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무오연행록 (戊午燕行錄) ◈
◇ 권5 ◇
카탈로그   목차 (총 : 6권)     이전 5권 다음
1798년 (정조 22)
서유문(徐有聞)
1
이십뉵일
2
관의 머므다 날이 으 경산(景山)의 나아가 삼시 곡반(三時哭班)을 참예하니라 산좌라[리]문(山左裏門)을 드러 동편  마조 뵈 곳의 어졔치 지폐(紙幣) 살오 겻 흔 거시 업고 오직 당즁(當中)여 누른 보로 덥허 노흔 거시 이시니 어졔 보던 바의셔 장 젹더라
3
날은 황뎨(皇帝) 나오지 아니코녜부(禮部)샹셰(尙書ㅣ)신여 잔을 드린다 며 진시 뎐(辰時奠)파고 관(內官)이 빈뎐(殯殿) 문으로 나와 슐병을 들고 기우려 지폐 오던 곳으로 니며 슐을 리니 한 모 녜문(禮文)이러라
4
긔 샹셔(紀尙書)의 버금 아이 야흐로홍노시(鴻寺)명찬(鳴贊)벼이라 홍노시(鴻寺) 연녜(燕禮)던 날노브터 내 알 니러 은근 을 뵈고 그 후 곡반(哭班)의 만나면 문득 손을 드러 녜(禮) 나 말을 통치 못지라 다만 아른 톄  이러니 이 날 그 동뇨만쥬사 나흘 리고 댱막(帳幕)을 자 니럿지라 겻 와 안즈 두 다리 버드르쳐 안즈니 대개 이곳 사이 바지 통이 좁게 그러 겨유 다리 용납(容納)지라 안즈랴 면 두 다리 아 쥬져 안즈니 형셰(形勢) 그럴 밧 업지라 이런 고로 캉(炕)의 걸안며 교위(交椅) 노하 안기 쉽게 미러라 므 슈작을 고 시부나 지필(紙筆)이 업지라 다만 져근 쇼반과 찬 보아 나히 알 잇거 차믈(茶水)을 나모가지예 직어 글 라 문답(問答) 내 믄져  뵈야 오 여러 번 만나나 말을 통치 못지라 졍(情)을 발뵈지 못더니 오 놉흔 멍에 굽혀 이곳의 니니 극히 감샤노라긔샹이 답 왈 귀국(貴國)의 문아(文雅)믈 본 모하고져 지난 홍노시(鴻寺)의셔 아담 용의(容儀) 잠간 샹졉(相接)나 말을 셔로 모고 이  다른 와 다른지라 관(館)으로  결을이 업지라 의 경경(耿耿)믈 이긔지 못여 이리로 자 니로미로 막차(幕次)의 진의(盡意)토록 슈작을  길이 업이 (恨) 배라 지라 쇼반이 젹어 두어 쥴을 면 반이 다 졋지라긔이 쥬먹의 여 쇼반을 믄지니 숀이 더러오 지 못고   오 이리 만나 녜모(禮貌) 오지 못니 웃지 말나 며 날을 대인(大人)이라 일지라 그 녜(禮待) 을 알거시오 그 거동이 혹 녜모 일허 우음이 될가 념녀 모양이러라
5
내 무로 외국 사이 됴뎡(朝廷) 일의 참예야 알냐 기 블긴(不緊)거니와 황샹 츈츄(皇上春秋)와 황(皇子ㅣ)몃 위(位)며 황형졔(皇兄弟) 몃치시믈  아지 못니 엇지 궁겁지 아니리오긔이 답왈 황샹 츈츄 십 일셰오 황 다만  위오 야흐로 십셰니만(滿洲)녯각노(閣老)아리곳(阿里昆)의 손녀라 혼인을 뎡야 올 녜(行禮)려 더니 태샹황(太上皇) 상(喪事) 만나니 짐쟉건대 긔년(期年) 후의나 이십 칠월 후 기려 실 거시오아리곤(阿里昆)은 곳 츌쟝입샹(出將入相)던 사이라 임의 작고(作故)엿고 그 아이  쟉위(爵位) 놉핫다 며 황형(皇兄)은 이 인이오 황뎨(皇弟) 일 인이며 태상황(太上皇)의 손 열 두 사이오 증손(曾孫)이 네히오 현손(玄孫)이 나히니 태상황은 진짓 녜부터 드믄 텬(天子ㅣ)라 일리라 니 이 태상황이 스로 고희텬(古稀天子ㅣ)라 됴셔(圖書) 삭인 고로 니른 말이러라
6
내  문왈 만만슈셩졀(萬萬壽聖節) 방믈(方物)을 도로 쥬라 신황지(新皇旨) 잇 고로 우리 쇼방 졍으로녜부(禮部)의 졍문(呈文)야 밧기 쳥엿더니 그 혹 드럿냐긔왈 어졔 임의 엿왓지라
7
삼 일 후의 맛당이 발낙(發落)이 잇실 거시오 신의 이리 미 곳 맛당 일이니  반시 허시리라  오 귀국의 대국이복(內服)다르미 업지라 됴뎡(朝廷)의셔 녜(禮待)미 젼브터 각별니라
8
 오 귀국의 문 만흔지라 대국 션와 친(親)하여 혹 년을 치지 아니니 내 대인과 사괴엿지라 오느,ㄹ 관의 도라간 후 등하(燈下)의  슈(首) 시(詩) 초(抄)여 기치믈 어든 즉 엇지 빗나지 아니 리오 내  공경여 회답리라 내 오 글을 못고 시(詩) 지을 쥴을 모니 셩한 을 맛초기 어렵도다 니긔이 구지 쳥여 왈 고인(故人)의 겸(謙辭ㅣ)과도다
9
내 본 동국(東國)의 문쟝(文章)을 닉이 드럿고  대인의 셩화(聲華) 루러러 오형(荊州) 아라 소원(所願)을 일웟니 엇지  시(詩) 지어 이 교계(交契) 표(表)믈 앗기리오 며 내 더옥 양 져의 쳥미 더윽 졀지라 내 오 졸 글귀 더러오믈 닷토와 대방(大方)의 무음을 면치 못려니와 돗타온 을 져리기 어려온지라 일간(日間)의 맛당이 히 피믈 더러이리다 니 치샤더라
10
긔이 가지 고고 오 명일은 맛당이 지필(紙筆)을 가지고 틈을 어더 다시 모히기 도모이다 고 즉시 니러 가니라 이의 다른 슈작은 만흐나 다 긔록지 못노라 신시(申時) 반녈의  됴(朝士ㅣ) 내 셧 곳의 니러 녜(禮)고 무 말을 나 내 젼혀 아라듯지 못지라 이도 반녈의셔 여러 번 만나 얼골이 닉을 이오 슈작이 업더니 이 날  니러 인니 괴기 구(求)미러라 셩(姓)을 무니 왕가(王哥)로라 며 벼을 무니호부(戶部)낭즁(郎中)이러라
11
관의 도라오니 이 날 여러 사들이슝문문(崇文門)밧 나가법장(法藏寺)구경고 도라왓지라 셰히 뎐 말을 드니슝문문밧긔 낙역(絡繹) 거마(車馬)와 번셩(繁盛) 져졍양문(正陽門)밧긔 밋지 못나  사이 길의 메이고 물홰(物貨ㅣ) 득지라 문밧긔 나 션(生鮮) 파 져 이시니 구유의 믈을 븟고 고기 워시 리 치며 반나마 사라시니 금닌어(金鱗魚) 부어와 굴근 니여러라 남편 길 여 보 동안의 온갓 긔완(奇玩)을 븬틈 업시 버려시 산호(珊瑚) 보셕(寶石) 진쥬(眞珠) 구 마류(瑪瑙)로 근 노리개와 그릇슬  노하시니 그 즁의 문방지믈(文房之物)은화류필통(樺榴筆筒)이며 침향괴셕(沈香怪石)과 연산(硯床)과 별오와 연젹(硯滴)이며오동향노(烏銅香爐)와슈압향노(睡鴨香爐)와 도셔(圖書) 튼 거시 다 이시니 셩냥(成樣)이 공교(工巧)고 이밧 평의 보지 못던 것과 일홈 못든던 거시 무궁(無窮)니 이로 형상(形像)여 니지 못며 그 나마태샹노군(太上老君)의 샹(像)과 온갓 션인(仙人)의 형상을 라시 져근 옥동(玉童子)만 거 문방(文房)의 가지로 노회시니 졔작(製作)이 긔특여 인믈(人物)이 살앗 듯더라
12
여러 가지 버린 거시 각각 제 뉴(類) 븐변(分辨)여 극히 졍졔  아녀  보암즉며 눈이 바고 현란(絢爛)니 아모 거신 쥴 지젹(指摘)여 보지 못너라
13
 곳 푸(舖子)의 드러가니 슈션화(水仙花)와 영츈화(映春花) 화(梅花) 삼도화(三色桃花) 분도화(粉桃花) 홍도화(紅桃花) 월계계(月季四季) 톄당화(棣棠花) 당화(海棠花) 다 치 픠고 각 란초(蘭草)종녀(棕櫚)동(冬栢) 치(梔子)  각각 봄을 닷토니 븍방셜한(北方雪寒)의 긔이 구경이러라
14
집을 움 속치 깁히 글고 셕탄(石炭)을 댱 픠워 뎌은 긔운이 잇게 고 믈을 년속(連續)히 쥬어 화(百花) 픠게 다 며 국화(菊花) 즈니 쥬인이 니 져 국화 아모리 픠오랴 여도 홀노 아니 픠니  일 업니라 더라
15
 곳의 큰 그 노코 오 고시 담아 노코 파되 그 겻 뉴리병을 하시니 병을 사 고기 담아 가 쟤 무슈더라
16
  곳을 보니 뫼새(山禽)와 들새(野鳥) 모도아 우리의 녓코 파니 그 즁 일홈 모 새 다 가지나 니 숫 토되 머리와 리 흰 새오   새 몸은 숫 토되 머리와 리 암 갓여 심히 젹고   새 가치 트되 빗치 희고 두 개의 아롱진 븕은 문이 이시니 극히 고은지라 이 셕계(石鷄)라  새오   새 몸이 누러 금빗 고 브으리 븕고 발이 븕으니 곳 뮈(鸚鵡l)라 사을 보고 별노 지져괴더라
17
길 푸 안흐로  문(門)을 지나며 묘당(廟堂)이 이시니 관왕소상(關王塑像)을 봉안(奉安)지라 갑옷 닙고 두 손으로 무릅흘 집고 동(東)을 향여 보며 므 말을  모양이라 눈의 노긔(怒氣) 이셔 눈을 부릅고 동벽(東壁) 아 소샹(塑像)여 안쳐시니 얼골을 밧그로 향야 항복(降伏)지 아니  모양이러라
18
이 옷(吳)나라 쟝슈(將帥) 조빈(曹彬)이니 젹토마(赤ꟙ馬) 도적(盜賊)다가 잡히인 모양이러라
19
 사은조빈의 뒤희셔  노흘 븟들고  사은 쳘퇴(鐵椎)로 치려  거동이오 좌우의 뫼신 신장(神將)이 다 우러러관왕(關王) 명(命)을 바다조빈조빈의게 을 두어시며 젹토마 벽 밋셔관왕을 츼미러 보며 갈기 흔들고 눈을 부릆든 거동이로 보 사랏 니 뎐 말이슈(隨)나라젹의 든 라 더라
20
관왕묘셔(西)흐로 반 니(半里) 가셔 약왕(藥王)의 뫼(廟) 이시니텬황시(天皇氏)·디황시(地皇氏)· 인황시(人皇氏)·헌원시(軒轅氏)·복희시(伏羲氏)·신농시(神農氏)여 위(位) 쥬벽(主壁)여 좌우(左右)로 의약(醫藥)의 공 잇 사 십여 인을 그러 안쳐시 각각 알 패(牌) 세오고 셩(姓字) 더라
21
법장(法藏寺)의 다니 이 졀은 곳 쳔단(天壇)을 지나 이시니 텬단은 황뎨 하 졔(祭) 지내 단(壇)이라 졀 문을 드러가 졀 둘이 잇고 둘 뎐(殿)을 지내이 그 뒤 탑이 이셔 놉희 십댱이오 팔면(八面)의 닐곱 층(層)이러라
22
첫 층 남편(南便)의 무지게 문이 이시니 놉희 사이 드러갈 만지라 이 문을 드러 탑 속을 올나 가게 엿더라
23
문을 드러 벽(壁)으로 든 닥다리 올나가니 이 첫 층(層)이오  올나가다가 닥다리 첫 층과 치 노핫지라 이 둘 층이라 이치 도라 오로기 니롭 번을 니  웃층의올랏더라
24
처음의 드러갈 제 그 속이 어둡더니 닥다리 그친 곳마다 팔면으로 창을 내여 밧글 보게 고 창 낸 곳마다 안벽을 굼을 파고 부쳐 안치고 알 향노(香爐)와 등잔을 노핫더라
25
샹원(上元) 밤의 탑 속의 등불을 다 혀고 즁드리 풍뉴(風流)고 올나가면 텬샹(天上) 트여 뵌다 더라
26
장 웃층의셔 창을 내미러 보니 셔편 텬단(天壇)과 북편 황셩(皇城) 안이 다 구버뵈더라
27
탑 속의 졔명(題名) 거시 득니 남방(南方) 사의 일홈이 만흐며김노가(金老稼齋)홍담헌(洪湛軒)졔명(題名) 곳이 잇더라
28
뎐(殿) 압 의 녯 비(碑) 무슈니 이로 볼 길이 업지라대명(大明)홍치(弘治) 년의 세운 라경태(景泰) 이년신미(辛未)의 세온 비 이시니 이 탐은 홍치 년가늬 무은 거시러라 졀 마즌 편의 태양궁(太陽宮)이란묘당(廟堂)이 이시니 여러 뎐이라 압편의 안니 미셩군(紫微星君)이오 셔편은 태양셩군(太陽星君)이오 동은 태을셩군(太乙星君)이오 뒤편은 텬션군(天仙君) 셩모낭낭(聖母娘娘)의소샹(塑像)이라 더라
29
니광직이 오 부어 사왓다 거 가져오라 여 보니 병을 면이 둥그럿케 글고 가온대 치 남즈기 나모 불희치 세워시니 고기 그를 의지여 셔로 라 리쳐 도라 지라 고기 다슬 너허시 둘은 빗치 븕기 쥬홍(朱紅) 칠 것과 니 긔이지라 통쥬강(通州江)의셔 건진다 더라
30
내 캉(炕)의 잠간 랏다가 도로 내여 쥬니라 이 젼은 신이 갓 화초분(花草盆)을 드려다가 븐다 슈역(首譯)이 은(銀)이 든다  고로 보지 아니니라
 
