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내 자료 추천
|
|
|
|
2024.03.24
|
|
|
|
|
|
|
현존하는 한국 국보의 탑을 마무리합니다. 1. 구미 죽장리 5층 석탑(龜尾 竹杖里 五層石塔), 2. 산청 범학리 3층 석탑(山淸 泛鶴里 三層石塔), 3. 영양 산해리 5층 모전 석탑(英陽 山海里 五層 模塼石塔), 4. 의성 탑리리 5층 석탑(義城 塔里里 五層石塔), ...
|
|
|
|
(2|0) |
|
|
2024.03.21
|
|
|
|
|
|
|
현존하는 탑 중에서 국보로 지정된 경주지역의 탑에 대해 알아봅니다. 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3층 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西 三層石塔), 2. 경주 고선사지 3층 석탑 (慶州 高仙寺址 三層石塔), 3. 경주 나원리 5층 석탑(慶州 羅原里 五層石塔),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
|
|
|
|
(2|0) |
|
|
2024.03.18
|
|
|
|
|
|
|
현존하는 서울,강원도에 이어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국보로 지정된 탑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습니다. 1. 충주 탑평리 7층 석탑(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2. 보은 법주사(法住寺) 팔상전(㭭相殿), 3. 부여 정림사지(定林寺址) 5층 석탑, 4.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
|
|
|
|
(2|0) |
|
|
2024.03.12
|
|
|
|
|
|
|
한국 사찰 등에서 볼 수 있는 탑(塔)은 인도의 스투파(Stupa)에서 나온 것으로 탑에 대해 알아봅니다. 탑(塔)은 인도의 스투파(Stupa)를 한자로 표기한 탑파(塔婆)에서 시작되었다. 원래 석가모니의 사리(舍利)를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진 건조물을 의미합니다.
|
|
|
|
(2|0) |
|
|
◈ 조회순
|
|
|
2021.03.15
|
|
|
|
|
【역사】
신분사회에서는 자기가 어떤 사람인지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신분 상징물(의복, 모자 등)을 소지하거나 장식하였다. 조선시대 왕, 왕비, 왕족, 왕세자, 문관, 무관 등은 신분(身分)과 품계(品階)에 맞는 문양(文樣)을 의복의 가슴과 등(흉배, 胸背)에 붙였다.
|
|
|
|
|
2014.09.25
|
|
|
|
|
【문화탐방】
2014년 9/26일~10/5일까지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과 관련하여 하회탈을 알아봅니다
|
|
|
|
|
2025.07.11
|
|
|
|
|
【문화】
총통(銃筒)은 조선 시대에 사용된 화약 무기로, 화포(火砲)의 일종입니다.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화살이나 탄환을 발사하는 무기이며, 크기와 사용되는 화약의 양, 탄환의 종류, 사정거리 등에 따라 천(天)자총통, 지(地)자총통, 현(玄)자총통, 황(黃)자총통 등으로 나눕니다.
|
|
|
|
|
2025.04.04
|
|
|
|
|
【문화】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상에 대하여 적어봅니다. 이불상은 금동여래 입상(金銅如來立像)으로 서울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입니다.
|
|
|
|
|
2016.03.18
|
|
|
|
|
【문화탐방】
조선신궁이라고 들어 보았지만 지금은 존재하지 않아서 매우 궁금하였다. 조선 땅에 일본 신들이 사는 궁이라는 뜻이 아닌가? 한양도성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하려고 남산 구간을 복원하려고 몇 년전 남산 분수대 밑을 발굴하였다. 그 결과 일제 강점기에 조선신궁 건물이 한양 도성 성곽을 헐고 덮고 지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늘은 조선신궁에 대하여 사진과 함께 알아보고 앞으로 더 남산답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
|
|
|
|
2014.10.06
|
|
|
|
|
【문화】
●금관은 왕의 상징물일까? 1921년 9월, 경주시 노서리路西里의 한 무덤에서 우연히 금관이 발견된 이후 정식조사를 거쳐 발굴된 금관이 무려 5점이나 된다. 금관총, 금령총, 서봉총, 천마총, 황남대총 북분 출토품이 그것이다. 얼핏 보면 어느 것이 어느 무덤에서 발굴된 것인지 구별해내기 어렵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각 금관마다 지닌 특색이 드러난다.
|
|
|
|
|
2024.10.28
|
|
|
|
|
【문화】
오늘은 지난번 서당에 이어 4부 학당과 향교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사부 학당(4部學堂) - 나라에서 서울의 동쪽·서쪽·남쪽·중앙에 설치한 학교로, 현재 중·고등학교에 해당한다.
