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訓民正音(훈민정음) 解例本(해례본) ◈
◇ 訓民正音解例 合字解 ◇
카탈로그   목차 (총 : 8권)     이전 6권 다음
1443년
세종 어제
1
訓民正音解例
2
合字解
 
 
3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초중종삼성, 합이성자.]
 
4
(홍기문:1946 역) 初中終의 三聲을 合하야 글를 이루나니
5
(강신항:1974 역) 초·중·종· 세 소리가 합하여 글자(음절)을 이룬다.
6
(박지홍:1984 역) 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삼성은 어울려야 글자가 이루어진다.
7
(국립국어원:2008 역) 초·중·종 세 소리가 어울려서 글자(음절)을 이룬다.
 
 
8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초성혹재중성지상, 혹재중성지좌.]
 
9
(홍기문:1946 역) 初聲은 或 中聲우에도 잇고 或 中聲 왼쪽에도 잇는바
10
(강신항:1974 역) 초성(글자)은 중성(글자) 위에 쓰기도 하고, 중성(글자)의 왼쪽에 쓰기도 하니,
11
(박지홍:1984 역) 초성의 어떤 것은 중성의 위에 놓이고, 어떤 것은 중성의 왼쪽에 놓인다.
12
(국립국어원:2008 역) 초성(글자)은 중성(글자) 위에 쓰기도 하고, 중성(글자)의 왼쪽에 쓰기도 하니,
 
 
13
如君字ㄱ在ㅜ上, 業字ᅌ在ㅓ左之類.  [여군자ㄱ재ㅜ상, 업자ㆁ재ㅓ재지류.]
 
14
(홍기문:1946 역) 君字의 ㄱ가 ㅜ의 우에 잇고 業자의 ㆁ가 ㅓ의 왼쪽에 있는 類와도 가트며
15
(강신항:1974 역) 예컨대 군(君)자의 ㄱ은 ㅜ 위에 있고, (業)자의 ㆁ은 ㅓ의 왼쪽에 있음과 같다.
16
(박지홍:1984 역) 君(군)자의 ㄱ이 ㅜ의 위에 놓이고, 業(업)자의 ㆁ이 ㅓ의 왼쪽에 놓이는 따위와 같다.
17
(국립국어원:2008 역) 예컨대 군(君)자의 ㄱ은 ㅜ 위에 있고, (業)자의 ㆁ은 ㅓ의 왼쪽에 있음과 같다.
 
 
18
中聲則圓者橫者 在初聲之下, ㆍ ㅡ ㅗ ㅛ ㅜ ㅠ 是也.  [중성즉원자횡자 재초성지하, ㆍ ㅡ ㅗ ㅛ ㅜ ㅠ 시야.]
 
19
(홍기문:1946 역) 中聲인즉 둥근 것과 가로된 것은 初聲 아래에 잇는 터로 ㆍㅡㅗㅛㅜㅠ가 곳 그것이요
20
(강신항:1974 역) 중성(글자)은 가운데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초성(글자)의 밑에 쓰니 ㆍㅡㅗㅛㅜㅠ가 이것이요,
21
(박지홍:1984 역) 중성은 둥근 것과 가로된 것은 초성의 아래에 놓이니, ㆍㅡㅗㅛㅜㅠ가 이것이다.
22
(국립국어원:2008 역) 중성(글자) 가운데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초성(글자) 아래에 쓰니 ㆍㅡㅗㅛㅜㅠ가 이것이요.
 
 
23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종자재초성지우 ㅣㅏㅑㅓㅕ시야.]
 
24
(홍기문:1946 역) 세로된 것은 初聲의 올흔쪽에 잇는 터로 ㅣㅏㅓㅑㅕ가 곳 그것인 바
25
(강신항:1974 역) 세로로 된 것은 초성(글자)의오른쪽에 쓰니 ㅣㅏㅑㅓㅕ가 이것이다.
26
(박지홍:1984 역) 세로된 것은 초성의 오른쪽에 놓이니, ㅣㅏㅑㅓㅕ가 이것이다.
27
(국립국어원:2008 역) 세로로 된 것은 초성(글자)의오른쪽에 쓰기 ㅣㅏㅑㅓㅕ가 이것이다.
 
 
28
如呑字ㆍ在ㅌ下, 卽字ㅡ在ㅈ下, 侵字ㅣ在ㅊ右之類.  [여탄자ㆍ재ㅌ하, 즉자ㅡ재ㅈ하, 침자ㅣ재ㅊ우지류.]
 