31
이십칠일
32
관의 머므다 날이 으경산(景山)의 나아가 삼시 곡반을 참예니 진시예 반녈을 일우 황뎨인교 [타]고신무문으로 초차경산남편으로 말암아 나아오니 빈뎐(殯殿)의 나아가 황뎨  졀 젼일과 다미 업더라
33
오후의긔(紀生)이 그 족하  사을 리고 왓시니 년긔(年紀) 이십오뉵이오 벼을 무니 픔슈(品數) 오품이나 아직 직임(職任)이 업니 황뎨 인견(引見)신 후 고졍(考定)야 다 더라
34
대개 대국 사  법이  번 인견 후의 벼을 시기니 샹의 질(子姪)은 부형(父兄)의 음(蔭)으로 픔슈 노프나 인견기 젼은 벼이 업니 아국통덕낭(通德郞)과사과(司果)튼가 시부더라
35
긔생이 지필을 가져 왓지라 내 무로 안항(雁行)이 몃치니 뇨긔왈 삼형뎨로 형(伯兄)은 작고(作故)고 즁형(仲兄)은 야흐로강셔지현(江西知縣)이라 그 족해 곳지현(知縣)의 아이라 더라
36
긔의 슉질(叔姪)이 얼골이 심히 박약(薄弱)고 문필(文筆)이 변변치 못니 그 아븨게 비기 여러 층이 츄락(墜落)다 너라
37
두어 말을 슈작 통관(通官)이 니러 신시(申時) 밋첫다 거긔이 허리로셔문시종(問時鐘)으로 내여 고동을 이고 보더니 거의 되엿다 고 니러셜 내 다시 만나기 무니  막(幕次)로 보자 나가니통관이 오 오은셔안문(西安門)으로 조 야태지(太液池)구경미 해롭지 아니타 거 됴타 고 슐위 돌녀 오라 니라
38
신시 곡반을 파 후 셔편으로 조차 나올  슈목(樹木)이 쟝 무밀(茂密)고 그즁 측(側柏)이 만터라 오십 보 여 동남으로 도라보니경산편이 분명이 뵈고 산 우 지은 집이 뵈니 팔면(八面) 집의 다 발을 드리오고 금벽(金碧)이 찬란니 이로 형용치 못러라 븍편으로 두 패뤼(牌樓ㅣ) 이시니  편은 텬승무역 네  고  편은 구식지승 네  시며 쟝원(牆垣)이 빗나고 패루 안흐로 다 슈문(水門)으로 내여시니 그 안흔 무묘당(廟堂)인가 시브더라
39
패루 지나  슈십 보 니  븍으로 긴 골이 이시니역관이 오 그 안희 무(鸚鵡)와 공쟉(孔雀)이 잇다  드러가 보지 못니라
40
서편 문(西便門)의 니라니 이 산우리문(山右裏門)이라 산좌리문(山左裏門)으로 졍히 샹여시니 대개 이 안히 면이 반고 댱광(長廣)이 각 쳔여 뵈될 듯고 동셔남븍으로 별노 담을 하 막아시니경산은 남편으로 치우쳐 잇고쥬루각(朱樓彩閣)이 북편으로 여러 곳이 은영(隱映)여 이시 남으로 문을 내여신무문(神武門)과 자(垓字) 리 격(隔)여시니 극히 심엄(深嚴) 곳이러라
41
문을 나 져기 더니 남향(南向)여 큰 궁뎐(宮殿)이 잇고 알 삼면으로 뤼(牌樓ㅣ) 이시니 그 안히 심히 널너 면이
42
각 슈 뵈 될지라 이태극뎐(太極殿)이라 더라
43
가지로 동(同行) 쟤 만흐며 나마승(喇嘛僧)  사이 라 오거 마뒤(馬頭ㅣ) 무로 어 잇뇨 니탑(白塔寺)즁이로라 지라탑구경을 쳥니 쾌히 허나 곡반으로 조차 승긔[지](勝地)의 구경가미 톄면의 불가지라 로 태극뎐앏흐로 지나니 슈뤼 령엿거 슈뤼의 안니 예셔브터 큰 믈이 뵈되 너븨 오뉵십 보의 지나니 이 곳 태(太液)이라 좌우의 셕츅(石築)이 극히 졍졔(整齊)고 믈 가온대 큰 돌다리 건너 노하시 옥(玉)튼 흰 돌노 온갓 물형(物形)을 삭여 좌우 난간의 베플고 다리 두 편의 패루 셰워시니 동편은 옥동(玉蝀) 두  사기고 셔편은 금오(金鼇) 두  삭여시니 븕은 기동과 프른 기왜 믈의 됴요(照耀)더라
44
슈뤼 모라 리의 므니 소견(所見)이 황홀여 비록 텬작(天作)이 아니오 인교(人巧)로 샤치(奢侈) 극진이 여시나  대국 냥을 볼 거시오 텬의 긔구 짐쟉너라
45
믈의 어름이 플녓지라 믈빗치 비록 지 못나 바람의 희미 믈결이 비단고 노 오리 무리 이 츌몰니 은영(隱映) 강호 경치(江湖景致)라 셩시진애(城市塵埃) 가온대 이튼 승 이시믈 짐쟉지 못너라
46
븍편으로  라보니 두편 셕츅(石築) 흐로 동셔븍 삼면의 버들이 쳔여 보 둘너 잇고 버들 안흐로 구누(珠樓)와 비단집(綺閣)이 슈플 이의 은영(隱映)니 이 집이 팔모각(八面閣)도 잇고 뉵모각도 이시며 다 두 층의 오 뉴리 기와 니이고 금으로 쥬져리 여시 놉고  졔되 결지 아니며 눈의 향 바마다 긔묘(奇妙)믈 토고 집마다 오 간식 여 짓고 그 이의 각(行閣)을 지어 셔로 통케 다 믈 흐로 난간으로 두고 창을 내여시니 그림의 일 보지 못 긔관(奇觀)이오 뒤흐로 프른 누각(樓閣)이 곳곳이 은영니 이 언덕의 잇 집이오 그 알프로 션(彩船) 두어 이 여시니 상게 먼지라 그 형상을 분변치 못너라
47
오룡뎡(五龍亭)이 믈 븍편의 잇다 나 어 집인 쥴 지젹지 못고 다만 동븍편으로 다 집이 셔로 니이여시니 이곳이오룡뎡인가 시부며 남편의 믈 가온 각(彩閣)이 이시 먼니셔 보 난간이 믈가의 긴 더라
48
이 집 남편(南便)으로 믈이 아오라이 뵈고궁쟝(宮墻)안희 무슈 누각(樓閣)이 각각 졔양(制樣)이 다니 니로 형샹치 못며 그 즁 웃둑 집이 곳광각(紫光閣)이라 더라
49
리 동븍으로 큰 됴산(造山)이 잇고 쟝 놉흔 봉(峰) 우희 태호셕(太湖石)을 둘너 세오고 그 가온 돌노 부도(浮屠) 그라 셰워시니 그 놉희 십여 댱이오 면으로 쇠슬노 얽어 길게 느리워시며 좌우로 븕은 긧대 이 셰오고  긔 각각 라시 너븨 두어 치 지나가지 못고 기 거의  을닐 듯며 밋 온갓 색(彩色) 비단으로 격지 두어 층층이 그려시니 먼리셔 보 므 왼[의] 쥴 모며 부도 둘너 돌난간을 여시 난간 빗과 부도 빗치 희기 옥 갓더라
50
누각이 층층이 뵈니 이 우희 곳 졀을 짓고 얼[일]홈을탑사(白塔寺)하더라
51
이곳은 대명(大明)젹의 세운 뎡(亭臺)라 일던 곳이니 이졔 잇 집 일홈이근졍뎐(勤政殿)이며풍원(風柵院)이며츄운뎡(秋雲亭)이며초원(楚院)이며님의뎡(臨意亭)이며슈은(垂恩寺)그 나마 여러 집이  각각 일홈이 이시나 적지(的只)이 알 길 업더라
52
믁 속의 년화(蓮花) 득이 심어시니 치 픠면 더윽 긔이너라
53
리 지나 길 좌우로 큰 문이 여시니 남편은 븍화문(北華門)이오 븍편은 대양문(太陽門)이오 그 안히 심히 심슈여 보암더라
54
이리로 조차태지(太液池)남븍을 통가 시부더라
55
이 문을 지나 좌우의 뎐방(廛房)이 극히 번셩며 오뉵 보의 년엿고 뎐방이 진(盡) 큰 문이 이시니셔안문(西安門)이라 더라
56
이 문은 곳외궁쟝(外宮墻)ː셔편문이라 문을 나 남을 향여 큰 길의 다로 놉흔 문뤼(門樓ㅣ) 먼리셔 뵈니션무문(宣武門)이러라
57
년여궁쟝(宮墻)밋트로 발마 올 여러 사이 연쟝을 가지고 길흘 닥가 편편이 그라 흑길의 믈을 려 듯글을 니지 못게 니 셩안 히 심히 검고 바람이 조금 닐면 진애(塵埃) 챵텬(漲天)니 오도 져기 부지라 믈그릇 가져 니음다라 리더라
58
인교오뉵 이 긔 지나  고 인도 쟤(者ㅣ) 셔시며 뒤 츄종(追從) 칠팔 식 되되 다 환쟤(宦者ㅣ)라 인여 등등(等等)니 기리란 말이라 슈 머므로고 셔시니인교안흐로 얼골을 뉴리(琉璃)의 다히고 밧글 보 모양이 다 소복(素服) 부인이라 다 공쥬와 군(郡主)라 지난 후부(副使ㅣ)나 도라보아 오 젼혀 외 쥴을 모니 져거시 말이 되엿냐 더라
59
길 남편의   큰 집이 보이고 밧문이 놉희 칠팔 쟝이 되니 삼층집이오 그 졔되 녑흐로 본 반 모양이라 밧그로 잣바질 니 엇진 졔양(制樣)인지 아지 못너라
60
문 밧긔 회(回子) 사이 여러히 나셔시니 궐의셔 보던 상(像)이라 이곳회관(回子館))이러라
61
아희들이 여러히 나와시 혹 칠팔 셰 삼 셰된 거시며 머리의 말이(抹額) 워시 우희 아국벙거지곡지치 웃둑게 븕은 가족을 라 세웟더라
62
계집 나히 문의 셔시니 얼골 예 계집이로 옷 빗 비단을  좁게 여 닙이 길희  을니고 머리 뒤흐로 하 드리워시니 발 뒤축의 하시며 븕은 거 머리털을 감아 핫고 굴기 팔독만 니 의 너헛가 시브더라
63
삼 층 밧문을 여궁쟝(宮墻)안의 누른 기와집이 이시니 퍽 놉고 젼면(前面)의 살창을 내여 조희로 나시니 이곳 귀비(貴妃) 그 아비 보던 곳인가 시브더라
64
예 지나  패문(牌門)을 지나 쟝안개(長安街ㅣ)란 패뤼(牌樓ㅣ)이시니 활셩 안희  편모흐로 패뤼이시 다댱안개 (長安街ㅣ)라 더라
65
금의위(錦衣衛)아문(衙門)을 지나니 긔문 문 말 목(木柵)을 세워시며 태샹시(太常寺)와형부(刑部)아문을 지나니 아문 졔도금의위와  모양이오사 두어식 문에 나셔시니 직흰 사인가 시브더라
66
대쳥문(大淸門)알플 지나오 하마(下馬) 젼례(前例) 업다 니 괴이더라
67
관의 드러오니 날이 임의 져므럿더라
 
68
이십팔일
69
관의 머므다 날이 으경산(景山)의 나아가 삼시 곡반 참예니라
70
슈일  풍긔(風氣) 장 어즈럽지 아니코 텬일(天日)이 쳥화(靑和)니 봄 의(意思ㅣ) 돈연(頓然)이 나지라 죵일토록 댱막(帳幕) 알플 가리오고 잠잠이 안시니 신긔 심히 피곤더라
71
슈십 일을 궐의셔 날을 보니 대궐 방위와 궁뎐 츼 임의 눈의 닉고  어졔셔안문을 말암아 지내니 궁셩(內宮城) 서·븍·남 삼 편을 다 보아시 오 나올  동편을 셰 피니 우리 보던 곳과 안밧 문의 좌향이 더윽 분명지라 대져븍경(北京)의 긔이 구경이 여러 가지로 궁궐이 읏듬 쟝관이러라
72
임의 본 바와 각 바 다시 긔록노라궁쟝(宮墻)은 십팔이오궁쟝은 뉵 리니외궁쟝은 안밧희 쥬홍 칠이며 누른 기와로 니펴시며궁쟝은 겻텹(堞)을 둘너시니 셩 졔되라궁쟝안히 방졍(方正) 남븍이 길고 동셰 져르니 쥬희 합여 뉵 니라 당즁(當中)여태화뎐(太和殿)이 이시니 곳 황뎨 큰 됴회 밧 집이라 좌우 각은십삼(十三省)과 외국 방믈(方物) 너흔 곳집이오 슈 간월(月臺) 친왕(親王) 각노(閣老)의 됴회 곳이오  아 (牌) 두 쥴노 셰오고 픔슈(品數) 삭여시니 이 만됴쳔관(滿朝千官)과 외국 공(外國貢使)의 됴알(朝謁) 곳이라 월 좌우로 동편은 두어 길영 셰워 시(時刻)을 샹고고 셔편은 두어 길 돌향노 셰워 향을 픠여 노코 월 남편으로 층층이 향노의 열여 쳥동향노 버려시 몸픠 두어 아람이니 솟과 모양이라 이 다 침향을 픠오게  거시오 세 층 셤 우흔 층층이 길 남은 돌을 셰워시며 난간 돌기동은 뇽(龍)을 삭이고 셤 모흐로 도라가며 뇽의 머리 내미러시니 이 니른 바 니뒤(螭頭ㅣ)라 난간을태화뎐좌우로 거 븍으로 버럿고태화문좌우의 각을 인연여  각각 난간을 셰워 좌우로 둘너시니 굉궐(宏傑) 거동과 쟝녀긔샹이 대강 이러하더라
73
두 편 각의 당즁여 두층집이 이시니 동편은톄인각(體仁閣)이오 셔편은흥의각(興義閣)이오우익문(右翼門)은흥의각아 잇고문연각(文淵閣)뒤 놉은 담이 잇고 그 동편 모  문이 이시니 이 경운문(景運門)으로 드러가 문이라희화문(熙和門)은동화문(東華門)과 바로 나고협화문(協華門)은셔화문(西華門)과 바로 나시니동화·셔화두 문은 곳텬안문(天安門)좌우 문이오텬안문은 곳태화문·오문(午門)·단은문(端恩門)밧기니 뎐각과 문댱이 좌위 셔로 고 보쓔(步數)와 원근이  균젹며태화문동셔의 두 협문이 이시니 셔편은졍도문(正道門)이오 동편은 일 지나지 아닌지라 그 일홈을 보지 못고태화뎐좌우 녑 두 문이 이시니 셔편은즁우문(中右門)이오 동편은즁좌문(中左門)이라 이 문안희즁화뎐(中和殿)이 잇고보화뎐(保和殿)좌우 녑  두 문이 이시니 셔편은후우문(後右門)이오 동편은후좌문(後左門)이오 그 뒤흔 곳건쳥궁이라 셔편의늉롱문(凌龍門)이 잇으니우익문븍편의  쥴노 잇고 동편의경운이 이시니좌익문븍편의  쥴노 잇지라건쳥궁동편은봉션뎐(奉先殿)이니 두 이의뉵경궁(毓慶宮)이 잇고황극뎐(皇極殿)셰 집이 동편으로 치우쳐  일(一字)로 잇고봉션뎐뒤영슈궁(靈壽宮)이 이시니 태샹황이 새로 지어 뎐위 후의 왕왕 거쳐던 집이오건쳥궁뒤곤영궁(坤寧宮)이 이시니 이 곳 뎐(內殿)이라황극문동편 담의 낸 문이셕경문(石磬門)이니경운문과 먼리 엿지라 그 두 이예 담으로 져기 내미러황뎨샤뎡(皇帝射程)이란 집이 이시니 곳 우리 댱막을 베플고 날마다 후던 곳이라샤뎡남편으로문화각(文華閣)이 팔십 보 고 셔편으로 삼십 보 동안의좌익문이 담을 격여시니 문연각(文淵閣)이 그 밧기오태화뎐이 동편이라슝졍(崇禎) 갑신(甲申)의쇼현셰(昭顯世子ㅣ)구왕궁뎐(九王宮殿)의 계시샤븍경을 드러와 겨실 문연각의 드러 겨시더라 고 노가일긔(老稼齋日記)예 집이 만히 퇴락(頹落)다 일더니 이졔 보 단쳥(丹靑)이 됴요(照耀)니 근예 즁슈(重修)가 시브더라
74
문화각알 담을 코 문을 내여시니 온문화문(文華門)이오 문 압 슈십 보 못 밋쳐 븍으로 난간 돌리 서히 느러 이시니 그 졔되텬안문 리고 리 븍편 문은 온젼셩문(前星門)이오 문안 여 보의 쳥기와 니운 집이 이시니 곳텬궁(靑宮)이라 니 집이라 이 집 밧그로 뎐각을 세인 것치 누른 빗치라 빗치 쓰이면 녕농(玲瓏)여 기름이 드 더라
75
태지 가을 대궐셔 븍편으로 드려 궁셩을 여 집을 둘러 굴곡히 둘너문연각을 지나협화문녑흐로 드려태화문과오문이로 가로 건너희화문겻흐로 븍히로 휘여문화각뒤흐로 조차젼셩문을 지나 도로 남으로 나아가니 믈길이태화뎐으로 셔 만궁현(彎弓形)이 되게 엿더라
76
믈 너븨 두 간 남즉 두 편 가흐로 다 난간을 고 리마다  난간을 베럿더라
77
동화문부터 시작여셔화문지 궁셩을 둘넛고 집을 년여 지엇시니 궁즁 일용(日用) 백믈(百物)을 다 여긔 너헛시며 아국(我國) 셰례미(歲禮米) 셔편 곳집의 밧치며 그 니마 다태화뎐ː월랑(月廊)의 둔다 더라
78
곳집 문은 다 안편으로 내고 밧편은 다 담이오 밧근 (垓子) 믈이 둘너시니 궁셩과 곳집 이의 기리와 너븨 두 슈 갋갈만 더라
79
대궐 궁뎐이 다대명(大明)젹(的) 치오 궁뎐의 단쳥이 만히 투(頹色)엿지라대명(大明)이후의 다시 고치지 아녓다 니 폐(廢)며 흥(興) (數ㅣ) 가히 슬프더라
80
신후(申後) 관의 도라올옥하슈 못 밋쳐 내 슈 녑흐로인지내되 알 다   재 인도고 뒤 십여 긔 니 위의(威儀) 금즉지라 마두(馬頭)로 여금 죵쟈(從者)려 무라 니 쇼친왕(小親王)이라 니고 만셰야(萬歲爺) 죵형(從兄)이라 더라
81
내 뒤역관(譯官)들이 을 고 셔시 리라  일이 업고 녑흐로 조차 지날 그 얼골을 보니 쟝 셕대(碩大)고 두렷 얼골이며 셩긘 나롯시오 눈츄리의 거믄 마괴 잇고 풍신이 극히 웅즁(雄重)여 뵈더라
82
압히며 뒤희 멘 놈이 홋옷 닙어시 을 흘니고 을 져허  시 나가 마 우히 조금도 요동치 아니코   죵쟤  젹여 로 뭉치여  지어 조니 심히 호대더라
83
옥하슈동편으로 져가 드러가다가  니문(里門)을 드러가니 그 집은화신의 회 군왕(群王)의 집과 개쳔이 격(隔)여 마조 잇지라 긴 담을 가로막아 니문을 내여시니 그 안히 너기 큰 벌 고 남향여 블근 문이 이시 놉흔 집이 조텹(稠疊)여 뵈더라
84
식후(食後)의니광직을 브니 대(大醉)여 누엇다 거 슐 먹은 곡졀(曲折)을 무니치형왈 거번(去番)경인(景仁)과 가지로니운(李雲)을 자 갓실 의 슐을 구지 권(勸) 못 먹노라 양니 극히 흥치(興致) 업셔 지라 오날니광직으로 더브러 갓더니 가히 긔이 못고지라 니너라 거 그 셔로 필답(筆答)며 슐 먹던 말을 대강 니 모힌 션 곳니운과셥등교(攝登喬)와니운의 죵표졔(從表弟)쥬원(周元)과졀강(折江):젼당현(錢唐縣)션한휴(韓休)와산음현(山陰縣)션진연(秦延)다 사과 가지로 모히니한(韓生)은한위공(韓魏公)의 손이라 거 그 셰덕(世德)을 의논다가 한왈한위공은 곳한문공(韓文公)의 방손(傍孫)이라 지라 무러 왈 우리챵녀현(昌黎縣)을 지나 혹 니문공(文公)의 션묘(先墓)잇다 니 이 올흔 말이며문필봉(文筆峰)이 이시며문공이 이 졍명(精明) 긔운을 응(應)여 낫다  말이 이시니 그러냐한왈 우리 듯지 못 말이라문공의 션셰(先世)챵녀현의 사라시나 분(墳墓ㅣ) 업고문공은 이 고을셔 나지 아니여시니 므문필봉을 응여시리오  좌즁의 첫 번 보 션 셩명(姓名)을 무니니운이 각각 셩명과 거쥬(居住)  뵈고쥬원을 쳐 왈 이신·한(申韓)의 슈단(手段)이 이시니 야흐로 공(功)을 일워방셩소윤(邦成小尹)벼을 리라 니 쥬의 얼골이 단졍나 거지(擧止) 부졍여 조 견지 못 거동이라 남방(南方) 긔인(擧人)을 혀 황셩의 니러시 젼(篆字) 잘 며 도셔(圖書) 삭이기 잘니신·한은 곳 녯날 형명(刑名)을 일던 사이라 참각슈단(慘刻手段)이라 닐 고로니이신·한의게 비러 긔롱미오  경계(警戒)미러라셥이 무러 왈 귀국 녁(冊曆)  법이즁국과 냐 답왈 마다 십월의녜부(禮部)의 문(咨文)고 헌셔(憲書) 바다 도라가 국즁의 쥰니 만일 이러치 아니면 텬 졍삭(正朔)을 반포(頒布)다 말이 어이 이시리오 고 인여 왈 그 녁 들믈 므니 반시 히 알음이 잇도다
85
셥이 우어 왈 내  믈을 말이다 아 배 므 이시리오 고 졔인(諸人)인  닐너 왈 이 우리 일 샹고치 못 일이라 고 답지 아니더라
86
이곳은 곳진연(秦延)의 관(客館)이라 셔로 약간 슈쟉(酬作)이 이신 후신이 사을 블너 슐과 음식을 나오라 더니 이윽야 큰 탁의 두어 그보(甫兒)와 각 나믈과 실과와 고기 안쥬 버리고 각각 알 져근 잔을 노흐니 슐을 브어 압압히 놋지라 잇니광직이니운과 셔로 인고 혹 말노 슈작니쥬이 놀나 왈됴션어법(語法)이즁국과 다미 업도다셥이 오 글이 임의 트니 말이 머지 아니지라 말만 어음(語音)이 지 아니 곳이 이시니 셰쇄 슈쟉을 통키 어렵다 더라
87
모힌 즁의셥과니과니광직이 쟝 쥬량(酒量)이 너른지라니광직의 별호(別號)우야(又也)니 져근 잔으로 임의 여러 슌(巡杯) 지난지라 일변(一邊) 지필(紙筆)을 드러 들 통며 잇다감 희(戱諧)할우얘 눈치 잇 말이 만흔지라 슐을 쟝 잘 먹지라니왈우얘슐을 언마나 먹뇨경인왈 쥬량이 장 너나 다만 여러 잔이 못 되여 미친 거동이 만흐리다.우얘왈 그 미치믄 타인(他人)의 미 배 아니라니이 우어 왈 이 사은 첫 번 보 미친 사이로다우얘됴타여 왈완운(阮雲)이 진짓 내 슐 벗이로다셥이 오 엇지관즁(管仲)의 그 리오 괘히 대(大杯) 나오라 니 대개공(孔子)말의관즁의 그시 젹다 시다  고로 슐잔이 젹으믈 비우(比喩)여 큰 잔을 나오란 말이라 드여 압압히 찬완(饌碗)을 노코 득히 브어 먹으니이 슐을 다 마시면 잔을 뒤쳐 여러 사을 뵈여 왈 밋 보라 며 다 먹엇노라 며 다른사을 젼(專)미라치형·경인은 큰 잔을 구지 양고 져근 잔을 압 노하시나  먹지 아니 지라니이 큰 잔을 밧고아 노코우야 도라보아 왈 시쥬(詩酒)의 다 영(令)이 잇니 엇지면 됴흐리오우얘왈금곡의 벌을 조리라신·한의 슈단이 녑 이시니 여금 녕을 케 미 죠토다니이 즉시쥬으로 하여금 슐을 드려치형·경인을 강박니경인왈우얘신·한을 고져 니 우리 무리 가온대 슈단이 이시믈  못 일이라치형왈 법이   라 변니 아지 못게라 그 날을 엇지 쳐치려 뇨 이진이 슐잔 나흘 나오니 그 졔되 쇠로 복셩화 반을 친 모양치 글고 가온대  션인(仙人)을 셰워시  을 드러 슐잔의 못 밋첫지라 손바닥과 발바당의 굼글 두어 잔 미로 통(通)게 여시니 슐을 부어 손바닥의 지나면 슐이 여  머금도 남지 아니고 젹즁(適中)게 브으면 발의 잇 굼그로 지 아니게 여시니 그 공교(工巧) 의(意思ㅣ) 긔이(奇異)며  넘지 거 경계(警戒) 이라 일홈을 누치(漏巵)라 니  잔이란 말이라진이 잔을 드러우야 쥬니그 슐 만이 먹으믈 경계야 뵈 이라니이 드여 벌(罰)을 먹이려 면 이 잔을 드러 쓰지라니이 슐을 마시  번의 다니우얘 누치 가져  번의 마시고 잔을니의 드던로 좌즁(座中)을 뵈야 왈 엇던진이 오 쟝완윤으로 더브러 셔로 먹기 결우고져 냐우얘우어 왈 셔로 즐기기 위미라 오날 모히기 평의 드믄 일이로다 이 좌즁이 임의 엿지라니이우야의 등을 두려 왈우얘호(豪士)로다  나 잡아 흔들며 왈 늙엇다 슈(白鬚)로다 슐 먹 모양을 보고 년여 호방(豪放)을 일로니우얘왈 이곳의 호방 법을 아니 쓰고 어 곳의 호방믈 리오니왈셔령이 시 잘 지라 글졔(題) 명(命)여 지으미 해롭지 아니토다우얘왈 누치로 졔(題) 미 엇더 니왈 운(韻)은 내 내리니경인은 복셩화 도(桃字) 짓고치형은  고(糕字) 짓고우야 임의로 희고셥협은경인과치형이 운을 브로라 거 잔 (杯字) 브대니왈 너모 도다
88
셥이 오완윤은 뉘 운을 쥬리오니왈 나 시 잘 못지라 샹관(上官)으로 쳐(自處)여 좌즁의 모든 시 평논(評論)미 엇더뇨셥이쥬을 도라보고 누치의 슐을 득 브어 먹여 왈 쳬 너모 놉도다 엇지 벌을 양리오 다만 벌을 먹으미 극히 경(輕)지라 도 곳 모도 달나 만일 일우지 못면 필연 큰 벌을 베플니라우야왈신·한이 이시니 벌을 미 오리라니이 우어 왈 벌을 그라 스로 해롭게 미 날을 니미라 나 시 니지 아니고 벌쥬(罰酒) 믄져 노라경인이 우어 왈 벌쥬 다만 세 잔의 그치고 만히 먹기 허치 아니니라
89
니이 쇼왈(笑曰) 여러 번 벌을 범(犯)면 엇지 세 잔의 그치리오 다 대쇼(大笑)고셥이 다시 운을 부니진은 슐 쥰(樽字) 짓고우야와쥬은 잔 치(巵字) 짓고한은 병 호(壺字) 짓기 졍니진왈 시 일우고 슐이 진(盡)면 필경(畢竟)의 챵연(悵然)믈 엇지 리오셥은 죵의 스로 큰 잔을 가져 먹거우얘쇼왈 나 졀노 큰 그 어덧거 형은 스로 구니 이 형의 덕(德)이 나의게 밋지 못미로다셥이 쇼왈 이 므 덕을 의논리오니이 좌즁의 젹은 잔을 먹 사을 보고 우어 왈 그들은 풍되(風度ㅣ) 졸(拙)도다 엇지관즁의 그로 리오 혹 오 검박(儉朴)다 거공오샤 녜(禮) 아지 못다 시니라
90
경인이 쇼왈 내관즁의게 므어 양(辭讓)미 이시리오셥이 쇼왈 그 그 되오미 텬지(天地) 이의 가득니라
91
치형이 쇼왈 군 그 아니니라진왈 크고 쟈그믈  거리게지 아니고 능 그 내 너 허(許)노라우얘왈 나 큰 것도 능히 고 져근 것도 능히 노라쥬이 쇼왈 엇지 대쇼(大小) 의논리오 어즈러음의 밋지 못미 됴토다 니 대개 여러 사의 말이 각각 녯일을 인증(引證)여 잔의 대쇼 비유 말이니 각각 븟 드러 이음다라 말을 일오니 죡히 승(勝事)라 니너라
92
이윽여 여러 사의 시 례로 일우지라우야 졈졈 여 미란지라 임의 큰 잔으로 열다 잔을 먹은지라니왈 어이 졍신이 망망우얘두 귀 다가 더져니을 쥬어 왈 아 그 라 고 글  귀  뵈여 오
 
