주를 놓고 쌍룡(雙龍)을 틀어 조각한 이수와 거대한 귀부의 거북 조각은 매우 뛰어나며 정교함
☞비신(碑身)의 높이는 187cm이며, 폭은 104cm이고, 두께는 26cm로 1466년(세조 12)에 세움
☞비문(碑文)은 정인지(鄭麟趾)가 짓고 글씨는 안맹담의 넷째 아들인 빈세(貧世)가 씀
 
\na-;▼연산군묘, 사위와 딸 묘 그리고 의정 궁주(義貞宮主)묘
☞배치
①상단 : 쌍분(雙墳) 앞에서 볼 때 제일 위 쪽의 좌측이 연산군(재위 1494~1506) 묘, 우측이 폐비 신씨(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의 외손녀,1476~1537) 묘
②중간 : 의정궁주(태종 후궁) 조 씨 묘
③하단 : 아래쪽 좌측이 연산군 사위 구문경묘, 우측이 딸 휘순공주묘
☞원래 태종의 후궁인 의정궁주 조 씨 묘에 연산군 묘(燕山君墓)가 있는 사연
의정 궁주 조 씨는 태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었으나 태종이 비로 승하하여 빈으로 책봉되지 못하고 궁주(宮主)로 작호를 받았다. 의정궁주는 후사가 없이 살다가 사망(1454년) 하자 왕명에 의하여 세종의 아들인 임영대군 땅인 이곳에 묘지 조성을 하였다. 나중에 임영대군의 외손녀인 연산군의 부인 신씨의 간청으로 강화도 교동도에 있던 연산군 묘(1506년 사망)를 이곳으로 이장(1513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na-;▼중중(中宗) 반정(反正)으로 폐위된 연산군의 묘
☞연산군은 9대 성종과 폐비 윤 씨의 아들로 태어나 1494년 왕위에 올랐다. 즉위 초에는 성종 대의 평화로움이 그대로 이어졌다. 사치풍조를 잠재우기 위해 구체적인 금지 조항을 만들어 단속하였고, 종묘에 신주를 모시는 제도를 새롭게 정비하였으며, 비융사를 설치하여 철갑옷과 무기를 만들어 생산하는 등 국방정책에도 힘을 씀
그러나 무오사화(戊午士禍, 성종실록 편찬 중 김일손 등 사림이 훈구파에게 화를 입은 사건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원인이 되어 사림이 피해를 본 사건)와 갑자사화(甲子士禍, 생모 폐비 윤 씨의 사사 사건을 이용하여 훈구 및 사림파들이 척신파에게 화를 입은 사건)로 많은 사람을 죽이고, 사화 이후 국정에 관심을 두지 않기 시작하여 사치와 향락으로 조정이 어지러워졌다. 결국 1506년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어 강화도 교동도로 유배되었고 그 해에 세상을 떠남
☞사적 제362호(2006년 개방)
☞묘역은 대군(大君)의 예우(禮遇)로 장례하여 곡장(曲牆 : 무덤 뒤에 둘러싼 작은 담)·묘비(墓碑)·혼유석(魂遊石)·장명등(長明燈)·향로석(香爐石)·문인석(文人石)·재실(祭室) 등이 갖추어져 있으나 병풍석(屛風石)·석마(石馬)·석양(石羊)·사 초지(莎草地 : 오래되거나 허물어진 곳에 떼를 입히어 잘 다듬은 곳)·무인석(武人石) 등은 없음
 
☞왕족의 무덤은 왕실의 위계에 따라 능, 원, 묘로 분류
①능(陵)은 왕과 왕비 및 추존왕(追尊王, 실제로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죽은 뒤에 묘호가 내려진 왕)과 추존 왕비의 무덤
②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왕의 사친(私親 : 종실로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임금의 생가 어버이)의 무덤
③묘(墓)는 왕의 정궁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주, 왕의 서자, 서녀인 군과 옹주, 왕의 첩인 후궁, 귀인 등의 무덤
\na-;▼방학동 은행나무
☞서울특별시 지정보호수 제1호(1968.2.26.),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3호(2013.3.28.) 지정
☞서울 성균관 문묘의 은행나무와 함께 오래되었으며 약 550년, 24m 높이, 지름 9.6m로 큼
☞이 은행나무에는 여인의 젖꼭지 모양과 비슷하고 남자의 성기 모양과 흡사한 유주(乳柱, 나뭇가지에서 땅쪽으로 발달하는 돌기)가 달려있어 아들을 낳지 못하는 여인이 치성을 드리면 아들을 낳고, 산모가 치성을 드리면 젖이 잘 나온다는 얘기가 있답니다.
 
\na-;▼원당샘(600여 년 전 파평 윤씨 일가가 마을에 정착하면서 식수로 이용했다는 우물) 공원
 
\na-;▼접시꽃(열렬한 연애가 꽃말)
꽃나라 궁궐 안의 커다란 화단에서 꽃을 피우려 세상의 모든 꽃나무가 들어갔지만, 주인의 집을 지키기 위해 남은 유일한 꽃으로 귀와 눈을 크게 뜨고 집을 지키는 접시꽃이라는 전설이 있답니다.
 
\na-;▼왕실 묘역 길을 마칩니다.
 
\na-;▼우이동 만남의 광장에서 본 북한산
 
\na-;▼천도교 양성소였던 봉황각
 
\na-;▼우이동 계곡
\na-;▼붙임 바위
돌을 붙여 떨어지지 않으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na-;▼우이동 도선사 대웅전 아미타불상*중앙)과 관세음보살상 및 대세지보살상
 
\na-;출처: 민족문화대백과, 역사정보통합시스템, 네이버, 구글, 도봉구청,천지일보
▣마무리하며
서울 둘레길 157km를 마무리 지었다. 스마트폰으로 각 코스를 확인하면서 걸으면 길을 잘못 갈 일은 없다. 둘레길이라면 건강을 위한 걷기 코스가 바람직한데 일부 아스팔트 구간은 좀 아니다 싶다.
둘레길을 걷다 보면 예상 소요 시간보다 빨리 걷고 싶은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여유를 갖고 주변을 보면서 걸으라고 권하고 싶다. 남보다 얼마나 빨리 걷고 많이 보았는지가 목적이 아니라면, 나 자신을 위하고 걷고 주변을 보면서 걷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서울 둘레길 정보와 TIP은 여기를 누르세요.
 
​★1코스 (도봉산역~당고개역) https://blog.naver.com/jawkoh/222327396853,
(당고개역~화랑대역)https://blog.naver.com/jawkoh/222334664093
★ 2코스(아차산~ 망우산), 화랑대~용마산 코스 각각 누르세요.
★ 3코스( 광나루역~ 고덕역) , 고덕역~방이 생태경관보전 지역 사무소, https://blog.naver.com/jawkoh/220528947856 각각 누르세요.
★ 4코스(수서역~양재시민의 숲), 양재시민의 숲~사당역 코스는 각각 누르세요.
★ 5코스 (사당역~서울대 입구), 안양 석수역~서울대 입구 코스는 각각 누르세요.
★ 6코스는 여기를 누르세요.
★ 7코스는 여기를 누르세요.
 

 
※ 원문보기
# 능원사 # 도봉 옛길 # 도봉사 # 도봉산역 # 도선사 # 서울 둘레길 8코스 # 우이역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우이동 도선사(道詵寺) 둘러보기
• 서울 둘레길 8 코스(도봉산역~ 우이역~ 도선사)
• 서울 둘레길 8코스(화계사 입구~ 우이역)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