29
(홍기문:1946 역) 呑字의 ㆍ는 ㄹ 아래 잇고 卽字의 ㅡ는 ㅈ 아래 잇고 侵字의 ㅊ는 ㅣ의 올흔쪽에 있는 類와 가트며
30
(강신항:1974 역) 를 들면 (呑)자의 ㆍ는 ㅌ의 아래에 쓰고 즉(卽)자의 ㅡ는 ㅈ의 아래에 있으며, 침9侵)자의 ㅣ는 ㅊ의 오른쪽에 있음과 같다.
31
(박지홍:1984 역) 呑()자의 ㆍ가 ㅌ 아래에 놓이고, 즉(卽)자의 ㅡ가 ㅈ 아래에 놓이며, 侵(침)자의 ㅣ가 ㅊ 오른쪽에 놓이는 따위와 같다.
32
(국립국어원:2008 역) 를 들면 (呑)자의 ㆍ는 ㅌ의 아래에 쓰고 즉(卽)자의 ㅡ는 ㅈ의 아래에 있으며, 침9侵)자의 ㅣ는 ㅊ의 오른쪽에 있음과 같다.
 
 
33
終聲在初中之下.  [종성재초중지하.]
 
34
(홍기문:1946 역) 終聲은 初聲과 中聲 아래에 잇는 바
35
(강신항:1974 역) 종성(글자)은 초·중성(글자) 밑에 쓰니
36
(박지홍:1984 역) 종성은 초성과 중성의 아래에 놓인다.
37
(국립국어원:2008 역) 종성(글자)은 초·중성(글자)아래에 쓰니
 
 
38
如君字ㄴ在구下 業字ㅂ在下之類.  [여군자ㄴ재구하 업자ㅂ재  하지류.]
 
39
(홍기문:1946 역) 君字의 ㄴ가 그 아래 잇고 業字의 ㅂ가  아래 잇는 類와 가트니라.
40
(강신항:1974 역) 예를 들면 군(君)자의 ㄴ은 구의 밑에 있고, (業)자의 ㅂ은 ㅓ의 밑에 있음과 같다.
41
(박지홍:1984 역) 君(군)字의 ㄴ이 「구」의 아래에 놓이고, 業()자의  「」의 아래에 놓이는 따위와 같다.
42
(국립국어원:2008 역) 예를 들면 군(君)자의 ㄴ은 구의 아래에 있고, (業)자의 ㅂ은 ㅓ의 아래에 있음과 같다.
 
 
43
初聲二字三字合用竝書, 如諺語‧爲地, 爲隻, ‧爲隙之類.  [초성이자삼자합용병서, 여언어‧위지, 위척, ‧위극지류.]
 
44
(홍기문:1946 역) 初聲의 두 字나 석 字나 合用하야 竝書함은 諺語에 ·가 地가 되고 이 雙이 되고 ·이 隙이 되는 類와 가트며
45
(강신항:1974 역) 초성의 두 글자, 세글자 합용병서(合用竝書)은, 가령 국어의 ·가 지(地)가 되고, 이 척(隻)이 되고, ·이 극(隙)이 되는 따위와 같은 것이다.
46
(박지홍:1984 역) 초성의 두 자나 석자를 어울려서 쓸 것이면, 가지런히 쓸 것이니, 우리말의 (地), (雙), (隙)의 따위와 같다.
47
(국립국어원:2008 역) 초성을 두 글자, 세글자 아울러 쓰는 것(合用竝書)은, 가령 우리말의 로 지(地)를 나타내고, 으로 척(隻, 하나)을 나타내고, ·으로 극(隙)을 나타내는 따위와 같은 것이다.
 
 
48
各自竝書, 如諺語 ‧혀爲舌而 ‧爲引, 괴‧여爲我愛人而 괴‧爲人愛我, 소‧다爲覆物而 쏘‧다 爲射之之類.  [각자병서, 여언어 ‧혀위설이 ‧위인, 괴‧여위아애인이 괴‧爲人愛我, 소‧다 위복물이 쏘‧다 위사지지류.]
 
49
(홍기문:1946 역) 各〃저의끼리 竝書함은 諺語에 ·혀가 舌이 되는데 ·가 引이 되고 괴여가 爲我愛이 되는데 괴·가 人愛我가 되고 소·다가 覆物이 되는데 쏘·다가 射之가 되는 類와 가트며
50
(강신항:1974 역) 각자병서는 가령 우리말의 ·혀는 설(舌)이 되는데 ·는 인(引)의 뜻이 되며, 괴·여는 내가 남을 사랑한다는 뜻인데 괴·는 남에게서 내가 사랑받는다는 뜻이 되며, 소·다는 물건을 덮고 쏘·다는 ‘무엇을 쏘다’의 뜻이 되는 따위 같은 것이다.
51
(박지홍:1984 역) 각자(낱낱의 자)를 가지런히 쓸 것이면, 우리말의 혀(舌)에서 (引), 괴여(爲我愛)에서 괴 여(人愛我), 소다(覆物)에서 쏘다(射之)의 따위와 같다.
52
(국립국어원:2008 역) 각자병서는 가령 우리말의 ·혀로 설(舌)을 나타내는데 ·는 인(引)을 나타내며, 괴·여는 내가 남을 사랑한다는 뜻인데 괴·는 남에게서 내가 사랑받는다는 뜻이 되며, 소·다는 물건을 덮고 쏘·다는 ‘무엇을 쏘다’라는 뜻이 되는 따위와 같은 것이다.
 