93
금일우봉텬하(今日偶逢天下士)[주:오날 우연이 텬하 션 만나니]
94
년댱작몽즁인(百年長作夢中人)[주:일 예 기리 속 사을 지으리로다]
 
95
좌즁이 보고 오 이 말이 과(過)도다 고  악연(愕然) 의(意思ㅣ) 잇더라
96
슐이  후니·셥은 웃옷과말이 벗고우얘젼립(氈笠)을 버셔 더지고 긔롱(譏弄)과 담(才談)이 셔로 니이여시니  말을    우음이 좌샹의 득더라
97
날이 져믈 슈 어더우야 일니이 와 나와 등을 두리며 호라 더라
98
이치형의 뎐 말노 긔록노라니의 글과셥의 글이 비록 취즁이나 공졍(工程)을 볼지라니의 시의 왈
 
99
동남빈쥬투분조(東南賓主鬪分曹)[주:니 동남의 손과 쥬인이 홈여 무리 호니]
100
누치원연뎐쥬료(漏巵原緣奠酒醪)[주:잔이 새 거시 슐을 담으믈 인연미로다]
101
혼돈하년샹쟉규(混沌何年傷鑿窺)[주:흔돈은 엄예 굼글 두리기의 샹엿고]
102
헌슈유의부투도(獻壽有意賦鬪桃)[주:현슈 지 이셔 복셩화 더지기 글 지엇도다]
103
통파뉴혈심원이(通波有穴尋源易)[주:믈결을 통 겻 굼근 근원을 기 고]
104
쳔슈운근인노(穿石雲根引脈勞)[주:압을  구 휘 을 인도기 슈고롭더라]
105
나득휴준즁구회(那得携樽重九會)[주:엇지 시러금 슐준을 잇그러 구일 못고지여]
106
뇽샹뎡샹졔고(龍山頂上更題糕)[주:뇽산 니마 우 다시 을 두고 글을 지을고]
 
107
셥의 글의 오
 
108
낙일금준요샹(落日金樽邀上客)[주:낙일의 금준으로 읏듬 손을 마자시니]
109
쥬린홍동긔연(酒鱗紅動綺筵開) [주:슐비이 븕어 움기 비단리 여럿도다]
110
쥬인아욕경쳥합(主人雅欲傾千榼) [주:듀인은 본 일쳔 합을 기우리고져 나]
111
합좌하증진일(闔坐何曾進一盃) [주:합좌 엇지 일즉  잔을 나아시리오]
112
의혈괴졔죵고유(蟻穴潰堤從古有) [주:개암이 언닥 여지미 녜로븟터 잇고]
113
미려셜긔시희(尾閭泄海幾時回) [주:미려 바다흘 게 여 어나  도라오리오]
114
빙교환노쟉(憑敎換取鸕鶿酌) [주:비겨 쳐 노쟉을 밧고아 가져]
115
의화월(醉倚梅花待月來)[주:여 화 의지여  으기 기리도다]
 
116
그나마 모든 글은 별노 일 거시 업더라
117
쥬부(付子ㅣ) 오니 오됴션신이 이십구일 묘시(卯時)의신무문(神武門)밧긔 니러 황뎨 환궁(還宮)믈 기려 지영(祗迎) 후경산(景山)으로 나아가지 말고광각샹(賞) 쥬 믈건을즁령뎐의 니러 녕슈(領受)라 엿더라
 
118
이십구일
119
관의 머므다 이날은공궤 이십칠일  날이라샹병환이 임의 쾌히 나핫고 지영과 샹 기 위여부(副使)와 가지로 픔(品帶)와 흑단령(黑團領)을 초고 나아가거 나도  로려 더니 여러역관(譯官)이 고왈(告曰) 샹임의 (行次)여 겨시니셔쟝  아니 여도 관계미 업리라  고로 나 드러가지 아니니라
120
샹부관의 도라온 후 드니 황뎨 젼일과 치 대로 말아마경산의 니러 진시 뎐(辰時奠)을 참예(參禮)고신무문으로 조차 올샹부지영더니 황뎨인교(四人轎) 고 신의 지영 곳의 니러 로 도라보고 지내 의복(衣服)은 젼과 치 흰 복이며  시신(侍臣)은 임의 복을 벗고 원됴와 치 관복(官服)을 초와마으락이의샹모·증(鏳子) 븟첫더라 며 황뎨 지날  극히 엄슉(嚴肅)여 좌우의 시위(侍衛) 졔신(諸臣)이 다 신을 젹이 드여 발자최 소 내지 못니 조심믈 가히 짐쟉너라
121
황뎨 지나통관이샹부 인도여셔화문을 드러즁뎡뎐의 니니 이 집은태화뎐셔븍의 잇 집이라 졔되 극히 샤치(奢侈)고즁뎡뎐녑  놉흔 집이 여러 곳이 이시니 기즁  집은보명원각노(普明圓覺樓)다  현판(懸板)을 고  집은우화각(雨花閣)세  현판여시니 현판을 보건대 졀의 법당(法堂)과 가지라 부쳐 위 집인가 시부더라
122
니른바광각(紫光閣)의 잔 고 신을 블너 참예여 샹을 쥬니 근년(近年)의 마다 폐(廢)치 아니턴 젼례(典例)라 이번은 태샹황(太上皇) 상(喪事) 만나 황뎨 녯일을 각고녜부(禮部)로 됴셔(詔書) 리와 오 비록광각잔 아니나 엇지 이젼 쥬던 샹을 폐리오 특별이 신을 블너즁뎡뎐의 니러 샹 쥬던 믈건을 초와 쥬라 니 이 격의예 은젼(恩典)이라일더라
123
녜부관원(禮部官員)이 니러 황뎨 위(位) 셜(排設)고 신을 알 녀샹믈건을 반(頒賜)니 밧기 파(罷) 세 번 며 아홉 번 고두(叩頭)고 즉시 관의 도라왓더라
124
샹의 샹은 금(錦) 세 필(匹)과쟝웅(長雄)세 필과대전팔단(大縳八絲緞)네 필과대하포 (雙)과쇼하포다 과쇼전오단(小縳八絲緞)네 필이니 하포 비단 주머니 일 일홈이러라
125
부의 샹은 금 두 필과쟝웅두 필과대전팔단세 필과쇼전오단세 필과대하포 과쇼하포두 이러라
126
이날 경인치형이 뎡양문(正陽門)밧긔 나갓다가 도라와 니아문(衙門)의 니러통관임(雙任)과니달(李達子) 보니임왈 그 황셩 외예 여러 곳을 구경니 됴셩(都城)셔울과 어더타 뇨 답왈됴션은 쇼국이라 긔방이 좁으니즁국의 엇지 비리오임왈 진실노 그러거니와 우리칙 당여됴션을 나가면남별궁(南別宮)가온 죵일 가도와  거름 흘 나디 못게 고됴션신은븍경을 드러오면 다른 외국의 구경을 허피 아닛 곳을 임의로 니니 엇지 통분(痛憤)치 아니리오 답왈됴션은 져근 나라히라 별노 구경이 업고칙(勅使) 대졉여  곳의 게 미니 엇지 가도다 리오임왈 이젼은 아국(我國)의 문금(門禁)이 엄여 그 (大內) 구경을 임의로 못더니 이졔 그러치 아니니 이 우리 힘이라 젼두(前頭)의 우리됴션을 나가면 그 쳥여 구경을 도모미 엇더뇨 내 웃고 답여 왈 우리됴션의 좀션 놈이라 그 나오나 듯지도 못리니 무 도모미 이시리오 여러통관이 다 웃다 더라
127
 푸(鋪子)의 드러가니 궤(櫃) 나흘 노하시 놉픠 쥬쳑(周尺) 두 자 남고 너븨 일 쳑은 더라
128
알 두문을 여니 그 속의 침향(沈香)으로 믜[뫼] 글고 이이 산호(珊瑚)로 든 것도 이시니 형샹(形象)이 산(山臺)노름 더라
129
열쇠 금긔 여허 틀기 각계슈리 여니 그 가온셔  소 나며 온갓 인물과 새 즘과 믈고기 다 음기되  우희 졀 나흘 지어시니 그 속의 즁이 이셔 경쇠 치며  겻 무지게 다리 이시니 사이 노새 고 다리 건너 가 리 우희 쟈근 졀의 즁이 문을 열고 다리로 사 가 양을 보노라 문을 다드락 열락 고 뫼 아  셩문이 이시니 셩 밧그로셔  나히 도라와 셩문의 다면 문을 다 다다가 여러  드리고  든 후 도로 셩문을 닷으니 이리기 여러 슌 도라니고 쟝 아 믈결과 마름플이니 그 가온 큰 쾨에 놀며  편의 됴개 겁질을 버렷거 황새 직 거동이라  번을 틀면 돌기 져즌 담  대 먹을 동안을 도라가다가 그치며  트니 이 셔양국(西洋國) 사이 근 거시라 며 각각 형샹 산호 밀화(蜜花) 금은 침향으로 여시니 갑 치면 만흘너라 더라
130
뉴관(留官)이 오가지 십일이라 일 잇  당여 아직도 날 긔약이 업니 심히 궁겁더라
 
131
이월 초일일
132
관의 머므다 일젼의긔이 시 구 공졔(公除) 젼(前)은 글을 지어 셔로 왕복미 가치 아닐 듯여 아니고 인여 그 쳥 을 져리면 이국(異國) 사의게 실신(失信)이 될지라  슈(首) 시 일우니 오
 
133
대됴인량쇽명신(大朝寅亮屬名臣)[주:큰 됴뎡의 도음이 일홈난 신하의 브쳐시니]
134
유아풍뉴뎨일인(儒雅風流第一人)[주:유아와 풍치 뎨일 사이러라]
135
기비영원우숑(奇士蜚英元祐宋)[주:기의영원우숑명(名)을 리믄 나라히요]
136
덕문아븍구진(德門迓福太丘陳)[주:덕문의 븍을 마즈믄의 집이러라]
137
삼시회읍셩사(三時會泣星槎客)[주:삼시의 셩사의 이 모히여 곡엿고]
138
만국번비일어빈(萬國翻悲一馭賓)[주:만국의 번득여 일어의 빈믈 슬허도다]
139
격슈부상유블원(隔水扶桑猶不遠)[주:믈을 격 부샹이 오히려 머지 아니니]
140
여군후인젼인(與君邂逅續前因)[주:그로 더브러 만나니 이젼 인연을 짐쟉놋다]
 
