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訓民正音(훈민정음) 解例本(해례본) ◈
◇ 訓民正音解例 中聲解 ◇
카탈로그   목차 (총 : 8권)     이전 4권 다음
1443년
세종 어제
1
訓民正音解例
2
中聲解
 
 
3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중성자, 거자운지중, 합초종이성음.]
 
4
(홍기문:1946 역) 中聲이란 것은 字韻의 한가온대 잇서서 初聲 終聲과 合하야 音을 이루는 것이니
5
(강신항:1974 역) 중성이란 것은 자운(字韻)의 한가운데에 있어서 초성과 종성과 합하여 음을 이룬다.
6
(박지홍:1984 역) 중성은 자모와 운모의 가운데에 놓여서, 초성과 종성을 어울러서 말소리를 이룬다.
7
(국립국어원:2008 역) 중성은 자운(字韻)의 한가운데에 있어서 초성과 종성을 아울러서 음(음절)을 이룬다.
 
 
8
如呑字中聲是ㆍ, ㆍ居ㅌㄴ之間而爲.  [여탄자중성시ㆍ, ㆍ거ㅌㄴ之間而爲.]
 
9
(홍기문:1946 역) 呑字의 中聲은 ㆍ인데 ㆍ가 ㅌㄴ의 사이에 잇서 이 되고
10
(강신항:1974 역) 예를 들면 (呑)자의 중성은 ㆍ인데 ㆍ가 ㅌ과 ㄴ사이에 있어서 이 되고
11
(박지홍:1984 역) (그것은) 呑자의 중성은 ㆍ인데, ㆍ가 ㅌ과 ㄴ의 사이에 놓여서 [탄]을 만듦과,
12
(국립국어원:2008 역) 예를 들면 (呑)자의 중성은 ㆍ인데 ㆍ가 ㅌ과 ㄴ사이에 있어서 ‘’이 되고,
 
 
13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  [즉자중성시ㅡ, ㅡ거ㅈㄱ지간이위즉.]
 
14
(홍기문:1946 역) 卽字의 中聲은 ㅡ인데 ㅡ가 ㅈㄱ의 사이에 잇서 즉이 되고
15
(강신항:1974 역) 즉(卽)자의 중성은 곧 ㅡ인데 ㅡ는 ㅈ과 ㄱ사이에 있어 즉이 되고,
16
(박지홍:1984 역) 卽자의 중성은 ㅡ인데, ㅡ가 ㅈ과 ㄱ의 사이에 놓여서 그리하여 [즉]을 만듦과,
17
(국립국어원:2008 역) 즉(卽)자의 중성은 곧 ㅡ인데 ㅡ는 ㅈ과 ㄱ사이에 있어서 ‘즉’이 되고,
 
 
18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  [침자중성시ㅣ, ㅣ거ㅊㅁ지간이위침지류.]
 
19
(홍기문:1946 역) 侵字의 中聲은 ㅣ인데 ㅊㅁ사이에 잇서 침이 되는 類와 가트며
20
(강신항:1974 역) 침(侵)자의 중성은 곧 ㅣ인데 ㅣ가 ㅊ과 ㅁ사이에 있어서 침이 되는 따위와 같다.
21
(박지홍:1984 역) 侵자의 중성은 ㅣ인데, ㅣ가 ㅊ과 ㅁ의 사이에 놓여서 그리하여 [침]을 만드는 따위와 같다.
22
(국립국어원:2008 역) 침(侵)자의 중성과 곧 ㅣ가 ㅊ과 ㅁ사이에 있어서 ‘침’이 되는 것과 같다.
 
 
23
洪覃君業欲穰戌彆, 皆倣此.  [홍담군업욕양술별, 개방차.]
 
24
(홍기문:1946 역) 洪覃君業欲穰戌彆도 모도 이와 가트니라.
25
(강신항:1974 역) (洪), 땀(覃), 군(君), (業), 욕(欲), (穰), 슗(戌), (彆)도 모두 이와 같다.
26
(박지홍:1984 역) 洪, 覃, 君, 業, 欲, 穰, 戌, 彆이 모두 이에 따른다.
27
(국립국어원:2008 역) (洪), 땀(覃), 군(君), 업(業), 욕(欲), (穰), 슗(戌), (엸)도 모두 이와 같다.
 