 
53
中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 ‧과爲琴柱, ‧홰爲炬之類.  [중성이자삼자합용, 여언어 ‧과위금주, ‧홰위거지류.]
 
54
(홍기문:1946 역) 中聲의 두 字나 석 자를 合用함은 諺語에 과가 琴柱가 되고 홰가 炬가 되는 類와 가트며
55
(강신항:1974 역) 중성(글자)를 두 글자, 세 글자 합용하는 것은, 가령 우리말의 ·과로 금주(琴柱)의 뜻이 되고, ·홰로 거(炬)의 뜻이 됨과 같다.
56
(박지홍:1984 역) 중성의 두 자나 석 자를 어울러 쓸 것이면, 우리 토박이말의 과(琴柱), 홰(炬)의 따위와 같다.
57
(국립국어원:2008 역) 중성(글자)를 두 글자, 세 글자 아울러 쓰는 것은 가령 우리말의 ·과로 금주(琴柱)를 표기하고, ·홰로 횃불(炬)을 표기함과 같다.
 
 
58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 爲土, ‧낛 爲釣 ‧爲酉時之類.  [종성이자삼자합용, 여언어 위토, ‧낛 위조 ‧위유시지류.]
 
59
(홍기문:1946 역) 終聲의 두 字나 석 字를 合用함은 諺語에 이 土가 되고 낛이 釣가 되고 가 酉時가 되는 類와 가튼 바
60
(강신항:1974 역) 종성(글자)을 두 글자, 세 글자 합용하는 것은 가령 우리말의 이 토(土)를 나타내고, ·낛이 조(釣)를 나타내며, 로 유시(酉時)를 나타내게 됨과 같다.
61
(박지홍:1984 역) 종성의 두 자나 석자는 어울려 쓸 것이면, 우리 토박이말의 (土)이나 낛(釣)이나 (酉時)의 따위와 같다.
62
(국립국어원:2008 역) 종성(글자)을 두 글자, 세 글자 아울러 쓰는 것은 가령 우리말의 이 토(土)를 나타내고, ·낛이 조(釣)를 나타내며, 로 유시(酉時)를 나타내게됨과 같다.
 
 
63
其合用竝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  [기합용병서, 자재이우, 초중종삼성개동.]
 
64
(홍기문:1946 역) 그 合用竝書는 왼쪽에서부터 올흔쪽으로 나오니 初中終의 三聖이 모두 마찬가지니라.
65
(강신항:1974 역) 이들 합용병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초·중·종성이 다 같다.
66
(박지홍:1984 역) 두 자·석 자를 어울러 쓸 때는 간지러히 쓸 것이며,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이르는데), 초성이나 중성이나 종성이 모두 한가지이다.
67
(국립국어원:2008 역) 이들 합용병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초·중·종성이 다 같다.
 
 
68
文與諺雜用則 有因字音 而補以中終聲者, 如孔子ㅣ魯ㅅ:사之類.  [문여언잡용즉 유인자음 이보이중종성자, 여공자ㅣ노ㅅ:사지류.]
 
69
(홍기문:1946 역) 文과 諺을 석거 쓰자면 字音을 아서는 中聲이나 終聲으로써 補足할 것이 잇스니 子ㅣ魯ㅅ:사의 類와 가트니라.
70
(강신항:1974 역) 한자와 한글을 섞어 쓰는 데는 위에 오는 한자음에 따라서 한글의 중성(글자)나 종성(글자)을 보충하는 일이 있으니, 가령, ‘孔子ㅣ魯ㅅ:사’이라고 쓰는 따위와 같다.
71
(박지홍:1984 역) 한문과 우리 글을 섞어 쓸 때는 글자의 음에 따라서 중성이나 종성으로써 보충하는 일이 있으니 「孔子ㅣ魯ㅅ:사」의 따위와 같다.
72
(국립국어원:2008 역) 한자와 한글을 섞어 쓸 경우에는 위에 오는 한자음에 따라서 한글의 중성(글자)나 종성(글자)을 보충하는 일이 있으니, 가령, ‘孔子ㅣ魯ㅅ:사’이라고 쓰는 따위와 같다.
 