141
글 아  쥬어 쥴 편지  오 막(幕次)의 두어 번 아담 얼골을 밧드니 족히 아다온 인연을 일지라 다만 날마다 번극(煩劇)여 구 을 다 펴지 못니 갓 경결(耿結) 회푀(懷抱ㅣ) 졀지라 업여 각건대 날이 신명(神明)이 호위여 더윽 븍(福)을 바드리로다 영걸(英傑)이  아답고 평안여 져즈음게 졸(拙) 글귀 굽흐려 나 관의 번요(煩擾)믈 결을치 못여 이졔야 비로소 히 감(鑑)믈 더러이니 다이 히 치고 회답(回答)믈 라노라 긔(行期) 머지 아닌지라 다시 밧드미 인연이 업니 머리 들고 쳠망(瞻望)여 읍읍(悒悒)믈 니긔지 못노라
142
각 화젼지(花箋紙) 이십 복과 필믁(筆墨) 각 다과 쳥심원(淸心元) 삼 환(三丸)과 광졔환(廣濟丸) 이십 환을 아오라 졍셩을 표노라 고 기 운 쥬어긔의 집의 뎐엿더니 이윽고운도라와 고 그 집의 가 뎐코져 니 문의 직흰 사이 니 노얘(老爺) 일이 츌입고 업니 편지 머므고 가라 기의 답쟝을 못 맛타 왓노라 더라
143
이곳 사이쳥심환을 긔이 보로 아지라  환의 셔 돈 은을 쥬고 셔로 (賣買) 반나마 거 거시라 이 곳 사이 이러 쥴을 모지 아니 거즛 거 어더도 오히려 됴히 너기니 그 곡졀(曲折)을 알 길 없지라 혹 니 쳥심환 가온대 오 어을 너흐니 바다 가온대 이셔 쳔년이 되여도 녹지 아니 어름이라 니 텬하의 녹지 아니 어롬이 어 이시리오 만일 신의게 낫 어드면 이거 진짓 거시라 보 어든 시 다이 너기니 므 긔이 효험(效驗)을 보지 고이 더라
144
니운과셥등각각 칠뉼을 지어치형의게 보내엿다 거 그 글을 가져오라 여 보니 셥등의 글의 와시
 
145
담운미우쇼고(澹雲微雨蕭孤寺)[주:은 구과 져근 비쇼고의]
146
동국풍뉴샹견지(東國風流想見之)[주:동국 사의 풍뉴 각여 보리로다]
147
의셕존은샤직(海外昔存殷社稷)[주:바다 밧긔 녯은나라샤직이 잇고]
148
안즁유도한위의(眼中猶照漢威儀)[주:눈 가온대 오히려한나라위의 보리로다]
149
만니심긔일쥬(萬里心期一杯酒)[주:만 리의 을 쥬의 긔약여시니]
150
긔다별누쇄금치(幾多別淚灑金巵)[주:몃 번이나 니별 눈믈을 금잔의 렷고]
151
상풍오동됴초긔(相風烏動潮初起)[주:바람을 샹보고 가마괴 움기 됴 쳐음으로 밀고]
152
관월사희츈긔[주:을 여  도라오 봄이 스로 도라오도다]
 
153
이 글 첫 귀 안은 곳쳥음 션(淸陰先生)김샹공이대명말년(末年)의 슈로(水路)로 신을 드러갈등히쇼고 지내다가왕어량(王漁洋)이란 사과 더브러 슈챵(酬唱) 글귀라왕어량이명말(明末) 여러 사의 글귀 모도와 졔목을감구집이라 니 녯 일을 감동단 말이니 이 글이감구집의 드럿 고로 즁국 사이 오외지라쳥초(淸初)의  션의 글의 와시
 
154
담운미우쇼고(澹雲微雨蕭孤寺)[주:은 구과 져근 비쇼고의]
155
국슈난최팔월시(菊秀蘭崔八月時)[주:국홰 이울고 난최 거져 팔월 러라]
 
156
이 글귀 쳥음션(淸陰先生)글 안밧 을 모도  첫 귀 삼고 그 아 귀예 와시
 
157
긔듀됴션신어(記得朝鮮使臣語)[주:됴션신의 말을 긔록여 어덧더니]
158
과연동국능시(果然東國解能詩)[주:과연 동국의 능히 시 쥴을 아더라]
 
159
이 글노 보건대쳥음션(淸陰先生)의 글귀즁국의 회쟈(膾炙)믈 알 것시오셥등능히 글 을 시니 긔이 일이라 다만 아지 못게라쳥음션(淸陰先生)의 탁연(卓然) 졀의(節儀)셥이 능히 아지 모로리로다
160
니운의 글의 와시
 
161
쳑셔셩비궤젼(百尺西城斐几前)[주:일 자 셔셩이 빗난 궤 앏히라]
162
여흥긔의달요텬(如虹義氣達遙天)[주:무지게 튼 긔운이 먼 하의 첫도다]
163
운산유반가회(雲山有客攀佳會)[주:운산의 손이 이셔 아단 못고지 밧드렷고]
164
국하인화셕연(海國何人話昔緣)[주:국의 엇던 사이 녯 인연을 말엿고]
165
관셩비잠식엽(雙管聲飛蠶食葉)[주:대의 소 나니 누에 닙흘 먹 고]
166
일노향분압연(一爐香焚鴨生煙)[주: 화로의 향긔 나시니 을이 를 어 내더라]
167
신시시젼님풍금(新詩試展臨風錦)[주:새 시 시험여 바람을 님 비단을 펴시니]
168
인흥니시우연(莫認鴻泥詩偶然) [주:기러기 우연 시 걸니언 쥴노 알지 말나]
 
169
니운의 편지  이시니 와시 사괴미 외국의 니이고 졍의 과 치 흡족지라 시쥬(詩酒)로 뉴련(流連)여 롸 즐기믈 여러 날을어드니 가히 빈(賓主ㅣ) 동남(東南)의 아다오미 다다 니리로다 챵연(悵然)) 바 나 날 노 믄져 브고 머리 동(東)으로 고져 지라 모히기 젹고 니별이 만흐니 강문통(江文通)의 암연(黯然)히 신긔(神氣) 미 곳 이의 잇도다 바다 하이 묘묘(杳杳)여 후회(後會) 진실노 어려을지라 만일 (使行)이 오믈 인연여  글월을 어드면 운이  시러금 졍셩을 베프러 답지니  엇지 일시의 아다온 모히 아니리오 원 배 이 트니 그 엇더타 뇨 각 이 가의 가득나 필믁(筆墨)의다  배 아니요 오직 바람을 인여 먼 라고 눈믈을 흘릴 이라 말은 다미 잇고 은 궁진(窮盡)미 업니 긴 길의 보즁(保重)기 쳔만 라노라 여시며 운은 계(啓)노라 엿더라
170
원월(元月) 초삼일 이후 신황졔(新皇帝) 졍녕(政令) 긔록 문셔(文書) 샹방으로셔 어더 드럇다 거 비러다가부와 가지로 보니 기즁(其中) 보암 말이 이시오셕난이란 사을 혁직(革職) 됴셔(詔書)의 와시화신(和珅)의 문셔 슈탐(搜探)오셕난의 편지 이시 황고(皇考)의 상(喪事)와 딤의 훼(哀毁)믄  귀(句) 거즌 말은 업고 다만화신을 권여 과히 슬허지 말나 여시니 이 므 심댱(心臟)이오 한인(漢人) 아모의 편지의 젼혀 황고의 상 슬허 말이오 딤의 훼믈 념녀(念慮) 말이니 이 한인이로 오히려 이 거든오셕난은만(滿洲ㅣ)사으로셔 다만화신의 슬허가 졀이 념녀여 그 나라흘 니며 권신(權臣)의게 븟좃 졍샹이 극히 통(駭痛)지라 위션 혁직(革職)라 여시니됴션으로 보건대 한인과 만인(滿人)을 현연히 분간 의 잇시니 다른 곳의 활대(闊大) 규믜 오직 만·한(滿漢)의 이치 간격(間隔)니 아 졍 아니러라 대개 한인과 만인이 가지로 쥬션(周旋) 만인이 쥬인이되고 한인은 손이 되니 우리셔 망(責望) 졍 이러지라 어이 쥬의 졍세 오니지 아니리오 텬하 일통(一統) 지 거의 이 년이 만인이 판연(判然)여 두 나라 니 이바 하이 남븍을 한(限)미러라
 
171
초이일
172
관의 머므다 슈십여 일을 궐즁왕(闕中往來)의 날을 지고 슈일노부터 비로소 관의 이셔 죵일 문을 닷고 깁히 안기 져기 심심지라샹즁(行中)의노가일긔(老稼齋日記) 가져왓건 내 길희셔부터  권식 비러 보더니 못 다 본 거 어졔 오날 다 보니븍경길희 구경을 진이 믄 타인의 밋 배 아닌 지라 그각산(覺山寺)의셔 혼 밤을 지나고쳔산(天山)을  여러 날 애던 거시 더옥 긔이노구교(蘆溝橋)와셔산(西山)을 구경치 못믈 깁히 한는 배로라 닐시니 신이 되여 비록 구경을 이갓치 고져 나 엇지 못 일이어니와 나 근년의 (使行) 보던 바도  못 본 곳이 만흐니노가로 여금 쳔(千載)의 졸(拙) 사이믈 우리로다
 
