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용(龍)· 해어(海魚)의 안정(眼睛) ◈
카탈로그   본문  
최남선
1
龍[용]· 海魚[해어]의 眼睛[안정]
 
 
2
여하간 시방 우리들의 전설적 상식에 있어서는 용하면 여의주, 여의주하면 용 하여, 이 둘은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을 만큼 언제든지 서로 붙어다니는 것이 되었음은 새삼스레 말할 것도 없는 일입니다.
 
3
조선과 한가지로 일본에서도 불교와 한가지 여의주를 알게 된 것은 물론인데, 일본의 여의주에 관해서는 몇 가지 이야기거리가 있읍니다. 하나로 〈日本書紀[일본서기]〉를 보건대, 仲哀天皇[중애천황] 二[이]년(서기一九三[일구삼])의 條[조]에 「皇后泊豐浦岸[황후박풍포안], 是日皇后得如意珠於海中[시일황후득여의주어해중]」이라 한 기사가 있읍니다.
 
4
여기 皇后[황후]라 함은 神功皇后[신공황후]를 이름인데, 이것은 九州[구주] 지방의 熊襲[웅습] 부족이 반도 민족으로 더불어 연락을 취하여 반란을 꾸민 것을 정벌할 양으로, 군사가 長門國[장문국] 豐浦津[풍포진]에 이르렀을 때의 일입니다. 대저 백제로부터 일본 불법이 전해 가기는 欽明天皇[흠명천황] 十三[십삼]년(서기 五五二[오오이]), 이때로부터 三六○[삼육공] 년이나 뒤의 일이거늘, 불교를 통해서 비로소 알았을 여의주의 이름이 이미 여기 보임은 매우 乖常(괴상)하다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학자들 중에는 이 기사에 사실 배경이 있다고 하면, 그것은 후인이 여의주로 생각하는 것 따위의 신비한 어느 종류의 구슬이거늘, 〈史記[사기]〉를 꾸미는 이가 그때의 통용하는 말을 빌어 이렇게 쓴 것이라고 하는 말이 있읍니다(安齋隨筆[안재수필] 一[일], 二[이] 참조). 또 하나는 〈隋書[수서]〉 倭國傳[왜국전]에,
 
 
5
有如意寶珠[유여의보주], 其色靑[기색청], 大如鷄卵[대여계란], 夜則有光云[야칙유광운], 魚眼精也[어안정야], 新羅百濟皆以倭爲大國[신라백제개이왜위대국], 多珍物[다진물], 竝敬仰之[병경앙지],
 
 
6
라 한 것이니, 倭國[왜국] 곧 일본에서 여의주라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물고기의 눈알이라고 함입니다. 이것은 불가사의한 조화를 가진 줄로 생각하던 여의주가 現實時根據[현실시근거]를 魚[어]의 眼睛[안정]에 있는 동시에 그 전설적 취미가 차차 무너져 가는 경향을 보이는 일례입니다. 미상불 해중 巨魚[거어]의 眼睛[안정]을 明珠[명주]로 생각하는 풍은 支那[지나]에서 부터 있는 바니, 〈述異記[술이기]〉에 「南海有明珠[남해유명주], 即鲸魚目瞳[즉경어목동], 鲸死而皆無睛[경사이개무정], 可以鑒[가이감], 謂之夜光[위지야광]」이라고 하고, 〈裵氏廣州記[배씨광주기]〉에 「鲸鯤目[경곤목], 即明月珠[즉명월주], 故死不見有目睛[고사불견유목정]」이라 한 것처럼, 죽은 고래의 눈을 뺀 것이 야광주· 명월주라 하였읍니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한 걸음 내켜서, 어떠한 海魚[해어]의 眼睛[안정]을 여의주라고 하였던 것읍니다.〈三國史記[삼국사기]〉를 보면, 백제의 阿莘王[아신왕] 十一[십일]년(서기 四○二[사공이])에는 「遣使倭國[견사왜국], 求大珠[구대주]」하고, 그 뒤 七[칠]년 만인 腆支王[전지왕] 五[오]년에는 「倭國遣使送夜明珠[왜국견사송야명주], 王優禮待之[왕우예대지]」하였다는 기사가 있으니, 이것들도 아마 魚[어]의 眼睛[안정]이었던지 모릅니다. 여하간 일본이 해국인 탓이든지, 보배로운 구슬의 산지로 들린 양하여, 조선· 支那[지나] 등과의 사이에 구슬에 관한 교통 사실이 더러 〈史記[사기]〉에 전해 있읍니다. 그리고 一[일]천 五[오], 六[육]백 년 이전, 이때 백제에서 일부러 외국에 구슬을 청구한 동기는 무슨 신앙적 이유가 있던 일일지도 모릅니다. 또 節唐[절당] 시절에는 명월주와 함께 火精珠[화정주]· 火齊珠[화제주]라 하는 것이 보배로 들렸는데, 이것들은 아마 수정을 갈아 만든 것을 이름인 듯하다는 설도 있읍니다.
 
7
(續南方隨筆[속남방수필] 九頁[구혈] 참조).
【원문】용(龍)· 해어(海魚)의 안정(眼睛)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수필〕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16
- 전체 순위 : 2892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427 위 / 183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용· 해어의 안정 [제목]
 
  최남선(崔南善) [저자]
 
  수필(隨筆) [분류]
 
◈ 참조
  용(龍)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용(龍)· 해어(海魚)의 안정(眼睛)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8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