 
73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 爲刀而其聲去, 붇 爲筆而其聲入之類.  [언어평상거입, 여활위궁이기성평, :돌위석이기성상, ‧갈 위도이기성거, 붇 위필이기성입지류.]
 
74
(홍기문:1946 역) 諺語의 平上去入이란, 활은 弓으로 그 聲이 平되되고, :돌은 石으로 그 聲 이 上 되고 ·갈은 刀로 그 聲와이 去 되고 붇은 筆가로 그 聲이 入되는 類와 가튼 바
75
(강신항:1974 역) 우리말의 평상거입의 예를 들면, 활은 ‘궁(弓)’이고 평성이며, 돌은 ‘석(石)’이고 상성이며, 갈은 ‘도(刀)’이고 거성이요, 붇은 ‘붓(筆)’인데그 소리는 입성인 것과 같다.
76
(박지홍:1984 역) 우리 토박이말의 평성·상성·거성·입성은, 활(弓이며, 그 소리는 평성)·돌(石이며, 그 소리는 상성), ·갈(刀이며, 그 소리는 거성), ·붇(筆이며, 그 소리는 입성)의 따위와 같다.
77
(국립국어원:2008 역) 우리말의 평·상·거·입의 예를 들면, 활은 ‘궁(弓)’이고 평성이며, 돌은 ‘석(石)’이고 상성이며, 갈은 ‘도(刀)’이고 거성이요, 붇은 ‘붓(筆)’인데그 소리는 입성이 되는 따위와 같다.
 
 
78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범자지좌, 가일점위거성, 이점위상성, 무점위평성.]
 
79
(홍기문:1946 역) 무릇 글짜의 왼쪽에 한 點을 加하면 去聲이 되고, 두 點이면 上聲이 되고 點이 업쓰면 平聲되거니와
80
(강신항:1974 역) 무릇 글자(음절)의 왼쪽에 한점을 더한 것은 거성이고, 두 점을 더한 것은 상성이며, 점이 없는 것은 평성이다.
81
(박지홍:1984 역) 모든 글자의 왼쪽에 한 점을 찍으면 (이는 ) 거성이 되며, 두 점을 찍으면 상성이 되고, 점이 없으면 평성이 된다.
82
(국립국어원:2008 역) 무릇 글자(음절)의 왼쪽에 한점을 찍으면 거성이고, 두 점을 찍은 것은 상성이며, 점이 없는 것은 평성이다.
 
 
83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  [이문지입성, 여거성상사.]
 
84
(홍기문:1946 역) 入聲은 去聲과 서로 갓고
85
(강신항:1974 역) 중국 자음(字音)의 입성은 거성과 서로 비슷하나,
86
(박지홍:1984 역) 한문의 입성은 거성과 서로 비슷하다.
87
(국립국어원:2008 역) 자음(字音)의 입성은 거성과 서로 비슷하나,
 
 
88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  [언지입성무정, 혹사평성, 여긷위주, 념위협]
 
89
(홍기문:1946 역) 諺의 入聲은 定함이 업서서 或 平聲과 가트니 긷이 柱가 되고 녑이 脅이 됨과 가트며
90
(강신항:1974 역) 우리말의 입성은 일정치 않아서, 혹은 평성과 비슷하여 긷(柱=기둥), 녑(脅=옆구리)과 같이 되고,
91
(박지홍:1984 역) 우리 토박이말의 입성은 정해짐이 없어서 어떤 것은 평성과 비슷하니 긷(柱)·녑(脅)과 같으며,
92
(국립국어원:2008 역) 우리말의 입성은 일정치 않아서, 혹은 평성과 비슷하여 긷(柱=기둥), 녑(脅=옆구리)과 같이 되고,
 
 
93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  [혹사상성, 여:낟위곡, :깁위승.]
 
94
(홍기문:1946 역) 或上聲과 가트니 :낟이 穀이 되고 :깁이 繒이 됨과 가트며
95
(강신항:1974 역) 혹은 상성과 비슷하여 :낟(穀=곡식), :깁(繒=비단)과 같이 되며,
96
(박지홍:1984 역) 어떤 것은 상성과 비슷하니 낟(穀) 깁(繒)과 같으며,
97
(국립국어원:2008 역) 혹은 상성과 비슷하여 :낟(穀=곡식), :깁(繒=비단)과 같이 되며,
 
 
98
或似去聲, 如‧몯爲釘, ‧입爲口之類.  [혹사거성, 여‧몯위정, ‧입위구지류.]
 
99
(홍기문:1946 역) 或去聲과 가트니 ·몯이 釘이 되고 ·입이 口가 됨과 가튼 類로서
100
(강신항:1974 역) 혹은 거성과 비슷하여 :몯(釘=못), ·입(口)과 같이 되는데,
101
(박지홍:1984 역) 어떤 것은 거성과 비슷하니 몯(釘)·입(口)와 같은 따위이다.
102
(국립국어원:2008 역) 혹은 거성과 비슷하여 :몯(釘=못), ·입(口)과 같이 되는데,
 
 
103
其加點則與平上去同.  [기가점즉여평상거동.]
 