173
초삼일
174
관의 머므다 리의 이지 못여셔치형이 드러와셔산(西山)을 가노라 니 이날 새벽브터 눈이 오지라 셜즁(雪中)의 므 구경리오 답왈 임의 뎡 날이오 구경은 셜즁이 더옥 긔이타 고 가니라 식후의 캉 밧긔 건니더니경산반(班次)의셔 말던호부낭즁(戶部郎中)왕낭즁(王郎中)이 니러 의셔 쥬져 더니 밋 나 보고 희미히 웃고 드러와 읍(揖)지라 내  손을 드러 녜모(禮貌) 일오고 믄져 댱(堂)의 오라 니 이곳 손을 맛 법이 손이 믄져 오고 쥬인이 뒤흘 로지라왕냥즁이 져기 양다가 압셔 캉의 오더라
175
좌(座) 뎡 므 두어 말이 이시  귀졀을 아라듯지 못지라 드여니광직을 블너 말을 통려 더니왕냥즁이 오 구챠히 남의 입을 비 거시 필믁을 드러 통졍(通情) 니만 지 못다 여 내 조희와 필믁을 초와 노흐니왕냥즁이 믄져  므러 오 내 일 귀국(貴國) 공(貢使)와 여러 번 슈쟉엿지라 일경산반의 우러러 각 졍셩을 펴지 못니 오히려 경경(耿耿) 회푀 졀도다 내 오 셜즁의 굽흐려 님믈 어드니 깁히 두터온 들 치샤노라
176
왕냥즁왈 귀국의 인물 풍아(風雅)믈 오 흠앙(欽仰)지라 특별이 니러 밧드노라 내 오 말이 임의 통치 못고 글노 들 기 어려오니 이거시  배로다  대답여 왈 들 모도와 마을 짐쟉미 가니라
177
내 이곳 법으로 차 나와 졉니 마셔 오 이동파(東坡)의 니른바 쾌히 황양셜을 마시미로다 내 오 이 무 됴흔 차라 리오 내 본 병이 이셔 곽향(藿香)을 약의 너허 먹더니근년의 됴흔 곽향을 어들 길이 업니 므 연괴뇨왼[왕]낭즁이 오 이젼은 약(藥材) 젼혀 산즁의셔 어더 지라 약녁(藥力)이 잇더니 근 곽향 튼 초(草材) 니지 말고 곳 복녕(茯笭)도  집의 뭇엇던 거시니 엇지 약녁을 라리오 내 오 황셩의 능 의원이 이셔 능히 다리기 어려온 병을 고치냐 답왈 요이 업  아니라 젼브터 듯지 못엿노라 더라
178
내 의복을 쳐 오 이 다대명젹 졔되(制度ㅣ)냐 그 셔믈 엇고져 노라 내 오 일신(一身)의 닙은 거시대명졔되 아닌 거시 업고 혹 시쇽 졔되(時俗制度ㅣ) 이시나 아국 하쳔(下賤)이 닙을 이라 사모관(紗帽冠帶) 본즁국졔되오  금관(金冠)과 됴복(朝服)이 이시니 금으로 근 관이오 븕은 관복(官服)이며 옥을 시니 이곳 난셩홰홰(鸞聲噦噦) 니미니라  갓슬 뭇거 내 오 이송나라림쳔의 샹 던 거시니 일홈을 곡용닙(曲容笠이)라 며  졀풍건(折風巾)이라 니라 우문왈 대국은 녀염(閭閻) 의복 졔되  됴뎡과 가지냐 답왈 샹해 어이 다로리오 고례(古禮) 이졔 다 업셧니라 고 져기 븟그리 다가 아국 복졔 뭇거 내 오 젼혀쥬문공(朱文公)의가례(家禮) 좃니 비록 하쳔이라도 삼년 샹(喪)을 아니 닙지 못고 혹 거상(居喪)의 녜문(禮文)을 어긔면 명교(名敎)의 리여 류(士類)의 참예치 못니라 내 인여 무 태샹황 인산(因山)이 맛당이 어노 뇨 답왈 구십월노 일(擇日)리라 거 내 오 녜예 텬 칠월만의 장(葬事)니 어이 이치 여러 이 되뇨 답왈 산운(山運)이 칠월노 니치 못고  요(遼水ㅣ) 이실 듯지라 일노 념녀니라 일이 된 후 발인(發靷)여 능소(陵所)의 나아가 인산 길일(吉日)을 기리니라 내 오 공졔(公除) 후 쳔관(千官)의 곡반(哭班)을 일우지 아니냐 답왈 로식 간일(間日)여 황샹이 친히 나아가실 예 참예다 니 일 드 이곳 녜법의  이 지나면 황뎨 식 간일여 빈뎐(殯殿)의 나아가고 두 이 지나면 이틀식 간일 여 나아간다 더니 그 말이 올턴가 시부더라
179
내  무러 오화신을 쳐치 후의 어지여 슈쇄(收殺)가 되엿냐 답왈 자진(自盡)케  후의 허(許)여 녜 일워 초죵(初終)을 오게 여시나 다만 졀 무고(無故) 사과 다고신(珅)의 아은 일홈이풍신은덕(豊信恩德)이니곳 부(駙馬)라 황샹이증(曾子)와 됴복을 쥬어시나 졔 집의 한가히 이셔 스로 새롭게 여 조초 쳐분(處分)이 이시리라 내  오구문졔독(九門提督)과군긔대신(軍機大臣)과 밋각노(閣老) 엇던 사을 새로 졔슈(除授)엿뇨 답왈 태샹황의 둘 아 친왕(親王)과 밋경계(景桂)라  사과리구형이란 사이군긔대신이 되고경계와 밋뉴뵈(柳甫ㅣ)새로각(內閣學士)되고 그나마 다 젼과 치 이시며쥬규 어졔야 남방(南方) 슌무(巡撫)던 고로브터경셩(京城)의 니러시니군긔대신이나각사두 벼 즁의 오라지 아녀 황지(皇旨) 내려 니라 더라
180
왕낭즁이 무러 오 귀국의 외방(外邦) 벼은 엇던 사이 며 몃 식 졍을 나뇨 답왈 삼년 과궐(窠闕)도 잇고 뉵년  과궐도 이시니 음관(蔭官)이 만이 며됴션긔방이 남븍은 쳔 리오 동셔 이쳔 리라 팔도(八道) 화 각각관찰(觀察使) 두어 군현(郡縣)의 츌쳑(黜陟)을 가음 아니 이 과거(科擧)로 츌신(出身)여 경(卿宰)의 밋 쟤관찰 이며 음관의 슈령(守令)으로 나가 쟈는 안벼 리력(履歷)으로  오니라왕낭즁이 오 그러면 대개 안흐로 말아마 밧그로 나가도다 내 오 그러나 안흐로 즁히 너기고 밧그로 경(輕)히 너기 고로관찰 여 나가 쟤 다 좌쳔(左遷)이라 일니라왕낭즁이 쟝 우어 왈 이 튼 풍쇽은 녯날 뎐 말을 드러실 이오 이졔 보지 못 배로다 고 칭찬기 마지 아니 니 대져즁국의 안흐로 경히 너기고 밧그로 즁히 너기믈 이 말노 가히 짐쟉너라
181
내  무러 오 츌신(出身)연지 몃  되엿나뇨 답왈 공(貢生) 츌신이오 조뷔(祖父) 일병부샹셔(兵部尙書의 니럿지라  션음(先蔭)으로 벼여 임의 십년이 지난지라 거 내 오 그 문쟝이 놉흘 거시오 좃차 노 쟤 당셰(當世) 명(名士ㅣ) 만흐리로다 답왈 나 셩품이 오졸(迕拙)여 사 사괴기 만히 못고 좃차 노니 다 쳥졍(淸淨)야 즁과 도(道士)로 더브러 놀기 됴히 너기지라양포의양봉이란 사이 이시 도의 즐기며 률(四律)을 공부니 내 됴하 벗이라 그러나 일 챵화(唱和) 거시 업니 내 쟝졸(藏拙)기 위미라 이 사이 귀국 션 친 쟤 만코 이 사의게 일 드니 귀국김니도(金履度)의 셩명을 그 벗의게 드러시 글과 글시 칭찬며 닛지 못 배라 더라 니 그김니도 아냐 거 내 오 이 사은 나의 친 배라 아국의 본 일홈이 잇 션니라 인여 무러 오양봉은 야흐로 므 벼의 잇뇨 답왈 슈십 년을경셩의 노다가 년젼의 고향으로 도라갓다 더라
182
이 밧긔 슈쟉이 만흐나 다 긔록지 못니라
183
가기 님여 오 내 집이졍양문(正陽門)밧긔 이시니  번 일이 강님(降臨)여 날이 못도록 강논(講論)미 엇더뇨 내 오 진즁 을 감샤나 긔(行期) 날노 격(隔)고  산증(疝症)이 이셔 야흐로 조셥(調攝)지라 다시 만나기 도모커 어려오니 엇지 챵연치 아니 리오왕낭즁이 오 이럴진 오날 기리 니별(離別)이 되지라 댱노(長路)의 기리 보즁(保重)기 라노라 고 즉시 니러 부방(副房)으로 나아가  반향(半晑) 슈쟉을 일오고 도라가니라치형이  진 후 도라와시니 별노 일긔(日記) 거시 이셔 못 셰지라 이에 아오라 긔록노라 그 일긔예 오셔산구경기 일니션·니검셔(李檢書)·민셔방(閔書房)으로 언약냐 오 가졍엿지라 어졔 져녁의니진(李進士) 가 보니 소셰(梳洗) 아니코 리의 누엇거 오 언약을 엇지 뇨 무니니진병이 드럿노라 못 가기 졍고  날을 긔약니니검셰니진와 가지로 구경랴 지라 만일 여러 날을 퇴(差退)면 긔 박두(迫頭)여 못 갈 거 나임의 졍 날노 가렷노라 고 도라오니  사이 젹으면 구경이 젼일(專一)지라 새벽 일직 니러나 쥬방(廚房)의셔 이른 아을 아 나오거 먹기 뉴낭팅(柳郎廳)으로 더브러 안문의 나오니 본방건량마두(本房乾糧馬頭)운태와 내 마두(馬頭)효신과뉴낭텽의 마두바회로지라 잇 눈이 시작여 만히 올 거 나기 져니운태오셔산졔셜(霽雪)은 황도팔경(皇都八景)의 드믄 경치라 오 구경이 더옥 긔이타 니운태능히 이 말을 니 긔이더라
184
슐위 초아 고민셔방을 기리더니  눈이 온다 여 못 간다 거 즉시 슈 모라대쳥문(大淸門)블근 목 밧그로 도라셔댱안문(長安門)을 나니 문 졔되동댱ː안문과 치 엿더라
185
길 븍편은 다 민가(民家)로 푸 업더라
186
 패루(牌樓) 지나 셔흐로 큰 거리의 내니 이션무문으로 통 길이라 길어귀에 패루 셔시 남으로션무문이 일 니 여 뵈더라
187
패루 지나며 븍으로 걱거 슈 보 여셔안문(西安門)아럐흘 지나 슈 리 여 븍편 큰 골의후구란 큰 졀이 이시니  마다 여 번 시(開市) 곳이로 근 못 번셩치 못여늉븍(隆福寺)의셔 못다  고로 일 구경치 아니니라
188
이윽이 가다가 셩문의 니러 셩안 가온 길은 거믄 쟝믁(長木) 네식 엇거러 가로 노하시니 인은 두 편 녑흐로 니게 더라
189
이 문은셔직문(西直門)이니 문 밧긔 져와 푸 슈 리 년여시나 믈화(物貨)졍안문밧보다 바히 못더라
190
(垓字) 리 건너  리 지나니 리 아 믈이 셔흐로 흘너 동븍으로브터 깁히 히여시니 흘너가 쥴을 몰을너라
191
이 믈 근원이옥쳔산(玉泉山)으로 나아오니 ·외셩(內外城) (垓字)와태지(太液池)·옥하(玉河水ㅣ)다 이 믈노 되엿다 더라
192
리 좌우의 난간을 며시 졔되 공교(工巧)고 두 편의 각각 루(彩樓) 셰워시니 이 길은 황뎨셔산(西山)의 왕 길이라 셔남으로 라보 믈가 쳡쳡(疊疊) 각(彩閣)이 슈목 이로 은영(隱映) 다 믈흐로 년여 셔로 빗최여시니 그 밧글 보지 못지라운태왈 이 믈 좌우로 삼십 니 지은 집이니 다 황뎨 노리 집이라 도라올 의 믈흘 조차 구경리라 더라
193
셔직문밧그로브터 박셕(薄石)을 라원병[명]원(圓明圓)사십 니 버더시니졍양문(正陽門)·됴양문(朝陽門)밧과 다 가지러라  푸의 드러가 약간보보(寶寶) 사 낫의 요긔(療飢) 거 삼고 리 지나니 눈이 뎜뎜 쟝(壯)더라
194
길 븍편의틱건광명(勅建光明寺)란 졀이 이시니 졔되 쟝 웅장지라 예 지나 푸 드믈고 길 좌우로 버들과 측(側柏)과 노숑(老松)이 셧겨시 그 기 뭇거 세온 고 단쳥 누각이 곳곳이 츌몰(出沒) 셜즁의 긔이 경치 진짓 그림으로 엇지 못 배오 왕왕(往往)이 인개 돈연(頓然)이 산야 풍경이라 슈의 큰 노 메오고 슈 모 년여  둘너 리니 이  고 슈 박회 박셕(薄石)의 구으 소 벽녁(霹靂) 트니 지난 바 뵈이 바 리 다 거울 속 산쳔이며 그림 속 뉴리(琉璃)라 이십 니(里)  비로소 여념(閭閻)이 셩고 길 남편으로 긴 담이 잇고 담 안희 슈 리의 여러  집이 이시니 이강희(康熙)머므던챵츈(暢春)이라 담 쥬회(周回) 슈 리의 넘지 못고 담 안희 집 말니 혹 뵈이니 담 졔도와 궁실 규뫼 극히 쵸쵸(草草)고 검박(儉朴) 모양이러라
195
챵츈원(暢春園)큰 문을 지나 두 편의 조산(造山)을 무오고 슈플 이의 왕왕(往往)이 여러 간 집이 이셔 오 분묘(墳墓) 모양이라 황뎨의 궁궐이 지쳑(咫尺)이 가(私家) 분묘 옴기지 아녀시니  간슐 규모러라 셔흐로 오 리  길 좌우 긴 담이 일 니 벗첫고 담 안이 광활(廣闊)여 놉흔 집이 아흐라이 뵈니 올흔편 집은화신(和珅)의 집이오 왼편은김간(金簡)의 집이라 며 왼편 담 밋 슈십 보식 포막(鋪幕)이 잇고 직희 군 이시니 그 믈(財物) 젹몰(籍沒) 아직 다 옴기지 못 고로 밤낫으로 직흰다 더라
196
예 지나 새로 지은묘당(廟堂)이 이시 알 블근 목(木柵)과 블근 면쟝(面墻)을 베플고 세 문을 구지 가시니 현판의칙건웅궁(勅建紫雄宮)다  시 셰치 못나 대개 지언지 십 년의 넘지 못가 시부더라
197
오 리 여원병[명]원의 니니 뒤흐로 큰 뫼히 둘너시 일홈은옥쳔산이라 뫼 기의 셰 굴이 이시 둘은 뫼 셔남의 이시니 그 아 믈이 깁허 측냥(測量)치 못너라
198
 뫼 나흔 동남의 이시니 바회의옥쳔(玉泉)두  삭이고 뫼 아 고인 믈이 이시니 일홈은셔호라 쥬회 십여 리의 년을 득 심으고 흰 모과 긔이 새며 믈즘이 하 빗과 구 기림자 이의 츌몰니옥쳔슈홍(玉泉垂虹)이 연도팔경(燕都八景)의 드 곳이라 슈홍은 무지게 드리온단 말이니 믈 흐 형샹을 니미러라 뫼 알프로 층층 누각이 슈목 이의 슈 리(數里) 년고 길편으로 긴 담이 막히여셔산지 벗쳣시니 황뎨셔산의 노리면 궁즁으로 말암아 뒤흐로 나아가게 여시며 대궐 알 큰 못시 잇고  니며 리 통 곳이 이시 먼리셔 셜즁(雪中)의 희미이 라보 그 형샹을 셔히 알 기리 업고 표묘(縹渺) 궁뎐이 기즁(其中) 알프로 잇 집은졍대광명뎐(正大光明殿)이란 집이오 후원으로 웃둣 놉흔 집은산고슈댱(山高水長)이란 집이라 더라
199
길 셔편으로 큰 년못시 이시 방이 슈삼 뵈(步)라 면의 셕츅(石築)이 졍치(精緻)고 년못 동편의 못 님야 슈 간(間) 푸집을  쥴노 집을 지어시 표묘 누각과 녕농(玲瓏) 각이 믈 가온대 빗최여 믈결이 흔들니며 황홀(恍惚) 그림자와 긔이 졔되 과 눈을 놀내지라 운태니 일 드니 이 다 황샹(皇上)이 믈녁을 쥬어 샤치(奢侈) 극진이 여 샹고(商賈)의 니(生理)와 인의 음식을 위여  긔이 귀경을 위미라 더라
200
푸 알 슈 려  푸의 드러가 차 마시고 즉시 니러 나와  못 겻 져근 비(碑) 셰오고 태샹황(太上皇)의 글과 글시 못 판 젹을 긔록엿시니 대강 오 히 누습(漏濕)여 인을 통치 못더니 흉년의 쥬린 셩을 모도와 진휼(賑恤)을 먹이고 그 힘을 합여 못슬 파이니 인의 근심을 덜고 믈을 져츅(貯蓄)여 한(旱災) 방비니 갓 노리 위미 아니라 엿더라
201
푸 알셔운태 피인(彼人)을 잡아 인(人事)거 어인 사이뇨 무니운태오 이 곳 호권(虎圈)을 직흰 사이라 이 놈을 못 만나더면 호권을 볼 기리 업다 고 으러 알 셰오고 셔흐로 다가 도 남으로 걱거  패문 튼 패문을 드러가문의신우쥰(神佑駿)셰  시니 신령이 돕 쥰(駿馬)란 말이라 남으로 큰 들이 이셔 알프로 슈목이 둘넛고 이 무리 지어 니니 이 곳 황뎨 내여 쥬어 먹이 배라 더라
202
오 리 밧긔 뫼히 둘너시니 일홈은만슈산(萬壽山)이오 뫼 뒤희 층층 탑과 쳡쳡 누각이 먼리셔 라보 인간 경(景色)이 아니니 이  션산(仙山)이라 지라 이윽히 여 큰 언덕을 도라 호권으로 드러가니 문안의 오 간 집이 이시 간살이 장 커  간이 네 간이 다 된 니 큰 범을 너흔 곳이라 슈십 층 셤을 지나 큰 집의 오니  므은 가온로 좃차 아 깁히 고 너븨 네 간을 지어시  칠팔 간이 될 거시오 바닥의셔 (臺) 므은 젼이 다 길이 될지라 우흐로 큰 나모 셔너흐로 가로 누여 언고 나모 우희 굴은 쳘망(鐵網)을 베플고 우흐로 사이 왕여 요동(搖動)치 아니케 여시니 범이 여 나지 못게 미러라 네다 사이  우희 느러 안고 큰 남그로 텰망 우흘 그러으며 크게 소니 동편  밋흐로 쇠문을 근 곳이 이시 미쳐 몰낫더니 홀연  마 벽녁 소 집이 울니고 하이 믄허지 며  범이 리 두고 나 거녀 우흐로 칩드 네 길흘 나마 올흐니 안졋던 사이 일시의 닓더셔 혹 믈너셔 쥴을 지 못니 그 금즉 위엄(威嚴)과 무셔온 형샹을 가히 짐쟉지라 범의 모양을 셔히 피니 표범이로 머리로셔 리지경이  이 될 거시오 몸이 며 눈이 녈(猛烈)여 쟝 녀고 모진 범이라 사이 손을 져허 치 형샹을 면 년여 흉 소 지며 노 즉시 문 잇 곳으로 여 드러가 몸을 슘기 거동이라 제  사을 겁(怯)가 시브더라
203
혹 여러 번 치 쳬고 년여 짓 소면 용을  노다가 몸을  고 눈을 지롭  사을 보고 그리리 소며 톱으로 박셕을 허위며 셩내 거동이 비록 텰망의 막히여시나 감히 갓가히 나아가 엿보지 못너라
204
동편으로 담을 고 가온대 터 왕 곳이 잇거 나아가 보니 남븍으로 간을 막고  두 간을 그러시 깁기 담 안의 잇 곳과 고 젼을 둘나  길의 모롬게 담을 두고 텰망을 아니 둘너시니 직흰 쟤 오 장 낸 범도 여 나지 못 고로 텰망을 아니 더펏다 며 시방 범을 너흔 곳의 이 만흐면 문을 여 녹노(轆轤)흘 틀허 범을 밧그로 나가게 고 사이 드러가 졍히 러낸다 며 담 밧 븍편 간의 대 로 지고 므 고기 거럿거 직흰 놈려 고기 쥬어 먹 양을 뵈이라 니 고기 먹일 면 관원(官員)이 니러 준다 니 뵈이고져 아니여 거말인가 시브더라
205
그 범을 셩내여 노 양을 여러 번 시기니 직흰 쟤 말라 여 왈 셩이 과(過)히 내면 병(病)이 드니라 더라
206
범을 살녀 잡 양을 므니 혹 함졍(陷穽)의도 잡으며 혹 쟝(壯士ㅣ)  의 모도 쇠투겁 씨여 범이 을 믈게 고 으러 온다 더라
207
내개 호권은 님군의 위엄을 뵈게  의라진·한(秦漢)으로브터 텬의 궁즁의 베펏던 거시니진시황(秦始皇)의 범이 사을 보고 믈고져 거쥬(朱亥)눈을 부릅고  쥬먹을 두니 범이 놀나 업여 감히 음기지 못다 니 이곳의 니러쥬의 일을 각니 쳔고(千古)의 녁(力士)라 일미 올터라 직흰 쟤 니 태샹황이 년년(年年)이 호권의 니러 구경고 혹 틀에 너허 가도와 궁즁의 드려다가 본다 며 년젼의 태샹황이 녈문 우 올나안고 산을 시길 범을 내여노 좃게 고 좃가 도로 잡게 니 여슨 죽고 나흔 사라시니 곳 시방 잇 거시라 더라
208
보기  문을 나 동으로 쳐기 드러가 길 남편의명년(明淵寺ㅣ)란 졀이 잇고 븍편의 믈 가온대 지은 집이 이시니 이 곳 션(彩船)을 너흔 집이라 니 믈을 건너가 볼 기리 업더라
209
집 아로 흐 믈이 너븨 오 간이 되고 깁희 밋틀 보지 못지라 널노 리 노하 니게 여시나 널조각이 각각 믄허져 건너가 극히 위(危殆)더라
210
믈 셕츅 곳의 잠간 안자 구경다가 도로 리 건너 셔흐로여 보 여 남향여 놉흔 집이 이시니 이곳은 널문 우라 집 졔되 극히 웅쟝고 단쳥이 못 빗나 지언지 오라지 아니여시며 층계(層階) 십여 층의 지나고 층계 우 셕쥬(石柱) 길 남게 베플고 그 우희 집을 지어시니 올나 안 소견(所見)이 극히 광활(廣闊)지라 문을 구지 다닷더라
211
틈을 조차 보 다만 어탑(御榻)으로 당즁(當中)여 노코 누른 보흐로 덥헛더라
212
븍편 층계로 려 집 뒤쥬산(主山)의 오니 이  조산(造山)이라 약간 슈목을 심으고 두 편이 방졍게 엿더라
213
쟝 놉흔 봉의 오니셔산의 긔졀(氣絶) 치(配置) 거의 다 짐쟉나 젼후 좌우의 누쳔 간(累千間) 각 누각이 다 빗 며 긔이믈 나토니 스로 엇더타 니 길이 업더라
214
셔산은븍경(北京)으로셔 읏듬 명산이오 셜후(雪後) 봉만(峰巒)이 더옥 긔특니 이러므로셔산졔설(西山霽雪)이연도팔경의 뎨일이라 이 눈이 쾌히 개이고 날빗치 븨싀이니 황홀 경개  글노 형용 배 아닐너라
215
이 봉의 올나 보옥쳔산이 알플 둘너잇고원명원이 뒤흐로셔산의 하시며셔산이옥쳔산을 년여 구 가 소사 낫시니셔산텬연(天然) 봉만의 혀난 긔운을 엿고옥쳔산은 인력(人力)을 만히 드려 장졈(粧點) 포(排布) 알 거시오 뫼 뒤흐로 먼 뫼 쳡쳡이 뵈니 리 산셰 웅장고 눈이 허여 여시니 이거용관(居庸關)이라일통지(一統志)의 닐너시거용관이 남편 어귀예서 븍편 어귀지 사십 니의 좌우에 층암 졀벽(層巖絶壁)이 하 하시니 이 텬하의 뎨일 험 곳으로 일 히오경셩(京城)의 일 이십 니라  거용쳡취(居庸疊翠)  팔경의 드럿지라 일 긔이히 너기더니 오날 와 보심히 갓가히 뵈지라연도팔경(燕都八景)의 들미  올터라 믜 려녈무루(閱武樓)앏흘조차 호권 녑흐로 첫 번 드러오던 문으로 도로 나가 셔흐로 이윽히 여셔산기의 니러  문을 드니  편의 암슈(巖峀) 두 로 현판고 폐문 압 큰 오동(烏銅獅子) 좌우로 니고 알플노  쥴 됴방(朝房)치 지은 집이 잇지라 븍편으로 산 우흘 라보  각이 이시니 집 지은 졔되 반만 칀 년화(蓮花) 모양이 여러  지어  집이 되게  모양이요 그 긔묘며 황홀여 신교(神巧)며 찬란(燦爛)기 쥬궁패궐(朱宮貝闕)노 일코미 오히려 더러올 지라 의 놀납고 눈의 금즉여 스로 혜오 텬하의 이갓튼 죄 이시며 젼고(前古)의 이튼 샤치 어이 이실고 시분지라 됴방 튼 집 알프로 나아가 글 닑  소 나거 드러가니 두어관(內官)과 두어 사이 쳥셔(淸書)로 므 문셔 다가 마자 안기 쳥고  차 권더라
216
잠간 안잣다가 나올 지필(紙筆)을 가져 그 집 일홈을 무니 다 셔로 도라보아 지 못니 글 모 거동이러니 문 밧긔 셧던  사이 븟 달나 여담희각(淡喜閣)셰   뵈거  예셔 뵈 여러 집 일홈을 무니 좌우 도라보와 답 바 모니 제  아지 못가 시부더라
217
남으로 여 호슈 흐로 발마 나아갈 호슈(湖水) 좌우로 셕츅을 졍졔(整齊)히 고 호슈 븍편과 셔편은 산을 덥허 다 각을 두어시 노픈 (臺)로 조차 산 밋지 거의 븬 틈이 업고 집 졔양(制樣)을 다 각각 다게 여  곳도 튼 곳이 업게 고 오 뉴리 기와 니어시니 면으로 블근 난간을 두고 각 공교(工巧) 삭임과 긔괴한 믈샹(物像)이 다 평의 듯도 못던 배라 산 밋 잇 집으로 븟터 장 놉흔 집지 난간을 발마 오며 좌우도  집안흐로 셔로 통여 니게  졔되라 니 엇지 근 거신지 녁냥(力量)의 밋 배 아닐 더라
218
호슈로 조차 년여 남으로 나아가며 거름거름 머리 두혀 보 볼록 놀납고 새로와 믄득 이 몸이 신션을 라방장·영쥬(方丈瀛洲)의 노 더라
219
됴방 튼 집을 져기 지나  삼층각이 호슈 가온대 이시니 혹 오 이문챵각(文昌閣)이라 며 예 지나 여 보 가셔  믈 속의 긔묘 삼층각이 이시니 혹 왈 이뇽왕묘(龍王廟)라 며 예 지나십칠(十七橋ㅣ)란 리 이시니 호슈 동편으로 브터 셔편지 벗쳐 안밧흘 통게 여시 길의 슈여 뵈오 너븨 오뉵 간이 될지라 아로 열닐곱 무지게 굼글 내여 믈을 통고 그 놉희 누션(樓船)의 큰 틀 라 츌입게 여시니 웅쟝 졔도 짐쟉 거시오 좌우로 난간(欄干)을 며시며 사의 머리의 닷케 엿지라 리  반을 지나 금줄을 느고 두 편의 군포(軍舖) 직희 거동이 사은 업지라운니 관계치 아니타 고 리의 올나  말 니러 난간의 의지여 븍편을 라보니 믜 우희 쟝 놉히 잇 집이 마조 건너 뵈이니 리 놉희 가히 알 거시오 집 졔도 셔히 보 좌우 젼후로 민 모양이 므어 응(應)  각여도 셰치 아닌지라운오 이 집이 글로 형샹여 지엇다 거 황연이 치니 일만 만와 목슘 슈로 응 거시며 집 뒤와 뫼 우히며셔산봉만의 먼리 보 곳의 곳곳이 흰 탑(塔)을 세워 혹 열 길이 너므며 혹 열닐곱 길도 되어 옥치 흰 빗치 각 집 뒤흐로 표묘히 뵈이니 이  인간의 경(景)이 아닐너라
220
리 지나 셔편으로 려가더니 다엿 놈이 각각 몽치 들고 바로 치려  모양이라 대경(大驚)여 엇지  쥴을 모고운 지져 예 어이 인도다 니 운관계치 아니타 고 몽치 가진 놈의게 마조 드러가 하오아 하오나 니 그 놈들이 믄득 머므고 죵용(從容)이 닐너 어셔 나가라 지라운태오오태감(吳太監)이 평안(平安)냐 일 내게 그림 부 쥬어 오 이후의 부 가지고 오면 막지 아니 리라 언약야시니 이 말을 통라 면 부와쳥심환을 쥬니 다엿 놈이 도로 드러가지라 우리 그 뒤흘 조차 리 너므니 리 지나며 븍으로 층뉘 이시니 난간을 층층이 두고 분합을 면으로 다닷시며 동편으로망셤각세  삭이고 삼면으로  각각 현판이 이시 밋쳐 보지 못여 다엿 사이 도로 나와 니 잇 다른 와 달나 드러오기 허치 못니 도로 나가란다 고 구여 공갈(恐喝)은 아닌지라 도로 리 건너 나올 뒤흘 도라보 호슈 셔편으로 묘연(杳然)히  각이 뵈히 졀묘(絶妙) 졔작(製作)과 궁극(窮極) 샤치 호슈 의 잇 집의 비치 못지라운처 니로 져 궁인의 직흰 집이니 오직안동김직각녕감(令監)이 보앗다 거 본 곡졀을 무니운오 그영감이셔쟝으로 드러올 의 저샹통마두로 드러오지로 길희셔브터 이젼 못던 구경을 궁진(窮盡)히 고 밋 여긔 니러 구경 졔 이 리의 오 직흰 군 앗가치 몽치 들고 치려 거 됴흔 부와쳥심환을 년여 쥬어 달내고 임의 리 지나고 깁히 드러갈 사을 만나지 못지라 향방(向方)을 모고 져긔 뵈 집을 자 드러가니 문의  직희 쟤 업지라 여러 집을 지나 져 집을 다 여러 궁인(宮人)이 누에 올나 건니다가 밋 우리 보 대경(大驚)여 려 가더니관(內官)두어 사이 갑군(甲軍)을 블너 론 인과군관·역관이 알 믄져 니른 쟈 결박(結縛)여 쟝 크게 죄(罪)이실 지라김직각녕감이 급히 아모리  쥴을 모로다가 하인을 블너 져 자바드러 업지고 큰 몽치로 쟝 죽이러  거조 니 관이 그 거동을 놀나 연고 뭇거 졔 답왈 내 모고 대인(大人)을 인도야 왓다가 이 지경의 니니 슬프다 나 이졔 죽으리다관이 졔 등에 업히여 치지 말나 고 여러 사의 결박을 플고 알프로 오라 니 임의 옛지 드러왓시니 엇지 리오 고 알셔 인도거 면피(面皮) 쟝 만히 쥬고 여러 곳을 구경 궁인이 문틈으로 조차 나와 토와 엿보니 그 긔묘 구경은 다시 엇지 못 일이오 평의 긔이 일이라 더라
221
리 건너 년여 남으로 향 믈의 프른 구리로 쇼 그라 셕탑(石塔) 우 누여시니 머리 드러 븍편으로 라보 형샹이러라
222
사라 음겨 여 니러날 니 혹 니 이 쇠 여 호슈에 드러가면대쳥(大淸)이 오라지 아니리라 다 니 쇠로 근  놀니 어이 이시리오 등 위희 슈십  글을 삭여시 긔괴 젼(篆字)라 다만 태샹황 도셔 삭여시니 어필(御筆)인가 시부며  셕탑 면으로 가 남글 심거시니 셔히 보지 못너라
223
믈의 져근 비 둘이 이시니 다 태샹황 어졔(御製)라 노람을 포쟝(襃獎) 거시오 믈 일홈은근명회(昆明湖ㅣ)라 여시며 곡식 시므 경(頃)을 일라시니 대개 이 호슈 인연여 호슈 동편으로 망망 들의 다 눈을 그러시니 문 이후로 쳐음 보 배라 의 반가와 여러 번 도라볼너라
224
쇼 누인 곳의 셔남편으로 팔면각이 이시니 집 졔되 우산 벗틘 모양이라 일홈은학여뎡(鶴唳亭)이라 고 현판을 무슈히 라시 다 태샹황 글이러라
225
져기 안  이 여러 사이 와 환약(丸藥)을 구니 괴롭더라
226
예  지나  큰 리 이시니십칠교졔작과 방블(髣髴) 무지게 굼글 나흘 내고 리 면 기동의 다 글귀 삭여시니 이슈의(水漪橋ㅣ)라 일며 리 동셔편으로 다 패문이 이시 셔편은 리 지나가 보기 결을치 못고 동편은 츈부영츄(春富秋榮)네  안밧그로 현판엿더라
227
밋 예 지나 호슈 쥬회 거의 다 구버뵈니 호슈 쥬회 방 칠팔 니가 될 거시니 이 믈노 인연(因緣)여 삼십 니 둘너시니셔산아로브터 남으로 흘너원명원(圓明園)알프로 두고  가은셔직문으로 통여시니 이 다 인력(人力)으로 근 배라 금즉더라
228
예셔브텀 언덕을 히 회슈(淮水) 막아시 회(灰) 닉여 길을 무어시니 너븨 오뉵 간의 지나고 즁간이 노프며 두 녑히 게 여 이치  고 삼십여 리 느럿다 더라
229
년여 뒤 도라보 구뷔구뷔 집 졔되 쳔(千百) 형샹이오 호슈 가온대 큰 셤이 이시니 셤 우  여 간 누 셰오고 가온대 삼층집이 이시니 이 슈졍궁(水精宮)이라  곳이라 면이 다 믈이라 알 져근 션을 여시니 사의 왕 오 삼층집의셔 사이 난간을 의지여 내미러 보 녀인(女人)의 복이라 의연히 텬샹의 션녠(仙女) 더라
230
셔편으로 언덕이 막히이고 언덕 뒤 여라믄 누른 대 슈플 이의 셔시며 머리 언덕 녑흐로 뵈이니 이 황뎨 노의  뇽(龍舟ㅣ)니 졔되 긔이타 나 도라가미 급지라 가보지 못니라
231
동으로 향여 도라올 음식 푸의 드러가 약간 요긔(療飢)고 물길흘 조차 오니 이 디명이회젼이니원명원과  잇 곳이라 혹 슈십 보 오고 혹 여 보 여 년여 각각 졔양(制樣)으로 집을 지어시 혹 두세 층을 글고 혹 팔면각(八面閣)이며 뉵면각이며 혹 십 간 각(行閣)을 느고 혹 담을 막아 담 안 젼방치 무슈이 지어 집마다 물을 향야시며 혹 믈속의 기동을 박아 지은 집이 이시며 혹 믈을 로 막아  듯이도 지엇고 혹 느리리 지어시  편은 고  편은 놉하 러질  모양도 이시며 혹 궁글게 그라 안흐로 도라니게도 야 부 펼치며 우산을 벗틔고  여시며 고 업 모양이니 형형(形形色色)이 이로 형용치 못너라
232
이 다 황뎨 믈길노 좃차  고 오라리관과 궁녀로 여금 여러 집의 온갓 긔믈(奇物)과 각 음식을 초와 각각 공졔며 젼방의 져 모양의 버러 셔로 머 시기니 이 젼혀항(杭州ㅣ)ː셔호(西湖) 모방(模倣)고 그곳 사의 노 거동을 본바다 미라 이치셔직문(西直門)밧태문지 긋지 아녓다 니 이 다운의 니 말이라 이곳 말을 인식히 이치 거 비로소 그븍경 슈(數) 무니 스믈여 번로라 니 이러므로 그러더라
233
열하(熱河)구경 말을 니셔(西山)의셔 오히려 나흔 곳이 잇다 며 졔 십여 년젼의 신을 뫼시고셔산등희의 와 왓더니 신 햐쳐 곳으로 다  친왕이 지나다가 아국 사이 셧 거 보고 슈 머므러 한어(漢語) 사을 니 신이 져 명여 나오라 니 친왕이 두어 말을 뭇다가 죵(從者)로 여금 려오라 거 죵쟤 큰 을 쥬여 이고 뒤흘 롸가챵츈원(暢春園근쳐의 드러가 큰 집을 드러가니 이 친왕의 집이라 이윽여 브거 드러가니 그 집 졔양이 셔산의 잇 집과 별노 다지 아니코 져 블너 의 안치고 그 탁의 음식을 와 먹이지라 졔 어인 일인 쥴 아지 못지라 두 다리 박셕의 고 공경여 음기지 아니코 안잣더니 이윽여 풍뉴(風流) 엿고 각 뉴리등(琉璃燈)의 블을 라노 니 이날은 졍월 십칠일이라 그 구경이 원명원의셔 보던 바의셔 못 쥴 모 거시오 져 안 곳은 심히 깁흐니 그 안집인가 시부더라
234
더옥 황공여 일향 럿더니 홀연 관이 제젼립과 웃옷살 벗겨 가더니 이윽여 도로 러 안 녑흐로 향냥(香囊)을 무슈히 더지니 대개 녀인들이 놉흔 누에 비겨셔 구경다가 져 쥬 거시니 업여 모 쳬더니 밤든 후 친왕이 죵쟈 명여 려다가 도로 잇던 로 보라 거 죵쟤 향낭을 거더 쥬니 닐곱 쥬머니마다 은  냥식 너헛고 니러 오기장  마 뭇 말이 업니 그 다려가기 젼혀 가(自家)의 집과 노을 구경시커고 아국 사을 녀인들이 구경케 미러라 십여 리 여만슈(萬壽寺)의 니니만슈 졀 일홈이오 믈을 님여 지은 졀이라 문밧긔  패루와 돌 극히 웅장(雄壯)며 블젼(佛典)의 경 닑 소 나거 나아가 보니 븍벽의 큰 부쳐 열아문을 안쳣고 당즁(當中)여 부쳐 알 황뎨만만(皇帝萬萬壽라ㅣ) 패(牌) 셰워시며 즁이 동셔로 각 십여 인식 셔시 거믄모진관(冠)이며 검과 누른빗 장삼(長衫)을 닙고 팔을 곳고 눈을 감아 야흐로 경(經)을 외오 극히 한아(閒雅)야 즁의 본(本色)이 이시며 이이 묵어(木魚) 쳐 소의 졀 맛초더라
235
법당(法堂) 동셔 익낭(翼廊)의  편은 관뎨소샹(關帝塑像)이오  편은  부쳐 위 곳이며 좌우 익낭이 여 간의 지나니 다 즁의 잇 방이오 법당 뒤 삼층각이 잇거 아 조차 슈십 층 사리 올나 쟝 웃 층의 오니 아 거시 업고 다만 황뎨 어필노  병풍  좌 븍벽으로 븟첫더라
236
남편 문을 열고 먼리 라보니 소견이 망창(茫蒼)여 가흘 보지 못너라
237
도로 려 집 뒤흐로 드러가니셕가산(石假山)을 무엇시 쥬회 여 보의 지나고 놉희 오 쟝의 지나니 다 긔이 괴셕(怪石)으로 쳔 층 봉만(峰巒)을 그라 진짓 산형(山形)을 모방고 틈틈이 긔이 화목(花木)을 심어시니 비록 텬쟉(天作)이 아니나  사의 공교미 조화(造化)의 공부 아삿다 닐너라
238
남으로 두 바회 이예 조고만 셕문(石門)이 잇고 문안희 돌 틈으로 층층 뫼길이 슈플 이의 빗겻거 문을 드러 뒤흐로 돌을 반연(絆緣)여 노 려가니 븍편의  법당이 잇고 좌우로 긴 담을 막아시니 두 편으로 둥근 문을 내여 사을 통게 엿지라 그 안흔 이 더욱 너로고 간숑(白幹松) 다  그늘이 의 득니 슈 년 고목일너라
239
븍편의  법당이 이시니 블샹이 다 길의 지나고 손의 반 튼 그 드러 가의 다혓지라 하인들이 쇼쳔(小錢)을 치쳐 그 그 담기게 고 흣터진 것도 다시 줍지 아니니젼브터 이치 돈을 치쳐 만히 언치면 됴타니 즁의 먹 거시 가 시부더라
240
법당 녑흐로  익낭의 드러가니 간방의 다만 늙은 즁 나히 잇지라 합장(合掌)여 녜 일오고 안기 쳥니 보기의 극히 슌량(純良)고 산승(山僧)의 도 일치 아녓지라 칭찬여 왈 아국 놉흔 즁이 곳 화샹(和尙)의 모양이라븍경의 드러온 후 첫 번 보노라 니 노승이 오 즁이 다 가지라 엇지 즁의 도리 직희지 아니리오 다만 나마승(喇嘛僧)은 즁을 망치 못리라 더라
241
운간숑(白幹松子) 어더지라 니 졔 둔 바 자 쥬며 젹다 여 가히 업셔  모양이 더옥 귀지라 도로 믈흐로 좃차 다가 오탑(五塔寺)란 졀의 니니 문밧긔 치만슈와 미 업며 밋 큰 법당의 니니 누른 옷 닙은 즁이 믈의 나와 보 녜슈(禮數)도 아니고 다만 면피(綿皮) 만히 라 여 법당 문을 구지 닷고 아니 여러 쥬니 지쳑 이의 인심이 도니만슈즁의 말이 그지 아니더라
242
법당 의 원승이 나흘 쇠슬노 목을 야 두어시니 션 사을 보고 놀나 놀며 괴이히 보 거동이 극히 우읍고 담 여 더지면 압 발노 고 조금식 져 먹으며 사이 치려 면 망상이 놀며 믈고져 더라
243
법당을 열 별노 긔이 귀경이 업고 븍편으로 깁흔 곳의 니니 높흔  무어시 방이 삼십 보 고 두어 길 높희라  우 탑을 무어시 면의 층층이 난간치 삭이고 조고만 블샹을 틈틈 안쳐시 탑 빗과 블샹이 다 금빗치러라 극히 황홀여 남편으로 조금만 문이 이시니 문 우영낙(永樂) 십이년구월 초일일 짓다 삭엿더라
244
문을 열고 드러가 누른 휘장으로 면을 막고 가온 블샹 나흘 안쳐시며 알 큰 그 노아 옷 담아 야흐로 블을 혀시니종악묘의셔 보던 바와 더라
245
동편 리 오니 오 층의 지나 어둡기 칠야(漆夜)과 다지 아닌지라 눈의 뵈이 바 업고 손의 어져 다리 편으로 조차  집고 올나가 다리 면으로 트러 오게 엿지라
246
장 이윽히 올나가더니 하빗치 우흐로 져기 새야 빗최니 이 상풍이라 탑 밧그로 나오 굼기 겨오 사의 몸이 용납(容納)고 밧긔 나셔  져근 탑을 세워 굼글 리왓더라
247
븍으로 문을 나오니 면을 라보 안계(眼界) 광활(廣闊)여 동으로 황셩 안을 구버 님고 셔흐로셔산을 졍이 여 알프로 믈흐로 층층 뉴리 버려시니 이  댱관이러라
248
탑 우 져근 탑이 이시 각각 오방(五方)을 응야 세오고 길 삼 댱(丈)이오 공교 삭임과 긔묘(奇妙) 장엄이  곳의 보지 못던 배러라 탑 남편으로 셕가산을 무어시며 셔편으로 여 간 집을 버려시 당즁(莊重)여 누른 기와집이 이시니 이 즁[궁]이라 더라
249
이윽이 구경다가 슈 밧비 모라셔직문을 드니  오히려 놉핫지라셔안문을 지나고 새문을 드러옥동(玉蝀)의 올나오룡졍(五龍亭)을 다시 둘너 보더니경조츈운(瓊島春雲)과태악쳥패(太液淸波ㅣ)연도팔경(燕都八景)의 두 가지라 탑(白塔) 이 조산(造山)을 경치라 일니 이 져녁 안개 산기을 두고태지(太液池)은 믈결이 희미 바람의 문 니니 우연히 니럿다가 두 가지 긔이 경(景)을 더 어드니라 관의 도라갈대쳥문(大淸門)안흘 지나니 문을 임의 닷더라
250
져녁의쥬부(付子) 니러 닐오됴션샹 쥬 믈건을 초일 진시(辰時)의 반(頒賜)고 셤나(暹羅)신은 초오일 쥬기 졍여시니 초일통관이 신을 인도여 오믄 알 니러  기리라 엿더라
 