향교(鄕校) - 지방의 관립 교육 기관이다.
|
|
|
|
|
2025.08.19
|
|
|
|
|
【문화】
휴일 행주산성 근처에서 점심을 먹고 맛나는 커피 한잔하려고 장소를 찾다가 마주한 고양 강매 석교를 알아봅니다.
|
|
|
|
◈ 최근등록순
|
|
|
2025.09.09
|
|
|
|
|
【문화】
인도와 서역을 순례하고 지은 여행기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쓴 혜초
|
|
|
|
|
2025.09.05
|
|
|
|
|
【문화】
이미 신라 출신의 승려 혜초(慧超, 704~787)가 20대에 인도(5개 천축국)와 서역(중앙아시아, 아랍)을 다녀와 쓴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에 대하여 알아보았지만, 원본 모양을 보고 싶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펴낸 "실크로드와 둔황(2010년 기획특별전)"이라는 도록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필사본에 적힌 원문은 정수일 역주의 "혜초 왕오천축국전"에 나와 있다.
|
|
|
|
|
2025.09.02
|
|
|
|
|
【문화】
신라 출신 혜초 스님이 인도와 서역을 순례하고 지은 여행기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
|
|
|
|
2025.08.29
|
|
|
|
|
【문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무덤인 경주 황남대총(皇南大塚, 무덤의 봉우리가 두 개인 북분과 남분의 쌍분)에서 출토된 유리병과 잔이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어 다녀왔습니다. 발굴 당시 98호 분으로 불리던 황남대총의 남분(南墳)에서 발견된 로만 글라스(Roman glass) 스타일의 봉황 모양의 유리병 1점과 유리잔 3점 등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남분에서 출토된 유리그릇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
2025.08.26
|
|
|
|
|
【문화】
과거 게임도구의 하나인 주사위하면 정육면체 모양을 먼저 떠올린다. 정육면체의 각 면에 점 또는 숫자 등으로 표시하여 승패를 가를 때 사용한다.
|
|
|
|
|
2025.08.19
|
|
|
|
|
【문화】
휴일 행주산성 근처에서 점심을 먹고 맛나는 커피 한잔하려고 장소를 찾다가 마주한 고양 강매 석교를 알아봅니다.
|
|
|
|
|
2025.07.29
|
|
|
|
|
【--】
고려 8대 현종 때 거란의 2차 침략으로 피난 가는 현종에게 공주(公州) 절도사였던 김은부(金殷傅)는 다른 호족과 관리의 조롱이나 무시와 다르게 에를 갖춰 극진하게 모시었다. 나중에 김은부 세 딸 모두 현종의 왕후가 되었다고 이미 알아보았다. 김은부 부인은 경원 이씨 집안의 이허겸(李許謙)의 딸로 외척의 시작이었다.
|
9 | |
|
|
|
2025.07.25
|
|
|
|
|
【--】
고려의 역사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세 딸 친자매가 한 임금의 왕비로 되었기에 알아봅니다. 친자매 세 딸을 왕비로 맞이한 왕은 고려 8대 현종(顯宗, 38세로 사망)입니다. 태조 왕건의 아들인 삼촌(안종 왕욱)과 손녀(대종 왕욱의 딸) 사이의 사생아로 태어나 천추태후(헌애왕후, 목종의 모친으로 김치양과 사통)의 살해 위협을 받았지만 강조의 정변(康兆의 政變)으로 8대 현종으로 즉위합니다. 2차 거란 침입 때 호족과 관리들의 위협· 조롱과 다르게 겨울 피난길에 정성껏 도움을 준 공주(公州) 절도사 김은부(金殷傅)의 세 딸을 왕비로 맞이하였습니다. 김은부의 딸들이 왕후(원성왕후, 원혜왕후, 원평왕후)가 되면서 외척의 파워가 시작됩니다. 그 이전은 왕족 간의 근친혼이라 외척에 대하여 근심· 걱정을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
6 | |
|
|
|
2025.07.18
|
|
|
|
|
【--】
지금은 남녀평등의 시대라 말합니다.