104
(홍기문:1946 역) 그 點을 더함은 平上去와 마찬가지니라.
105
(강신항:1974 역) 점을 찍는 것은 평상거성의 경우와 같다.
106
(박지홍:1984 역) 그것들의 점찍기는 (한문의) 평성·상성·거성과 같다.
107
(국립국어원:2008 역) 점을 찍는 것은 평성·상성·거성의 경우와 같다.
 
 
108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  [평상안이화, 춘야, 만물서태]
 
109
(홍기문:1946 역) 平聲은 安靜하고 和하니 봄이라 萬物이 舒泰하고
110
(강신항:1974 역) 평성은 안이화(安而和)하니 봄이라 만물서태(舒泰)하고,
111
(박지홍:1984 역) 평성은 수월하고 부드러우니 봄이며, 온갖 생물이 천천히 피어나 자람이다.
112
(국립국어원:2008 역) 평성은 편안하고 부드러워서(安而和) 봄에 해당되어 만물이 천천히 피어나고(舒泰),
 
 
113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  [상성화이거, 하야, 만물점성.]
 
114
(홍기문:1946 역) 上聲은 和하고 들리니 녀름이라 萬物이 漸〃 盛하고
115
(강신항:1974 역) 상성은 화이거(和而擧)하니 여름이라 만물이 점성(漸盛)하고,
116
(박지홍:1984 역) 상성은 부드럽고 높으니 여름이며, 온갖 생물이 점점 성해짐이다.
117
(국립국어원:2008 역) 상성은 부드럽고 높으니(和而擧) 여름에 해당되어 만물이 점점 무성해지고 (漸盛),
 
 
118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  [거성거이장, 추야, 만물성숙.]
 
119
(홍기문:1946 역) 去聲은 들리고 壯하니 가을이나 萬物이 成熟코
120
(강신항:1974 역) 거성은 거이장(擧而壯)하니 가을이라 만물이 성숙하고,
121
(박지홍:1984 역) 거성은 높고 단단하니 가을이며, 온갖 생물이 열매가 익음이다.
122
(국립국어원:2008 역) 거성은 높고 씩씩하니(擧而壯) 가을에 해당되어 만물이 무르익고,
 
 
123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  [입성촉이색, 동야, 만물폐장.]
 
124
(홍기문:1946 역) 入聲은 促하고 막히니 겨울이라 萬物이 閉藏하나니라
125
(강신항:1974 역) 입성은 (促而塞) 겨울에 해당되어 만물이 숨고 갖추어짐과 같다.
126
(박지홍:1984 역) 입성은 빠르고 막히니 겨울이녀, 온갖 생물이 자취를 감추고 숨김이다.
127
(국립국어원:2008 역) 입성은 빠르고 막히니(促而塞) 겨울에 해당되어 만물이 숨고 갖추어짐과 같다.
 
 
128
初聲之ᅙ與ㅇ相似, 於諺可以通用也.  [초성지ㆆ여ㅇ상사, 어언가이통용야.]
 
129
(홍기문:1946 역) 初聲의 ㆆ는 ㅇ와 더부러 서로 비슷하야 諺에서는 通用할수 잇나니라.
130
(강신항:1974 역) 초성의 ㆆ은 ㅇ와 서로 비슷해서 국어에서는 통용될 수 있다.
131
(박지홍:1984 역) 초성의 ㆆ과 ㅇ은 서로 닮았으므로 토박이말에서는 서로 통용할 수 있다.
132
(국립국어원:2008 역) 초성의 ㆆ은 ㅇ와 서로 비슷해서 우리말에서는 통용될 수 있다.
 
 
133
半舌有輕重二音.  [반설유경중이음.]
 
134
(홍기문:1946 역) 半舌에도 輕重의 두 音이 잇스나
135
(강신항:1974 역) 반설음에도 경·중 두 가지 음이 있으나,
136
(박지홍:1984 역) 반혓소리에는 가볍고 무거운 두 소리가 있다.
137
(국립국어원:2008 역) 반설음에도 경·중 두 가지 음이 있으나,
 
 
138
然韻書字母唯一,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  [연운서자모유일, 차국어수불분경중, 개득성음.]
 