251
초일
252
관의 머므다  도든 후 삼 신이 관복을 초고졍관(正官)이십칠 원(員)으로 더브러동화문(東華門)으로 조차오문(午門)알 니러 동편 의 셔고오문을 당즁여 큰 탁 노코 샹 쥬 믈건을 다 핫다가  미 삼 신이 알프로  쥴노 고졍관은  뒤흐로  쥴노 럿지라홍노시명찬(命撰)으로 챵(唱)을 브거 세 번 고 아홉 번 고두(叩頭) 마   마 챵을 여 알프로 나오라 거 다시 러 안니대와통관이 례로 탁의 노힌 믈건를 밧드러 쥬지라 밧기   세 번 고 아홉 번 고두고 인여 례로 믈너 나오니 아국 샹(賞) 타기 젼의  샹 타 쟤 이시니 이몽고사이라 며 샹 쥬 믈건이 아국과 다미 업지라 샹 쥬 가지 슈통문관지(通文館志)의 셔이 잇지라 다시 긔록지 아니며 은은 누른 무명으로 쥬머니 지어 각각 너허시 은마다 도셔(圖書) 쳐시며 비단의 마다 맛타  신하 일홈을 슈(繡) 노핫지라 마다 동지 신의 샹 쥬 거시 녜 네 가지 샹이 되니 곳 동지(冬至)와 원초(元初)와 셩졀(聖節)과 셰례(歲禮)라 혹 샤은(謝恩)을 겸면 다 가지 샹이 되니 이번은 샤은을 겸엿지라 지라 다 가지 상이 이실 거시로 셩졀(聖節) 방믈을 아니 밧고 그 외의 동지(冬至)와 원조(元朝)와 샤은(謝恩) 방믈을 다 아니 밧은 거시 되어시니 년공(年貢) 밧긔 샹이 업니 곳  가지 샹이라 대개 셩졀 방믈은 비록 태샹황샹젼의 니려시나 미쳐 밧은 비답(批答)을 못 리온 고로 황뎨 신여 비답이 미만지라 겸여뎡유년젼녜 잇 고로 아니 밧기로 엿고 각(內閣) 의논이  니 셩졀 방믈 밧긔 여러 가지 방믈의  인표문(表文)의 다 하례(賀禮) 말이 이시니 이  당려 하례 바드미 녜의 대긔고  표문의 쥬홍(朱紅)으로 밧은 비답을 리오 젼녜라 이  변통이 어려온 고로 일톄로 아니 밧기로 쳥엿더니녜부로셔 엿와 셩졀 방믈과 그나마 세 가지 방믈을 다 머므러 후년(來後年) 년공을 삼게 엿지라 도로 가져가기 면니 공(貢使)의 다미 진실노 젹지 아닌 일이러라
253
처음은 신의 졍문(呈文)을 인연여 이리 된가 여더니녜부와 각이 임의 신의 졍문여  을 드럿 고로 졍문을 기리지 아니고 념일일(念一日)의 의논여 엿와 념일(念四日)의 황뎨 비답을 리왓고 졍문의 황뎻 엿지 아녓다 며 이번 비록  가지 샹이 될 거시나 아니 밧 것도 머믈너 주엇 고로  가지 샹을 더 쥬어 두 가지 샹이 되게니 특별 은전(恩典)이라 며 신의게 혹 즁의 낭될가 념녀여 샹을 더 쥬어시나국왕 대졉 도리로 더 보 거시 업다 니역관 사이녜부 샹셔긔균(紀畇)의게 이리 드럿노라 고 뎐더라
254
이날 녜부의셔 엿운 글을 어더 보니 와시 금년 됴공이경셩의 니 그 국왕(國王)과 신의게 샹쥬 믈견을 져즈음 신(臣)의 을노 말아마 초 엿와 오문 알셔 바 쥴노 엿더니 셔히 샹고오니됴션국(朝鮮國)의셔 금년 방믈 나온 거시 다 가지의 기 즁 태샹황긔 나온 셩졀 방믈  가지 맛당히 신의게 븟쳐 돌녀보 거시라 샹쥴 믈건도  가지 덜고 다만 네 가지 샹을 쥬기로 임의 신등이 엿와 감(鑑)시믈 닙왓거니와 조 각의셔 엿온 말을 셔히 피오니 동지와 뎡됴와 샤은 세 가지 방믈을  머믈너 이십 칠일 후 공믈(貢物)을 삼고 오직 셰례[폐](歲幣)  가지 외국의셔 녜 나오 거시라 표문 안 하례 귀졀이 업니 맛당히 밧을지라 엿지라 임의 세 가지 방믈을 머므러 이십 칠일 후 방믈을 삼은 져즈음 긔 의논여 태샹황 셩졀 방믈을 돌녀 보내여지라  거  긔 머믈고  가지 샹을 더 쥴지라 업여 황지(皇旨) 기리오며 신을 잔던 젼녜 잇  당여 맛당이 졍지고 샹을 준 후 즉시 본국으로 돌려보여지라 여시며 곳태  오 황지 밧와 셩졀 방믈을 머믈너 후 방믈을 삼으라 엿더라
255
이젼은 궐의셔 샹을 탄 후녜부의 나아가 하마연(下馬宴)을 지나니 디 린 후 잔란 말이오 관(館)의 도라온 후녜부 시랑(禮部侍郞)이  잔 와 관으로 니면 신이 즁문의 나가 마자 븍벽의 안치고 군관역관은 신 안 뒤 셔벽으로 안 후 차  보식 먹이고 차후의 각각 샹을 드리 실과 밧근 다른 거시 업고 실과 물니며 양육(羊肉) 믄 것  덩이식 노코 슐 세 슌(巡杯) 나오고 그만여라 고 파 후 고두(叩頭) 녜 이시시랑이 맡게라 니 이 샹마연(上馬宴)이니 게 오 잔란 말이라 하마연이  이 모양이로 이번은 다 폐니라
256
즁의 (蔘) 갑슬 삼 오십냥으로 결가(決價) 엿다 니 계유 냥 면나 져의 비단 물화 갑슬  냥의 이십냥식 도드자 니 이곳 머[] 법이 은(銀)을 쥬지 아니코 각 비단 물화로 갑 쳐쥬 슈쥬(水紬)  필의 뎡은(正銀) 두 냥을 치니 아국 엿 냥 돈이 되 나온 후 너 냥 지기 밧다 니 이럭 구럭 니(利)가 업다 더라
257
샹의원(尙衣院)무역(貿易) 오(五色) 삼승(三升)은 소즁(所重)이 잇 거시오 이곳 파 푸 여러 곳이 아니라 장놈이 아국 물졍을 짐쟉 고로 무단 이 갑 도도와 달나 로 아니 쥬면 못 팔게 되엿다 여 구디 팔기 허(許)치 아니니 갑 도도와셔 후례[폐](後弊)의 관계 일이오 삼승을 아니 사기도  못지라샹판사(上判事)윤갑죵·김경위 샹의원(尙衣院)의 무역을 맛타 왓더니 엇지 쥴을 아지 못여 내게 와 고 갑 도돌 밧긔 엇지 길 업다 거 내 의의 혜오 졔 이젼 파던 거 홀연이 갑 도도려 믄 갑시 만하도 반시 사 갈 쥴노 알오미니 극히 통악(痛愕) 지라 그 계교 치고져 여 닐너 오 아국의 두고 은[온] 무명이 잇고 각 믈을 못 드릴니 업니 삼승 무역은 못 밧[에] 업지라 갑 의논치 말나 니 십여 일 젼의 이 분부 일이라 삼승 푸의 다시 갑 말을 아니코 기(行期) 날노 격니 갑 도드려 뎐 쟝  공연이 아국의 마다 파뎐 누금(屢百金) 흥졍을 못게 된지라 이 날상판드러와 고 그 장 이젼 갑스로 흥졍을 여지라 고 야흐로 졔 캉의 나러 쳥다 거 내 우셔 오 졔 임의 이젼 금로 쟈면 므 일 아니 무역리오 니라
258
이곳은(銀)  법이 뎡은(丁銀)  냥으로 시샹은(市上銀) 닐곱 근을 밧고며 십샹텬은십(十上天銀)으로 시샹은 아홉 돈을 밧고니 시샹은 혹 무[문은(紋銀)]니라 닐니  샹시상(上時賜)라 연시(燕市賜)라 분별이 이시니 샹시 황뎨 샹쥬 은이오 연시뇽경져[市場] 흥졍 은을 니미라 쇼쳔 밧고논 법은 됸흔 졍은  냥의 쇼쳔 여 냥을 밧고며 됸흔 텬은  냥의 혹 열 냥을 밧고며 시은  냥의 열 냥 닷 돈을 밧고 이 뎡은  냥은 아국 석 냥이 되고 십샹텬은과 밋 연시  냥은 아국 돈 셕 냥 닐여 돈이 되고 샹시  냥은 아국 돈 넉 냥 두 돈이 되니 쇼쳔 여 냥이 아국 돈 석 냥이 될지라 은과 돈  법을 일노 밀위여 아너라[피휘1]
 