 
28
二字合用者, ㅗ與ㅏ同出於ㆍ, 故合而爲ㅘ.  [이자합용자, ㅗ여ㅏ동출어ㆍ, 고합이위ㅘ.]
 
29
(홍기문:1946 역) 두 字를 合用하는 데는 ㅗ와 ㅏ가 함 ㆍ에서 나스매 合하야 ㅘ가 되고
30
(강신항:1974 역) 두 자를 합용(合用)함에는 ㅗ와 ㅏ가 다 같이 ㆍ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 ㅘ가 되고
31
(박지홍:1984 역) 두 자가 어울려서 쓰이는 것은, ㅗ와 ㅏ는 똑같이 ㆍ(양성)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 ㅘ가 됨.
32
(국립국어원:2008 역) 두 글자를 합용(合用)함에는 ㅗ와 ㅏ가 다 같이 ㆍ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서 ㅘ가 되고,
 
 
33
ㅛ與ㅑ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ㆇ.  [ㅛ여ㅑ우동출어ㅣ, 고합이위ㆇ.]
 
34
(홍기문:1946 역) ㅛ와 ㅑ가  한 ㅣ에서 나왓스매 合하야 ㆇ가 되고
35
(강신항:1974 역) ㅛ와 ㅑ가 또한 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 ㆇ가 되고
36
(박지홍:1984 역) (다음으로) ㅛ와 ㅑ는 똑같이 ㅣ(중성)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서 ㆇ가 됨.
37
(국립국어원:2008 역) ㅛ와 ㅑ가 또한 ㅣ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서 ㆇ가 되고,
 
 
38
ㅜ與ㅓ同出於ㅡ, 故合而爲ㅝ.  [ㅜ여ㅓ동출어ㅡ, 고합이위ㅝ.]
 
39
(홍기문:1946 역) ㅜ와 ㅓ가 한 ㅡ에서 나왓스매 合하야 ㅝ가 되고
40
(강신항:1974 역) ㅜ와 ㅓ가 다 같이 ㅡ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 ㅝ가 되고
41
(박지홍:1984 역) ㅜ와 ㅓ는 똑같이 ㅡ(음성)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서 ㅝ가 됨.
42
(국립국어원:2008 역) ㅜ와 ㅓ가 다 같이 ㅡ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서 ㅝ가 되고,
 
 
43
ㅠ與ㅕ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ㆊ.  [ㅠ여ㅕ우동출어ㅣ 고합이위ㆊ.]
 
44
(홍기문:1946 역) ㅠ가 ㅕ가  한 ㅣ에서 나왓스매 合하야 ㆊ가 되는 것이니
45
(강신항:1974 역) ㅠ와 ㅕ가 또한 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 ㆊ가 되는 것이니
46
(박지홍:1984 역) ㅠ와 ㅕ는 똑같이 ㅣ(중성)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서 ㆊ가 됨.
47
(국립국어원:2008 역) ㅠ와 ㅕ가 또한 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어울려서 ㆊ가 되는 것이니
 
 
48
以其同出而爲類, 故相合而不悖也.  [이기동출이위류, 고상합이부패야.]
 
49
(홍기문:1946 역) 한 나와서 類가 됨으로 서로 合해서 어그러지지 안나니라.
50
(강신항:1974 역) 함께 나와서 유(類)가 되므로 서로 합해서 어그러지지 않는다.
51
(박지홍:1984 역) 그리하여 그것들은 (같은 것에서) 똑같이 나와서 동아리가 되니, 그러므로, 어울려서 어그러지지 않는다.
52
(국립국어원:2008 역) (같은 것으로부터) 함께 나와서 같은 유(類)가 되므로 서로 어울려도 어그러지지 않는다.
 
 
53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是也.  [일자중성지여ㅣ상합자십,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시야.]
 