139
(홍기문:1946 역) 韻書의 字母는 오즉 하나요  우리말도 비록 輕重을 區別치는 안하되 모다 音을 이룰 수는 잇스니
140
(강신항:1974 역) 운서의 자모에서는 이를 구별하지 않았고, 또한 국어(글자)에서도 경·중을 나누지 아니하나 모두 소리를 이룰 수 있다.
141
(박지홍:1984 역) 그러나 운서의 자모에서는 오직 하나이며, 또한 우리 나라 말에서는 가볍고 무거움을 나누지 않고서도(ㄹ만으로써) 모두 말소리를 이룰 수 있다.
142
(국립국어원:2008 역) 중국 운서의 자모에서는 (이를 구별하지 않고) 하나로 하였고, 또한 국어(글자)에서도 경·중을 나누지 아니하나 모두 소리를 이룰 수 있다.
 
 
143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ㅇ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齶.  [약욕비용, 즉의순경례, ㅇ연서ㄹ하, 위반설경음, 설사부상악.]
 
144
(홍기문:1946 역) 萬若 가추어 쓰고자 할댄 脣輕의 例에 依해서 ㅇ를 ㄹ아래 連書하야 半舌經音을 맨들 것인데 혀를 잠간 上齶에 부치나니라.
145
(강신항:1974 역) 그러니 만약에 갖추어서 쓰고 싶으면 순경음(글자)의 예를 좇아 ㅇ를 ㄹ의 아래에 이어 써서 반설경음(글자 ᄛ)을 만들고 발음은 혀를 잠깐 웃잇몸에 붙인다.
146
(박지홍:1984 역) 만약에 갖추어서 쓰고자 하면 입술가벼운 소리의 보기에 따라 ㅇ자를 ㄹ자 아래에 이어쓰면, 반혀가벼운 소리가 되는데, (이때) 혀가 잠시 웃잇몸에 붙는다.
147
(국립국어원:2008 역) 그러니 만약에 갖추어서 쓰고 싶으면 순경음(글자)의 예를 좇아 ㅇ를 ㄹ의 아래에 이어 써서 반설경음(글자 ᄛ)을 만들고 혀를 잠깐 윗잇몸에 닿도록 해서 발음한다.
 
 
148
ㆍㅡ起ㅣ聲, 於國語無用.  [ㆍㅡ기ㅣ성, 어국어무용.]
 
149
(홍기문:1946 역) ㆍ ㅡ가 ㅣ 소리에서 일어나는 것은 우리말에 소용이 업고
150
(강신항:1974 역) ㅣ음이 앞에 와서 ㆍ음이나 ㅡ음과 결함된 음(중모음)은 국어에서 쓰지 않으나
151
(박지홍:1984 역) ㆍ와 ㅡ가 ㅣ소리에서 시작되는 것은 우리나라 말에는 쓰이는 것이 없다.
152
(국립국어원:2008 역) ㅣ음이 앞에 와서 ㆍ음이나 ㅡ음과 결함된 음(중모음)은 국어에서 쓰이지 않으나
 
 
153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當合二字而用, 如之類.  [아동지언, 변야지어, 혹유지, 당합이자이용, 여지류.]
 
154
(홍기문:1946 역) 兒童의 말이나 邊野의 말에 或 잇나니 맛당히 두 字를 合하야 쓸 것으로 의 類와 가튼 것인 바
155
(강신항:1974 역) 아이들 말이나 변두리 시골말에는 간혹 있으니 마땅히 두 글자를 합하여 나타내려 할 때에는 따위와 같이 쓸 것이되,
156
(박지홍:1984 역) 어린이의 말이나 시골말에 혹 그것이 있는데 (이는) 마땅히 두 글자를 어울려서 써야할 것이니, 의 따위와 같다.
157
(국립국어원:2008 역) 아이들 말이나 변두리 시골말에는 간혹 있으니 마땅히 두 글자를 합하여 나타내려 할 때에는 따위와 같이 한다.
 
 
158
其先縱 後橫, 與他不同.  [기선종 후횡, 여타부동.]
 
159
(홍기문:1946 역) 그 세로된 것을 몬저하고 가로된 것을 나종함이 다른 것과 다르니라.
160
(강신항:1974 역) 세로 된 글자를 먼저 긋고 가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쓰는 것은 다른 글자(이중모음)의 경우와 같지 않다.
161
(박지홍:1984 역) 그것은 세로를 먼저하고(=적고), 가로를 뒤에 하는데(=적는데), (이는)다른 것과는 같지 아니하다.
162
(국립국어원:2008 역) 그러나 세로로 된 글자를 먼저 긋고 가로로된 글자를 나중에 쓰는 것은 다른 글자(이중모음)의 경우와 같지 않다.
 