259
초오일
260
관의 머므다 부역(副譯)뎡현이녜부샹긔균을 보고 도라와 슈작을 강 뎐더라
261
긔균은 본하간(河間)사람이니 글과 글시 져머셔브터 졔류(儕流)의 일홈이 잇고 텬셩이 츙후(忠厚)여  됴뎡의 의쟝(倚仗) 라 며 아국 사을 별노 관(款待)여 은근 을 뵈지라홍판셔 냥회(良浩)년젼의샹로 드러왓실 의긔균과 더브러 여러 번 샹죵고 시 슈챵(酬唱)여 사괴미 쟝 돗탑고 도라간 후도  셔신을 왕복지라 이 날뎡역(鄭譯)과 한훤(寒暄)을 파 곳홍판셔안부 무 혹이계 션(耳溪先生)이라 일며 혹 샹공(相公)이라 일니 이계 홍공의 별호(別號)오 샹공이라 믄샹로판부직함을 비러 갓 고로 졍승이라 이미라면역이 태샹황 인산(因山)의 긔약을 무니긔(균)답왈 구월 십오일노 날을 뎡여역쥬: 동능(易州東陵)의 장 지언다 거 면역이  무 묘호(廟號) 어 예 올리뇨 답왈 묘호와 시호  뎡여시니 은고종슌황뎨(高宗純皇帝)라고종두  곳 태샹황 기치신 이라 인산 젼 묘호 올니니 후의 귀국의칙나걸 거시오 인산 후 부태[터] 묘 후로 칙 갈 듯니 그 긔약이 구월 십월 이의 이실 다니 일년 세 번 칙(勅行)이 폐(弊) 젹지 아닐 지라 드 극히 민망더라
262
뎡역이 도 무러 오 경하례 방믈을 다 머므혀 이십 칠월 후 년공을 삼지라 이십 칠월 이젼은 아국의셔 (使行)이 드러올 젹의 쟝 경하(慶賀) 방믈을 초와 나오지 아니 라 긔 답왈 이 일은 내 지젹여 답지 못리로다
263
비록 가져와도 아니 바들 쥴을 아나 귀국의셔 일노 방믈을 나오지 아니튼 못 다 더라 니 말이  진실더라
264
면역이 년젼의 바독  보긔샹셔 쥬엇더니 이날 갑(匣冊)을 뵈야 왈 바독이 진실노 긔이 보라 극히 랑더니 내 벗범대 뇽의 비러간  되어 오후범공(范公)이 죽은지라 맛 바독 간 바 므니 심히  로다즁국바독은 흑을 다 구어 그 고로 족히 귀 거시 업고 귀국 바독은 본질이 쳔연지라 이러므로 일홈을쳔연긔(天然碁)라 여 이 의 긔록엿더니라 고 인여 그 갑을 드러뎡역을 쥬더라 거 이리 가져오라 여 보니 긔록 라긔샹셔의 보고 듯던 바 올닌 거시오 일홈을난양슈록(灤陽隨錄)이라 여시니 난양은열하(熱河) 니른 말이라병진년녀름의 황뎨 뫼셔열하의 가 과하 각 바 긔록노라 고 슈녹이란 말은 니어 긔록다 말이니 이  밧긔  여러 권 긔록  잇 쥴을 짐작지라 보암 말이 간혹 잇더라
265
뎡역왈 을 가져가 거시 금녕(禁令)이라 보기 다면 쟝 노즁(路中)의 리라 더라
266
져젹의니광직먹 궤 구경 로 드려와시니 곳 태샹황의 졔도와 일홈을 뎡여 글닌 라 남그로 져근 궤 글고 다 셜합을 워 셜합마다 비단 방석을 고 먹 모양로 굼굴 파 노하시  셜합의 다 쟝식이시니 합하여 스믈 다 쟝이 낫낫치 모양과 일홈이 다 다고 졔되 극히 졍묘지라 갑 삼십 냥 은 달난다 니 대개 피인의 매의 초등(超等)미 이다 더라[피휘1]
 