54
(홍기문:1946 역) 한 字의 中聲으로서 ㅣ와 더부러 서로 合한 것은 열이니 ㆎㅢㅚㅐㅟㅔㆉㅒㆌㅖ가 그것이요
55
(강신항:1974 역) 한 자의 중성으로서 ㅣ와 서로 합한 것은 열이니 ㅓ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가 그것이요,
56
(박지홍:1984 역) 한 자(로 된) 중성이 ㅣ와 서로 어울린 것은 10개인데,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가 이것이다.
57
(국립국어원:2008 역) 한 글자로 된 중성으로서 ㅣ와 서로 어울린 것은 열이니 ㅓ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가 그것이요,
 
 
58
二字中聲之與ㅣ相合者四, ㅙㅞㆈㆋ是也.  [이자중성지여ㅣ상합자사, ㅙㅞㆈㆋ시야.]
 
59
(홍기문:1946 역) 두 字의 中聲으로서 ㅣ와 더부러 서로 合한 것은 넷이니 ㅙㅞㆈㆋ가 그것이다.
60
(강신항:1974 역) 두 자의 중성으로서 ㅣ와 서로 합한 것은 넷이니 ㅙ ㅞ ㆈ ㆋ가 그것이다.
61
(박지홍:1984 역) 두 자로 된 중성이 ㅣ와 서로 어울리는 것은 4개인데, ㅙ ㅞ ㆈ ㆋ가 이것이다.
62
(국립국어원:2008 역) 두 글자로 된 중성으로서 ㅣ와 서로 어울린 것은 넷이니 ㅙ ㅞ ㆈ ㆋ가 그것이다.
 
 
63
ㅣ於深淺闔闢之聲, 竝能相隨者, 以其舌展聲淺而便於開口也.  [ㅣ어심천합벽지성, 병능상수자, 이기설전성천이편어개구야.]
 
64
(홍기문:1946 역) ㅣ가 深淺闔闢의 소리에 어울려서 能히 서로 르는 바는 혀가 펴지고 소리가 야터서 입을 여는데 便하기 문이어니와
65
(강신항:1974 역) ㅣ가 심천합벽(深淺闔闢)의 소리(모음)에 어울려서 능히 서로 따르는 것은, 혀가 펴지고 소리가 얕아서 입을 열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66
(박지홍:1984 역) ㅣ가, 깊고, 얕고, 오므리고, 벌린 소리에 두루 능히 서로 따를수 있는 것은, 그것은 혀는 펴지고 소리는 얕아서 입을 벌리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67
(국립국어원:2008 역) ㅣ가 심천합벽(深淺闔闢) 등 모든 모음소리(모음 글자)에 어울려서 능히 서로 따를 수 있는 것은, 혀가 펴지고 소리가 얕아서 입을 열기에 편하기 때문이다.(ㅣ모음이 모든 모음과 어울리는 것을 보고서)
 
 
68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  [역가견인지참찬개물이무소불통야.]
 
69
(홍기문:1946 역) 한 可히 人의 開物을 參贊하야 通치 안는 바이 업슴을 볼지니라.
70
(강신항:1974 역) 또한 가히 사람(人)이 개물(開物)에 참여하여 통하지 않는 바가 없음을 볼 수 있다.
71
(박지홍:1984 역) (그래서 우리는 여기서) 또한 사람이 만물을 여는 데에 참여하여 도우며, 통하지 않는 일이 없음을 볼 수 있다.
72
(국립국어원:2008 역) 또한 가히 사람(人)이 사람의 지식을 개발하여 사업을 달성시키는 일에 참여하여 통하지 않는 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73
訣曰 母字之音各有中.  [모자지음각유중.]
 