 
163
初聲在中聲左上  [초성재중성재상]
 
164
(홍기문:1946 역) 初聲은 中聲의 우든지 왼쪽에
165
(강신항:1974 역) 초성은 중성의 왼쪽 위에 쓰는데
166
(박지홍:1984 역) 초성은 중성의 왼쪽 위에 놓이고
167
(국립국어원:2008 역) 초성(글자)은 중성의 왼쪽과 위에 쓰는데
 
 
168
挹欲於諺用相同  [욕어언용상동]
 
169
(홍기문:1946 역) 挹과 欲 諺에서 쓰임이 갓도다.
170
(강신항:1974 역) ㆁ(挹)와 ㅇ(欲)는 우리말에서 서로 같이 쓰인다.
171
(박지홍:1984 역) ㆆ와 ㅇ은 우리말에서 쓰이면 서로 같다.
172
(국립국어원:2008 역) ㆁ(挹)과 ㆁ(欲)은 우리말에서서로 같이 쓰이네
 
 
173
中聲十一附初聲  [중성십일부초성]
 
174
(홍기문:1946 역) 中聲의 열하난 初聲에 붓는데
175
(강신항:1974 역) 중성 열하나는 초성에 붙는데
176
(박지홍:1984 역) 중성 11자를 초성에 붙일 때는
177
(국립국어원:2008 역) 중성(글자) 열하나는 초성에 붙이는데
 
 
178
圓橫書下 右書縱  [원횡서하 우서종]
 
179
(홍기문:1946 역) 圓과橫 아래로 縱만이 올흔
180
(강신항:1974 역) 둥근 것과 가로된 것은 아래에 붙이고 세로된 것만 오른쪽에 붙인다.
181
(박지홍:1984 역) 둥근 것 가로된 것은 아래에 적고, 오른쪽에느 세로 된 것을 적는다.
182
(국립국어원:2008 역) 둥근 것과 가로된 것은 아래에 쓰고 세로된 것만 오른쪽에 쓰네
 
 
183
欲書終聲在何處  [욕서종성재하처]
 
184
(홍기문:1946 역) 終聲을 쓰자면 그어듸 될것고
185
(강신항:1974 역) 종성을 쓰자면 그 어디에 쓰나?
186
(박지홍:1984 역) 종성을 쓰고자 할 때에는 어디에 둘 것인가?
187
(국립국어원:2008 역) 종성을 쓰자면 그 어디에 쓰나?
 
 
188
初中聲下接着寫  [초중성하접착사]
 
189
(홍기문:1946 역) 初中終 아래에 잇대어 쓸찌라.
190
(강신항:1974 역) 초성, 중성 아래 잇따라 쓰라.
191
(박지홍:1984 역) 초성과 중성의 아래에 이어서, 붙여 적는다.
192
(국립국어원:2008 역) 초성, 중성(글자)의 아래에 쓰네
 
 
193
初終合用各竝書  [초중합용각병서]
 
194
(홍기문:1946 역) 初終을 合用코
195
(강신항:1974 역) 초성, 종성을 합용하고 중성도 합용하되
196
(박지홍:1984 역) 초성과 종성은 어울러 쓸 때에는 각각 가지런히 적고
197
(국립국어원:2008 역) 초성, 종성(글자)를 합용하려면 각각 나란히 쓰고
 
 
198
中亦有合悉自左  [중역유합실자재]
 
199
(홍기문:1946 역) 中聲도 合用퇴 각긔다 竝書로 왼서 부터라
200
(강신항:1974 역) 저마다 다 병서(竝書)로 왼쪽부터 쓰라.
201
(박지홍:1984 역) 중성도 또한 어울림이 있을 때는 모두 왼쪽부터 쓴다.
202
(국립국어원:2008 역) 중성(글자)도 합용하되 다 왼쪽부터 쓰네.
 
 
203
諺之四聲何以辨  [언지사성하이변]
 
204
(홍기문:1946 역) 諺에는 四聲을 어케 가릴
205
(강신항:1974 역) 우리말에선 사성(四聲)을 어떻게 가리나?
206
(박지홍:1984 역) 우리 토박이말의 4성은 무엇으로써 구별할 것인가?
207
(국립국어원:2008 역) 우리말에선 사성(四聲)을 어떻게 가리나?
 
 
208
平聲則弓上則石  [평성즉궁상즉우]
 
209
(홍기문:1946 역) 平聲은 『활』이요 上聲은 『돌』이요
210
(강신항:1974 역) 평성은 활[弓]이요, 상성은 돌[石]
211
(박지홍:1984 역) 평성은 활(弓), 상성은 :돌(石)이오,
212
(국립국어원:2008 역) 평성은 활(弓), 상성은 :돌(石)이네
 
 
213
刀爲去而筆爲入  [도위거이필위입]
 
214
(홍기문:1946 역) 『붓』이란 入되고 『갈』이란 去되니
215
(강신항:1974 역) 갈[刀]은 거성 되고, 붇[筆]은 입성 되니
216
(박지홍:1984 역) ·갈(刀)은 거성이 되며, 붇(筆)은 입성이 된다.
217
(국립국어원:2008 역) ·갈(刀)은 거성이 되며, 붇(筆)은 입성이 되니
 
 
218
觀此四物他可識  [관차사물타가식]
 
219
(홍기문:1946 역) 이 넷을 보아서 다른 건 알리라
220
(강신항:1974 역) 이 넷을 보아서 다른 것은 알 것이다.
221
(박지홍:1984 역) 이 네 물건으로 살펴보면 다른 것(글자)은 알 수 있다.
222
(국립국어원:2008 역) 이 네 가지를 보아서 다른 것도 알 수 있네.
 