|
5 | |
|
|
|
2025.07.15
|
|
|
|
|
【--】
조선시대 개인 화기인 승자총통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승자총통은 기존의 우자(宇字)~측자(昃字)총통으로 이어지는 기존 소형 개인 화기들과 비교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발전하였습니다. 우선 총신이 거의 배나 길어지면서 사거리도 늘어나고 정확성도 높아지며, 격목 대신 진흙을 채우는 토격을 사용하여 탄환을 발사함에 따라 장전 시간이 빨라졌습니다. 특히 화살에 비해 소형인 탄환을 많이 가지고 다닐 수 있게 되어 총통 운용의 효율성도 높아졌습니다.
|
6 | |
|
|
|
2025.07.11
|
|
|
|
|
【문화】
총통(銃筒)은 조선 시대에 사용된 화약 무기로, 화포(火砲)의 일종입니다.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화살이나 탄환을 발사하는 무기이며, 크기와 사용되는 화약의 양, 탄환의 종류, 사정거리 등에 따라 천(天)자총통, 지(地)자총통, 현(玄)자총통, 황(黃)자총통 등으로 나눕니다.
|
|
|
|
|
2025.06.20
|
|
|
|
|
【문화】
요즘 날씨가 더워졌다. 마포대교 위에서 한강과 유람선, 밤섬과 북한산 그리고 여의도의 애드벌룬이 보였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한강바람을 품으면 어떨까?
|
|
|
|
|
2025.05.30
|
|
|
|
|
【문화】
석탑 속의 유물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습니다. 지난번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나온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 이어 오늘은 익산 미륵사지 서탑(석탑)의 해체 ·복원 과정에서 나온 유물에 대하여 자료를 통해 알아봅니다.
|
|
|
|
|
2025.05.27
|
|
|
|
|
【문화】
석탑을 이전, 또는 개 · 보수할 때 사리(舍利)와 사리 장엄구, 불상, 불경, 공양물, 기록물 등이 발견되는데 오늘은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유물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
2025.04.08
|
|
|
|
|
【문화】
지난 4월 5일 식목일에 나무들이 잘 자랄 수 있게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비 내리는 휴일, 경기도 양주에 있는 기산 저수지 수변 산책로를 걸어보았다. 벚꽃은 아직 피지 않았지만 주변에 카페(찻집)들도 많고 산과 저수지가 만들어 내는 운무(雲霧)로 산책하기 좋았다.
|
|
|
|
|
2025.04.04
|
|
|
|
|
【문화】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상에 대하여 적어봅니다. 이불상은 금동여래 입상(金銅如來立像)으로 서울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입니다.
|
|
|
|
|
2025.04.01
|
|
|
|
|
【문화】
사찰의 범종루(梵鐘樓)나 범종각(梵鐘閣)에 있는 법고(法鼓 : 법法 북鼓)는 북(어원은 "붚"이라 함)을 두드려 들짐승(畜生)들을 위해 불법(佛法)을 전하는 불구(佛具)로, 날짐승들을 위한 운판(雲版), 물짐승들을 위한 목어(木魚), 그리고 인간을 위한 범종(梵鐘)과 함께 불전 4물(佛殿四物) 중 하나입니다.
|
|
|
|
|
2025.03.14
|
|
|
|
|
【문화】
사찰에 가면 바람에 흔들리는 "댕그랑 댕그랑~"하는 풍경 소리를 듣고 사찰다움을 느낀다.
|
|
|
|
|
2025.03.11
|
|
|
|
|
【문화】
얼른 보면 비슷한 한국의 종이지만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대산 상원사 동종을 보면서 수많은 범종들이 만들어져 남아 있거나 사라졌는데 그중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범종을 찾아 정리합니다.
|
|
|
|
|
2025.03.07
|
|
|
|
【문화】
오늘은 한국의 범종(梵鐘)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현존하는 한국의 가장 오래된 종은 1,300년 된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동종(銅鐘)이고, 많이 알려지고 가장 크며 모양과 종소리가 빼어난 한국 최고(最高)의 종은 경주 박물관에 있는 봉덕사(奉德寺) 성덕대왕 신종(일명 에밀레 종)인데 비교해 봅니다.
|
|
|
|
|
◈ 원문∙전문 추천
|
|
|
|
|
|
| 1939년 / 김기림(金起林) |
|
아무도 그에게 수심(水深)을 일러준 일이 없기에
|
|
흰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
|
|
|
청(靑)무우 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
|
|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
|
|
공주(公主)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
|
|
|
|
라인수 (8)
|
|
(0) |
|
|
|
|
| 미상 / 박인환 |
|
오늘 저녁 나는 당신에게 또 다시 붓을 들었습니다. 나는 오늘처럼 우울했던 날이 없었습니다. 당신을 대구에 두고 나만이 부산의 거리(당신도 이 거리를 나와 함께 걸은 일이 있겠으나)를 헤매고 있는 것이 슬펐습니다. 나는 행운의 사람인데도 어째서 이다지도 쓸쓸한 것일까 나는 나 혼자 여기 와서 우울한 것이 어디 있는가? 자문자답하여도 속이 시원하지 않습니다. 나는 당신과 떨어져 있는 것이 한없이 서럽습니다.