267
초뉵일
268
관의 머므다 식후의쥬부 니로니 오됴션국의 도로 돌녀 보 표문(表文)은 맛당이 신의게 붓쳐 보낼 거시니통관이됴션대통관(朝鮮大通官)을 거리고녜부의 니러 졍슌라 엿더라
269
공졔 이십칠 일을 지낸 후의 황셩 안밧희 됴(朝士) 군민이 샹모  말이와 빗난 의복이 평일과 다미 업 아국은 본 녜의지방(禮義之邦)이라 이지라 샹시와 져기 다믈 뵈거시 올흘 여 관의 구지 드러이셔 젼부터 셩 구경던 바 번도 가 보지 아니 여시나문묘(文廟)의 알셩(謁聖)은 구경과 다른지라 이날샹부가 보기 졍거 내  라갈  관복을 초고 슈 셰내여 고 관문을 나니군관 · 역관다 사이 좃더라
270
옥하슈(玉河水)셔편으로 말암아 가다가 동으로 향여 큰 길의 니러 져기 다가 북편으로 큰 골이 잇고 골의 긴 궁장(宮墻)이 쳐시며 큰 문이 당즁(當中)여 이시니 동안문이라 동편의 궁쟝문이 잇고 남편으로 큰 길 놉흔 담이 막히고 담안희 프른 기와 니운 집이 못 번려니 므 공(公廨)가 시부더라
271
쟝안가패문(牌門)을 지나 북으로 여 슈리(數里) 니 이  큰 길이니 남은 즁무문(重武門)이오 북은 안졍문(安定門)이오 길 동편의 뉵텽[현]방(育賢坊)이란 패문이 이시니 이슌텬부라슌텬부잇 집이라 며  슈리 여 셩형방이란 패문을 조차 동으로 이윽히 니 남으로 향여 큰 패문 셔히 이시니국감셰 금로 더라
272
가온대 패문을 드니 븕은 목을 느르고 사을 왕게 여시니 남편으로 담을  리오기 뎨왕묘 치 엿더라
273
목 안히 퍽 너고 동으로  패문이 이시니 디경문(持敬門)이라 현판여시며 문 안 남편으로 치당이란 집이 잇더라
274
이 안흔 큰 문 안히오 즁문 밧기니 좌우로 비 무슈히 세워시니원나라·대명과 쳥지 진의 일홈 긔록 비러라 즁문의 세문을 내여 졍문은대셩문이라 고 문 왼편의  비원나라대덕 년간의공대셩지셩문션왕(大成至聖文宣王)시호(諡號) 더은 됴셰(詔書)오 올흔편의  비슈[원]나라지슈 년간의공부모 츄증 됴셔며건륭황뎨문묘 즁슈 비 세워시니 대강 니탕금(內帑金)이십여 만 냥을 내여 젼됴(前朝)의 녯 졔도 새롭게 고졍젼(正殿)의 이젼은 프른 기와 니웟더니 누른 기와로 곳치며 졍뎐과 여러 문 현판을 다 곳쳐명죠의쟝춍의 녯 일홈을 밧고노라 여시며 졍뮨 두 편 익낭(翼廊)의셕고(石鼓) 각 다식 노하시니 셕고 돌노 근 븍 일홈이라 다 젼(篆字)로 사기고 긋  비 세워 셕고 착양얏더라
275
세 문믈[을] 다 고 졍문 셔편의 져근 협문이 이시  잠갓지라 직흰 사이 열쇠 가져와 여니샹판(上判事)마뒤부아 쳥심환을 주고 열닌다 더라
276
문을 드러가니 굿보 사이  노니 만흐 헌옷과 무든 치며 겨집아희  무슈이 드러오니 극히 셜만(褻慢)더라
277
묘졍히 심히 쳥슈고 늙은 측 여러 (株)  좌우로 섯더라
278
졍젼을 직흰 쟤종녀피(棕櫚皮)로 근 돗 졍뎐  아 왼편의 베플고 녜케 거 (四拜)고 뎐샹의 오니 현판의션묘(先師廟)세  시며  무오고 졍뎐을 세워시니  놉희  길이 되고 삼면으로 난간을 둥글게 둘너 돌이 옥빗 고 알프로 졍노 통여 층계 노하시태화뎐(太和殿)뒤 노흔 모양과 가지오 층계 니어 졍노 도도와 즁문의 게 여시며  안흔 다 박셕을 가릿더라
279
졍뎐문을 열고 드러가 신위 앙쳠(仰瞻) 북벽 밋 뫼시고 누른 쟝으로 가리와시니 졍뎐을 직흰 쟤 신을 신고 감실(監室)의 올나가 댱을 거두니 극히 블경더라
280
신위 븕은 남긔 금로  으 지셩션공(至聖先師孔子)라 고 겻만쥬글노 시니공엇지만쥬글 아시리오 신령이 흠향치 아니실 더라
281
위패 탁 노코 솟과 슐준을 노하시니 다쥿나라졔도 모방 거시라 이 황뎨 안흐로셔 여 보 거시라 며 슐준 두 좌의 다 금빗치오 나모로 근녕지초 잣더라
282
탁 알프로안·증·· 동셔로 향(配享)여시니안위패 복셩안(復聖顔子)라 고증패 죵셩 증(宗聖曾子)라 고위패 슐셩(述聖子思)라 고 위패 아셩(亞聖孟子)라 으되 위패 동편안· 서편증 라 좌우 바람벽 밋흐로  십칠[철]을 논화 뫼셔시 동편은 유약(有若)을 올녀 뫼시고 셔편은쥬(朱子) 올녀 뫼셔 열두 위 되얏지라태(太學)의 잇 션려 어  올녀 뫼셧뇨 무니 답왈쥬옹뎡(擁正) 년간의 올녀 뫼시고유(有子)건륭(乾隆) 십오년의 올녀 뫼셧다 며 감실(龕室)을 간간이 막고 다 누른 댱을 리와시며 독(櫝)을 그러 덥지 아녓더라
283
열 두 위 위패 다 성현 아모라 고 후셰예 츄증(追贈) 벼을 아니 시니 이 다명셰종황뎨(世宗皇帝)의 졍 졔되러라공위패 뫼신 감실 두 편 기동의 금로 두 쥴 글을 남게 삭여 거러시며 감실 우 쟝 놉히강희(康熙)와 옹졍(擁正)과 밋 태샹황 어필(御筆)을 라시 강희 민미유(生民未有)라 네  고 옹졍은 만세표(萬世師表) 네  고 태샹황은 여텬디참(與天地參)이라 시며 뎐(殿內)의 종녀 겁질노 돗 그라 븬틈 업시 라시니 그 빗치 검고 븕어 갈기털 더라
284
졍뎐(正殿)이 너븨 아홉 간 집이로 간살이 크기 이십 간이 남아 될 고 뎐 젼혀 쥬홍(朱紅)으로 며시니 문 안 드러셔 날 빗치 이며 븕은 빗치 눈의 바더라
285
졍뎐 좌우로 가각 슈십 간 월랑을 짓고 녁 셩현을 향야시니 쳥의 뉵농기란 션 향얏다 며  좌우로  여러 비 이시니 다 비각이 잇고 혹 누른 기와로 이어시니  비졍통(正統) 구년삼월 초 일일의태을 새로 셰온 비오 그 나마 강희와 밋 태샹황의 세운 비러라대셩문안의셕고(石鼓)열을 동셔로 각 다식 버려 노와시니 대쇠 갈지 아니 며 놉희 쥬쳑(周尺)으로  자 셔너 치 고 너븨  아람의 벌 듯니 그졔되 즁동이 져기 브른  며 다{피휘1]비슷더라
286
셕고쥬 션왕이 나라이 어즈러온 긋 니어 텬하 다려 즁흥고 뎐하 졔후 모화동도의 산영고 그 젹을 비의 긔록여시니 형샹이 북흐므로 셕고라 이며 그 글시 젼오 글은 송(四字頌)이라대흥현디란 의 여시 셕괴태극문(太學戟門)안 이시니 처음의 진창  뭇첫더니 당나라 경셩이란 사이 갓다가 복셩현 부묘의 두엇다가 나흘 일헛더니송나라황우(皇祐) 년의 민간의 가 어드니 그  이에 니라대관(大觀) 이년의 경경됴로셔 변경의 옴기 쳐음의벽옹(辟雍)의 두엇다가 후의보화뎐의 옴기고 글의 금을 메웟더니뎡샹 이년금인(金人)이 시러금연경의 옴겨와 금을 더 내고왕션무(王宣武)의 집의 두엇다가 후의대흥부(大興府學)의 옴겻더니원나라 대덕(大德) 십이년의우집이란 사람이대도 교슈(大都敎授)야실 졔 진흙 속의셔 어든 배니 비로소 이곳의 옴겨 두엇다 더라
287
북을 갑 을 병 뎡 무 기 경 신 임 계로 례로 막혀시니 글 대 뉵 오십칠의 다 박낙(剝落)고 남은 거시 스물 다 라 더라
288
먹을 칠고 박아 내여 셰샹의 뎐니 이러므로 돌빗치 검어시며 민간의 잣다  거 졀구 파 곡식을 턴 모양이 오히려 텬연(天然)더라
289
당(唐)젹 한퇴지(韓退之)와송(宋)젹 소쳠(蘇子瞻)의 셕고개(石鼓歌) 다 이 두고 지은 거시니 가히 고젹(古蹟)이라 니지라 혹 니쥬 션왕(周宣王)젹이 이쳔 년이 남아시니[넘어시니] 그 젹 거시 어이 지금 뎐리오 고 의심나 이것시 셔화서화(書畵)와 달나 파락(破落) 길이 업고 금은 보화와 다니 사이 갓다가  업 거시라 만년이 지낸들 어이 업리오 셕고 겻 져근 비 나흘 셰워시니 셕고의 글을 후셰의 글로 옴겨  삭이고 글마다 쥬(註) 내여 알게 여시니협산 반젹이란 사의 긔록 배러라 보기 지셩문으로 도나와 북으로 여태:졍뎐잇 뎜을 져기 지나 셔흐로 조금 도라 북향 큰 문을 드니 이벽옹(辟雍)이니 벽(辟)은 뎐(天子)의 션 치 곳을 일콧 일홈이라태셔북편의 이셔태과 셔로 엿더라
290
 안히 남북은 삼  보의 지날 거시오 동셔 일 오뉵 십보라 당즁(當中)여벽옹을 베러시니 방으로 물을 돌너 못 글고 못 우희 안밧그로 돌난간을 둘너 월랑형(月廊形)이 되게 고 동셔남북으로 못 우희 다리 노하 안흐로 드러가게 여시며 당즁여 집을 셰오고 면으로 분합(分閤)을 베퍼시며 집안흔 바닥의 다 벽돌을 고 큰 탑을 노하시 우희종녀(棕櫚)겁질노 근 돗 덮헛더라
291
못 북편은 이륜당(彛倫堂)이란 집이 이시니 아국 명뉸당(明倫堂)과 튼 집이라 집 졔되 웅쟝고 븍편 바람 벽을 의지여 큰 비 슈십 좌(座) 세워시니 이 황뎨 어필노 삭여 졍문(正文)을  거시오 누른 댱(帳)으로 젼면을 리오고이츈[륜]당세 현판여시며 현판 겻 문 츙신(文行忠信) 네 와 복쥬유셩[서](福疇攸敍) 네  좌우로 라시니 다 태샹황 어필이러라
292
이츈[륜]당동셔로 각각 익낭(翼廊)집이 이시니 왼편 익낭은 국됴교(國子助敎) 잇 집이라 됴교(助敎)  사이 므 급 문셔 샹고기로 손 졉을 결을치 못며 올흔편 집은 북편 벽의 거믄 돌을 세오고 돌의 괴화나모로 삭엿고  편의  글을 삭여시니 글과 그림이 다 태샹황의 어졔라 그 글  귀예 오초식지원셰(初植至元世) 쳐음시[지]원 예 심어영신미년(再榮辛未年)신미년의 두 번 영화로왓도다그 글귀 밋  오신미년은령군[궁](慈寧宮)뉵십셰라 여시니 대개 이 집 알 늙은 괴화남기 이셔  가지 나토 업고  굴근 쥴기도 다 말나 앙쟝 모양이오 남모불휘로브터 움이 나 못 무셩엿지라 면을 둘너 단(壇)을 핫더라
293
이 남모원(元)젹허영[형](許衡)이란 사이 심어시니허영의 별호노(魯齋)오원젹의 놉흔 션라지원 년간의국(國子師)벼노 이실 예 이 나모 납히 픠니령궁은 곳건륭황뎨모후(母后)라 그 예 나히 뉵십셰 엿 고로 샹셰(祥瑞)라 여 글 짓고 그림 그려 그 젹(事蹟)을 표미러라이츈[륜]당좌우로 월랑(月廊)이 각 뉵십 이간이니 왼편의존경당· 양심당·슝지당(崇智堂)세 현판을 달고 올흔편의고당(學古堂) ·졍의당·광업당(廣業堂)세 현판을  다라시며 두 편 집 안 다 비(碑) 셰오고 십삼경 졍문(正文)을 삭이고 간마다 비 세식 셧지라 합여 삼 닐은 두 비니 그 물역과 공역이 가히 텬의 긔구 짐쟉너라
294
월랑 머리로 동셔의 각 두 집을 니어  지여시 동은승건쳥이오 셔박텽이라승건쳥문틈으로 여허보니 그 안 침방을 깁히 며시 문 얼굴을 다침향(沈香)·강진향(降眞香)으로 글고분당지(粉糖紙)로 도여시니 눈이 부시이지라이츈[륜]당동편으로  방을 며 이와 트니 황뎨벽옹의 거동면 안 곳이라 더라
295
못 알 큰 패문을 세우고 안은 졀관(學海節館) 네  고 밧근 환교교(環橋敎澤) 네  시며 두 겻 다 누(樓) 짓고 각각 가죽 북과 쇠북을 라시며 큰 문이 패문 밧그로 이시 다 닷고 츌입 쟤 다 북편 협문으로 조차 더라
296
태셔편의옹화궁(雍和宮)이 이시니 이옹졍황뎨원당(願堂)이라 긔이 귀경이 만타 나 근 을 드리지 아닌다 거 그 곡졀을 무니 이 구경 의 라 간 사들이 어즈러이 구 고로 괴로이 너겨 문금(門禁)을 엄히 다 더라
297
관으로 도라올셩현방을 지나 져기 더니 큰길 의 거리마다 사이 몰겨 섯지라마뒤고여 오 이 환슐 놈이 사을 모도와 졔 조 시험고 돈을 밧다 며 의복 파 져 지내니 다 샹의 닙망뇽(蟒龍)의며 온갓 션명(鮮明) 의복을 두 쥴의 걸어시니 보 찬란고 그 밧 근 의복도  길의 뫼 치 하시 여러 사이 가온대 드러가셔 서로 옴겨 흐며 두 손으로  가지식 들고 목소 극히 놉혀 노래 브로시 므 말을 무슈히 을픈 후  편으로 더지면 다른 사이  바다 흐니 대개 이 옷시 품슈(品數) 놉고 갑슨 즈니 브 사 닙으라 말을 곡됴(曲調)로 여 사으로 여금 우읍도록 니 이러므로 그 소 별양(別樣)즛굿게  곳은 사이  무슈히 모혀 셔고 사이 만흐면 더욱 즛내여 소 놉히니 혹 목이 면 여럽셔  거동이  우읍다 더라
298
육현방(育賢坊)의 나러숑·경인과·치형이 러져슌텬(順天學)의 드러가니문승샹소샹(塑像)을 보려 미러라 황셩 안희 두 고을이 이시니 동편은대흥형이오 셔편은완졍[평]현이니 다슌텬부의 쇽여시니슌텬부 아국한셩부트며 지부벼을 두어시니 아국경긔감튼 벼이라 셩  외 셩을 리고 션 치며 이곳은슌텬부이니 그 안희 셩현 위패 봉안고슌텬부의 쇽 고을의 고로 유명 사을  졔니 이 니른향현(鄕賢祠)오 션 과거 가음아 집이라 아국향교와 흔 집이러라
299
문승샹의댱(祠堂)은 북[부](府學)동편의 잇다 니문승샹은 곳송나라졍승 문텬샹(文天祥)이라 츙졀이 쳔고에 유명 사이니송나라이 위급  당여 븬손으로 샤직(社稷)을 붓들고져 다가 내 시운(時運)을 이긔지 못여 나라히 망고 몸이 사로잡흰 배 되니원나라군신이 그 츙졀을 어엿비 너겨 브 항복 밧고져 여 가지로 달 듯지 아니고뇽뇌(龍腦) 키고 칠일을 굴머 죽기 도모니원셰조흘필녈(忽必烈)이 그 을 앗지 못 쥴을 알고식[시]시(柴市)관[란]셔 죽이니 이 날은원나라지원(至元) 임오십월 초구일이라 바람이 크게 블며 모래니여 날이 어두오니 궁즁의 셔블을 혀고 니지라원세죄장 뉘웃쳐 금광녹대부 태보 즁셔령 쟝사 여릉군공(金紫光祿大夫太保中書令長沙廬陵郡公)을 츄증고 시호를츙무라 고식시 단을 무호고왕젹응(王迪應)을 명여 신쥬 고승상발니(拔里)로 여금 졔니 의 회호리 바람이 니러나 신쥬 거두쳐 구 속의 오고 우례소 은은굉굉(隱隱轟轟)여 노여  소 고 날이 더욱 어두온지라 이에 신쥬 고쳐송됴 소부 우승샹 신국공(宋朝少傅右丞相申國公)이라 니 하이 비로소 쳥명지라 명일의구양부인(歐陽夫人)이동궁(東宮)으로 조차영걸[거](靈車)을 어더 슈장(收藏)케니 강남 의(義士) 열 사이 관을 메여 나가 도셩(都城)쇼남문밧 오리  초장(初葬)고 그곳을 보람엿더니대덕(大德) 삼년의 공의 양문승(文丞)이북경의 니러슌셩문안희셔 농  사의 겨집을 만나니 이 공의 녯 죵 죡홰라승을 위여 그 초장 곳을 즈니 그곳의 탑들이 잇고  져근 비 이셔 신공 두  삭엿지라지원 이십년의녀릉(廬陵)의 귀장(歸葬)니라
300
이곳은 식[시]시라대명홍무 구년의북평부(北平府事)뉴승이 비로소 쳥여당을 짓고영낙(永樂) 뉵년의태샹뉴리졀이 명을 바다 츈츄(春秋)로 졔게 얏다 더라
301
치형이 도라온 후 드니문승샹당이계유 삼간이오 이 심히 좁고묘당안흐로 만고강샹(萬古綱常) 네  시며소샹(塑像)은 홀(笏)을 잡고 먼 보 형상이오 미목(眉目)이 소랑(昭朗)며긔샹이 단아(端雅)며 닙은 것 관(冠帶)오  것은 북[복]두(幞頭) 고 금관(金冠)도 비슥니송나라졔된가 시부며소샹아 두어 자  거믄 돌이 이시니문승샹화샹을 삭여시소샹과 극진이 흔지라문승샹이 죽기 님여  션 졀의 기록히 너겨 스로 니로 이튼 사의 화샹을 엇지 뎐치 아니리오 고 급히 칼흘 혀 겻 잇 돌 우 그 화상을 모방다 니 이 곳 그 션의 그린 거신가 십더라
302
소상은 남향이오 동편 벽의 여진 비 둥굴게 다듬아 워시니 녯운휘 장군(雲麾將軍)의 비오니웅(李邕)이의 글시라 박낙박락(剝落)여 글 분명이 아지 못고운휘장군은 어  사인지 아지 못다 더라
303
육현방을 지니 길  샹여 긔구 곳곳이 노하시니 이 아국샹두도가흔 집이라 상여  별노 큰 거 웅장니 길 네다엿 이오 몸픠 두셰 우움이라 쥬홍 칠을 찬란이 여 소견(所見)이 극히 홀난고  북틀 모양을 그라 크기  간의 듯 거시 이셔 쥬홍(朱紅) 칠고 도금 장식(裝飾)을 두로 박아시니 이명졍(銘旌)을 셰오 틀이러라
304
이 다경산(景山)으로 태샹황을 빈(殯) 젹 보던 것과 대되[쇠] 조금도 다지 아니타 다만 누른 빗치 아니러라북경일이 온 거시 다 간편 홀노 상여 긔구 이갓치 쟝대니 긔이더라
305
옥하슈(玉河水)편으로 도차  길 큰 문이 잇 그 안희 둥근 탑이 잇거 무니 이 옥하관이니 녜로브터됴션신이 드 곳이러니 즁년의악나의게 앗기여다 니악나 한어로어르쇠라어르쇠흑뇽강븍편몽고의 죵낙(種落)이니 크이 별양(別樣) 크고 극히 흉악 인물이다 이러모로대비달(大鼻達字)라 일로니 아국의 나오 셕경(石鏡)이 다어르쇠소산(所産)이라역관홍복이 오어르쇠셩졍(性情)이 녕악하여 황뎨도 심히 괴로히 너기고 됴공(朝貢)을 년년이 아니 군 극히 강포하므로 변방의 침노믈 념녀여즁국의 츌입기 허고 믈화(物貨) 매기 통니 문 밧글 나면 흥셩억(興成抑賣) 거시 만코 혹 사을 샹해오며 겨집을 겁박더니 십년 젼의 여러 놈이 길 나와 사을 텨 죽이고 물을 겁탈지라 황예[뎨] 듯고 크게 노여대쳥문(大淸門)의 친히 안자 군 모호고 위의 셩히 혀 두어 놈을 목을 버히니 이 후 쟉난이 져기 낫다 거 이졔 잇냐 무니 오이죵낙을 본 볼모로 잡아 두어시니희 잡아 둠과 흔지라 다만 이놈은 대국 모양으로 의복을 여 닙은 고로 혹 분변치 못 시방도 여러 놈이 잇다 더라
306
슈역김츈셰긔상셔(紀尙書) 니별고 도라와 그 슈작을 뎐더라
307
김역이 무 태샹황 부태묘 길일이 어  되리오긔답왈산릉(山陵)의 일을 못고 황샹(皇上)이 황궁오신 후 그 이튼날 곳 부태묘 니 이 녁됴(歷朝)의 뎡 법졔(法制)라 며인산(因山)일을 무니 구월 십오일노 일이 되여시니 오히려 완졍치 못다 며  오 묘호(廟號)와 시호(諡號) 올닐 긔약은 아직 졍치 못여시며 부태묘 곳 구월 념후(念後)의 될지라 귀국의칙나가기 어  될 쥴은 졍녕이 아지 못노라 니 어졔뎡역(鄭譯)의 드른 바와 가지러라
308
김역(金譯)이  무러 왈 쇼방(小邦)의 진공(進貢) 방믈을 임의 특은(特恩)을 닙어 머물게 엿지라 녜부로부터 맛당이 문(咨文)을 지위(知委)여 랴긔(紀)왈 맛당이 귀국의 문지라 이젼의 이러 일이 이시면 몬져 긔별이 나간 후 동국 문을 기혀 드드여 머물너 후 방믈의 이슌[쥰]더니 이번은 네 가지 방믈을 다 황지(皇旨)를 밧드러 특별이 머물너 이슌[쥰]게 니 이  격외(格外)예 진렴(軫念)시미라김역이  오 드니 이십칠일 젼은 황샹이 하례 밧지 아니신다 나 쇼방의 령일 대국 셤기 졍셩으로 써 금년 진공 방믈을  젼례로 나아오리로다 긔 왈좌뎐(左傳)의 닐너시 손이 녜 두 쥬인이 흰다 야시니 이 쥬인이 졍치 못 일이로다 이밧긔  여러 말이 이시 다 한만 슈쟉이라김역이 가기 고여 오 감히 오 슈응(酬應)므로 슈고 치지 못니 하직을 쳥노라긔왈 원방(遠邦) 손으로 더브러 슈쟉미  엇기 지 아닌 일이라 져기 오 말나 곤피(困疲)물 지 못노라 고 만류여 왈  일 니됴션은 다른 외국과 다른 지라쥬무왕이긔 봉여시니 만일 본즁국히 아니면 엇지긔로 여금 님군을 삼아 두어시리오 내 양 귀국 신으로 챵화(唱和)며 슈쟉 시러금 외국이라 여 간격을 두지 아니노라김역이 오 대국의 쇼방 보기 복(內服)과 치 도다긔왈 귀국이 본됴의 신복믈 장 몬져 지라 일노 귀국을 읏듬을 삼니 이러므로 됴뎡이 졉 녜뫼 특별 분 아니라 본국이  공근믈 황샹이 니기 알시 일이니라김역이 오 이번의 젼례 밧긔  가지 샹을 더 쥬시미  특은이라 감츅믈 어이 측냥리오긔왈 샹쥬 물건은 녜로브터 다른 외국의 비겨 별노 두터울 분 아니라 다른 외국은  날 반샹고 오직 귀국은 홀노  날을 뎡여 반샹미  다른 외국으로 여금 보지 못게 미니라김역이 오 더욱 감황(感惶)미 졀하뇨라김역이  묘호 무니긔왈 임의고종이라 여시니 본 맛당이고조(高祖)라 일 거시로고종이라 믄 황샹의 을 준미라 더라 고 피담던 조희 갓다가 뵈니긔균이 나히 팔십이로 필획(筆劃)이 졍여 노필(老筆)인 쥴 닷지 못며 슈쟉이 못 셰지라 이치 대강을 긔록노라
【원문】권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기행문〕
▪ 분류 : 고전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180
- 전체 순위 : 433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13 위 / 81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센티멘탈
• (1) 문예시평
• (1) 날개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서유문(徐有聞) [저자]
 
  1798년 [발표]
 
  기행문(紀行文) [분류]
 
  일기(日記) [분류]
 
◈ 참조
  # 연행록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서유문의 연행기 (1789년)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수필 카탈로그   목차 (총 : 6권)     이전 5권 다음 한글(고어) 
◈ 무오연행록 (戊午燕行錄)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3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