 
223
音因左點四聲分  [음인좌점사성분]
 
224
(홍기문:1946 역) 왼의 點으로 四聲을 난호아
225
(강신항:1974 역) 왼쪽에
226
(박지홍:1984 역) (글자의)음은 왼쪽 점에 따라 4가지 소리로 나누어지니,
227
(국립국어원:2008 역) 음을 바탕삼아 왼쪽의 점(點)으로 사성을 나누어
 
 
228
一去二上無點平  [일거이상무점평]
 
229
(홍기문:1946 역) 하난去 둘은上 업쓰면 平인데
230
(강신항:1974 역) 하나면 거성 둘은 상성, 없으면 평성
231
(박지홍:1984 역) 하나가 거성, 둘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232
(국립국어원:2008 역) 하나면 거성, 둘은 상성, 없으면 평성이네
 
 
233
語入無定亦加點  [어입무정역가점]
 
234
(홍기문:1946 역) 諺語의 入聲은 各聲에 헤첫고
235
(강신항:1974 역) 우리말 입성은 정함이 없으나 평상거성처럼 점찍고
236
(박지홍:1984 역) 우리 말의 입성은 정해짐이 없으나, 역시 점은 찍으며,
237
(국립국어원:2008 역) 우리말 입성은 정함이 없으나 평·상·거성처럼 점 찍고
 
 
238
文之入則似去聲  [문지입즉사거성]
 
239
(홍기문:1946 역) 文字의 入聲은 去聲과 갓도다.
240
(강신항:1974 역) 한자의 입성은 거성과 비슷
241
(박지홍:1984 역) 한문의 입성은 거성과 비슷하다.
242
(국립국어원:2008 역) 한자음의 입성은 거성과 비슷하네
 
 
243
方言俚語萬不同  [방언이어만부동]
 
244
(홍기문:1946 역) 方言과 俚語가 萬가지 다르매
245
(강신항:1974 역) 방언과 이어(俚語)가 모두 다르매
246
(박지홍:1984 역) 방언과 민간말이 모두 (중국과) 같지 않아서
247
(국립국어원:2008 역) 방언과 이어(俚語)가 모두 다르매
 
 
248
有聲無字 書難通  [유성무자 서난통]
 
249
(홍기문:1946 역) 聲잇고 字업서 글通치 못거든
250
(강신항:1974 역) 소리 있고 글씬 없어 글로 통하지 못하더니
251
(박지홍:1984 역) 소리는 있으나 글자가 없어 적음에 통하기가 어렵더니,
252
(국립국어원:2008 역) 소리 있고 글자는 없어 글로 통하기 어렵더니
 
 
253
一朝 制作俟神工  [일조 제작사신공]
 
254
(홍기문:1946 역) 一朝에 맨드셔 神工에 견주니
255
(강신항:1974 역) 하루아침에 만드셔 하늘 솜씨에 비기니
256
(박지홍:1984 역) 하루아침에 (임금님께서)지으셨으나, (지으심이)신의 조화 같으셔서,
257
(국립국어원:2008 역) 하루아침에 (임금께서) 만드셔 하늘 솜씨에 비기니
 
 
258
大東千古開矇矓  [대동천고개몽룡]
 
259
(홍기문:1946 역) 東편 千古에 어두움 여삿다.
260
(강신항:1974 역) 대동땅(大東: 朝鮮) 천고에 어둠을 깨우치셨네.
261
(박지홍:1984 역) 우리나라에 영원토록 어둠을 가셧구나.
262
(국립국어원:2008 역) 우리나라 오랜 역사에 어둠을 깨우치셨네.
【원문】訓民正音解例 合字解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국어〕
▪ 최근 3개월 조회수 : 2082
- 전체 순위 : 18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4 위 / 21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2) 을지문덕
• (11) 날개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정인지(鄭麟趾) [저자]
 
  # 세종 어제 [저자]
 
  1443년 [발표]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카탈로그   목차 (총 : 8권)     이전 6권 다음 한글(고어) 
◈ 訓民正音(훈민정음) 解例本(해례본)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3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