|
|
|
라인수 (18)
|
|
(0) |
|
|
|
|
| 1925년 5월 / 김소월 |
|
적어도 平凡한 가운데서는 物의 正體를 보지 못하며, 慣習的 行爲에서는 眞理를 보다 더 發見할 수 업는 것이 가장 어질다고 하는 우리 사람의 일입니다. 그러나 여보십시오. 무엇보다도 밤에 깨여서 한울을 우럴어 보십시오. 우리는 나제 보지 못하든 아름답움을, 그곳에서, 볼 수도 잇고 늣길 수도 있습니다. 파릇한 별들은 오히려 깨여잇섯서 애처롭게도 긔운있게도 몸을 떨며 永遠을 소삭입니다.
|
|
|
라인수 (63)
|
|
(0) |
|
|
|
|
|
|
|
|
|
(0|0) |
|
|
|
◈ 외부 자료 추천
|
|
|
|
2024.02.29
|
|
|
|
|
|
|
문화재청 만인의총관리소(소장 장승호)는 정유재란 당시 남원성 전투에서 왜적과 맞서 싸우다 순절한 만인의사의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2024 제1회 만인의사 추모 공모전」을 개최한다.【만인의총관리소】
|
|
|
|
(0|0) |
|
|
2024.02.29
|
|
|
|
|
|
|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함께 봄 기운이 완연해지는 3월 전국 각지에서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와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를 개최한다.【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
|
|
|
|
(0|0) |
|
|
2024.02.29
|
|
|
|
|
|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산업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관련 정책수립 및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전국에 있는 1인 이상 사업체 1,500개를 대상으로 ‘문화재산업조사’(2022년 12월 31일 기준)를 처음 실시한 결과, 문화재산업 전체 매출액은 3조 1,722억 원, 사업체는 8,325개, 종사자는 45,821명인 것으로 확인했다.
|
|
|
|
(0|0) |
|
|
2024.02.06
|
|
|
|
|
|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소장 권점수)는 오는 2월 21~22일과 28~29일 4일간 오후 7시 덕수궁 석조전(서울 중구)에서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과 함께 국악 공연 ‘덕수궁 야연(夜宴)’을 개최한다.【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
|
|
|
|
(0|0) |
|
|
2024.01.31
|
|
|
|
|
|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1월 30일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를 202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등재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하였다.【세계유산정책과】
|
|
|
|
(0|0) |
|
|
2024.01.26
|
|
|
|
|
|
|
군마(軍馬) 레클리스 병장 진급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되어 참전국 군인들 일부가 본국으로 귀국했다. 당시 미 해병 제1사단 2대대장이었던 앤드루 기어(Col. Andy Geer U.S.M.C.R) 중령은 당시 유명한 작가로 미국으로 돌아가 네바다 전초 전투에서 있었던 일을 신문에 기고하였다.
|
|
|
|
(0|0) |
|
|
2023.11.15
|
|
|
|
|
|
|
손기정이 방문한 나가사키 시(하) / 서정우(1928~2001)는 경남 의령에서 군함도에 강제로 끌려왔던 강제 노역 피해자로 군함도 최초 증언자이다. 2018년 8월 EBS 다큐프라임 광복절 특집으로 소개된 적이 있다.
|
|
|
|
(0|0) |
|
|
2023.11.09
|
|
|
|
|
|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직무대리 노명구)은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과 조선왕조의궤(이하 ‘의궤’)의 오대산사고본 원본을 원 소장처였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으로 돌려보내기로 하고, 실록과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이하 ‘실록박물관’,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을 설립해 11월 11일(토) 오후 2시 개관식을 시작으로 1
|
|
|
|
(0|0) |
|
|
|
|
|
|
|
|
|
|
▣ 지식창고
|
|
▶ 공개자료실
|
|
|
|
|
|
|
(A) 내 지식자료
|
|
Ο 지식창고 작업
|
|
|
|
|
|
|
|
|
about 고재완의 지식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