74
(홍기문:1946 역) 訣에 가로되, 音마다 제 各其 中聲이 잇스니
75
(강신항:1974 역) 결(訣)에 이르되, 모(母)가 되는 글자의 음(音)마다 제각기 중성이 있으니
76
(박지홍:1984 역) 마무려서 이른다, 글자마다 음에는 각각 중성이 있으니,
77
(국립국어원:2008 역) 결(訣)에 이르되, 모(母)가 되는 글자의 음(音)마다 제각기 중성이 있으니
 
 
78
須就中聲尋闢闔  [수취중성심벽합]
 
79
(홍기문:1946 역) 모로미 거기서 闔과 闢 차즈라.
80
(강신항:1974 역) 모름지기 거기서 합벽(闔闢)을 찾으라.
81
(박지홍:1984 역) 모름지기 그 중성에 따라서 열고 닫김을 찾아라.
82
(국립국어원:2008 역) 모름지기 거기서 합벽(闔闢)을 찾으라.
 
 
83
洪覃自呑可合用  [홍담자탄가합용]
 
84
(홍기문:1946 역) 洪과覃 呑으로 부터라 合用코
85
(강신항:1974 역) ㅗ(洪)와 ㅏ(覃)는 ㆍ(呑)로부터 합용(合用)하며
86
(박지홍:1984 역) ㅗ와 ㅏ는 ㆍ에서 나왔으니 어울려 쓰일수 있고,
87
(국립국어원:2008 역) ㅗ(洪)와 ㅏ(覃)는 ㆍ(呑)로부터 나왔으니 아울러 쓸 수 있고
 
 
88
君業出卽亦可合  [군업출즉역가합]
 
89
(홍기문:1946 역) 卽에서 난君業 可히 合하리.
90
(강신항:1974 역) ㅡ(卽)에서 나온 ㅜ(君) ㅓ(業) 또한 가히 합하리.
91
(박지홍:1984 역) ㅜ와 ㅓ는 ㅡ에서 나왔으므로 또한 어울릴수 있다.
92
(국립국어원:2008 역) ㅡ(卽)에서 나온 ㅜ(君) ㅓ(業) 또한 가히 합하리.
 
 
93
欲之與穰戌與彆  [욕지여양술여별]
 
94
(홍기문:1946 역) 欲과밋 穰이나 戌과밋 彆이나
95
(강신항:1974 역) ㅛ(欲)와 ㅑ(穰)나 ㅠ(戌) ㅕ(彆)나
96
(박지홍:1984 역) ㅛ가 ㅑ에, ㅠ가 ㅕ에
97
(국립국어원:2008 역) ㅛ(欲)와 ㅑ(穰)나 ㅠ(戌) ㅕ(彆)나
 
 
98
各有所從義可推  [각유소종의가추]
 
99
(홍기문:1946 역) 제각기 는바 미뤼서 알라.
100
(강신항:1974 역) 제각기 좇는 바를 미루어 뜻을 알라.
101
(박지홍:1984 역) 각각 따르는 바가 있음도, 그 까닭을 미루어 알수 있다.
102
(국립국어원:2008 역) 제각기 좇는 바를 미루어 뜻(이치)을 알 수 있네.
 
 
103
侵之爲用最居多  [침지위용최거다]
 
104
(홍기문:1946 역) 侵字의 用됨이 그가장 만허서
105
(강신항:1974 역) ㅣ(侵)자의 용(用) 됨이 그 가장 많아서
106
(박지홍:1984 역) ㅣ는 (그) 쓰임을 가장 많이 차지하며
107
(국립국어원:2008 역) ㅣ(侵)자의 용(用)됨이 가장 많아서
 
 
108
於十四聲徧相隨  [어십사성편상수]
 
109
(홍기문:1946 역) 열넷의 소리에 그두루 토다.
110
(강신항:1974 역) 열넷의 소리에 두루 따르네.
111
(박지홍:1984 역) 14소리에 두루 서로 따른다.
112
(국립국어원:2008 역) 열넷의 소리(모음)에 두루 따르네.
【원문】訓民正音解例 中聲解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국어〕
▪ 최근 3개월 조회수 : 2082
- 전체 순위 : 18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4 위 / 21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2) 을지문덕
• (11) 날개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정인지(鄭麟趾) [저자]
 
  # 세종 어제 [저자]
 
  1443년 [발표]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카탈로그   목차 (총 : 8권)     이전 4권 다음 한글(고어) 
◈ 訓民正音(훈민정음) 解例本(해례본)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3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