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獨樂堂 (독락당) ◈
카탈로그   본문  
작자가 이언적(李彦迪)의 유적인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의 독락당을 찾아가 그를 사모하는 심회와 주변 경치를 읊은 것이다.
1
獨樂堂
 
2
在慶州玉山。卽晦齋李先生所居堂也。公往尋遺躅。因作此歌。
 
 
3
紫玉山 名勝地예 獨樂堂이 蕭灑홈을 들런 디 오래로
4
이 몸이 武夫로서 海邊事ᅵ 孔棘거
5
一片丹心에 奮義를 못내 야
6
金鎗 鐵馬로 餘暇 업시 奔走터가
7
中心 景仰이 白首에 더옥 깁허
8
竹杖 芒鞋로 오날사 자오니
9
峰巒은 秀麗야 武夷山이 되여 잇고
10
流水 盤回야 後伊川이 되엿다
11
이러 名區에 임 어이 업도고
 
12
一千年 新羅와 五百載 高麗에
13
賢人 君子들이 만히도 지마
14
天慳地秘야 我先生셔 기치도다  ('셔'는 원문에서 'ᄉ긔' 으로 보임)
15
物各有主ᅵ어든 토 리 이실소냐
16
靑蘿를 헤혀 드러 獨樂堂을 여러 니
17
幽閑 景致 견홀  뇌야 업
 
18
千竿 脩竹은 碧溪 조차 둘너 잇고
19
萬卷 書冊은 四壁의 사혀시니
20
顔曾이 在左고 游夏 在右   (''은 원문에서 중간의 'ᅡ'가 안 보임)
21
尙友千古며 吟詠을 일을 삼아
22
閒中靜裏예 潛思自得야 혼자 즐겨 시덧다
23
獨樂 이 일홈 稱情 줄 긔 뉘 알리
24
司馬溫公 獨樂園이 아무려 조타 
25
其間 眞樂이야 이 獨樂애 더로손가
 
26
尋眞을 못 야 養眞庵의 도라 드러
27
臨風靜看니  도 瑩然다  ('臨風'중의 '臨'는 원문의 글자와 다름)
28
退溪 臨風先生 手筆이 眞得인 줄 알리로다
29
觀魚臺 려오니 온 덧 盤石의 杖屨痕이 보이 닷
30
手栽長松은 녯 빗츨 여시니
31
依然 物色이 긔 더옥 반가올샤
32
神淸氣爽야 芝蘭室에 든 덧다
 
33
多少 古跡을 보며 문득 각니
34
層巖 絶壁은 雲母屛이 졀로 되야
35
龍眠 妙手로 그린 덧시 버러 잇고
36
百尺 澄潭애 天光雲影이 얼희여 겨시니
37
光風霽月이 부   
38
鳶飛魚躍을 말 업슨 벗을 삼아
39
沈潛翫索야 聖賢 事業시덧다
40
淸溪를 빗기 건너 釣磯도 宛然샤 문노라
41
白𩿨들아 녜 닐을 아산다
42
嚴子陵이 어 예 漢室로 가단 말고
43
苔深磯上애 暮烟만 겨셔라
 
44
春服을 로 입고 詠歸臺에 올라오니
45
麗景은 古今 업서 淸興이 졀로 하니
46
風乎詠而歸를 오 다시 본 다
47
臺下 蓮塘의 細雨 잠 지가니
48
碧玉  너분 닙헤 흐니 明珠로다
49
이러 淸景을 보암즉도 다마
50
濂溪 가신 後에 몃몃 를 디 게오
51
依舊 淸香이 다 혼자 남아고야
52
紫烟이 빗긴 아래 瀑布를 멀리 보니
53
斷崖 노푼 긋 긴 히 걸려   ('斷'는 원문에서 '丹'으로 되어 있음)
 
54
香爐峰 긔 어오 廬山이 예롯던가
55
澄心臺 구어보니 鄙吝텃 胸襟이 새로온 다마
56
寂寞 空臺예 외로이 안자시니
57
風淸鏡面의 山影만 잠겨 잇고
58
綠樹 陰中에 왼갓  슬피 운다
59
徘徊思億며 眞跡을 다 차니
60
濯纓臺 淵泉은 古今 업시 말다마
61
末路 紅塵에 사마다 紛竸커든
62
이리 조흔 清潭애 濯纓 줄 긔 뉘 알리
 
63
獅子巖 노피 올라 道德山을 바라보니
64
玉蘊含輝 어제론 덧 다마
65
鳳去山空니 杜鵑만 나죄 운다
66
桃花洞 린 물리 不舍晝夜하야 落花조차 흘러 오니
67
天台가 武陵인가 이 히 어딘 게오
68
仙蹤이 아득니 아모  줄 모로다
69
仁者도 아닌 몸이 므슴 理를 알리마
70
樂山忘歸야 奇巖을 다시 비겨
71
川原 遠近에 景致를 살펴보니
72
萬紫千紅은 비단 빗치 되여 잇고
73
衆卉 群芳은 谷風에 려 오고
74
山寺 鍾聲은 구 밧긔 들리다
75
이러 形勝을 范希文의 文筆인들 다 서 기 쉬울넌가
76
滿眼風景이 客興을 도오 
77
任意逍遙며 짐즉 더듸 도라오니
78
擧目西岑의 夕陽이 거의로다  ('擧'는 원문에서 밑에 '손 手'가 아니라 ‘举’의 밑 부분임)
 
79
獨樂堂 고쳐 올나 左右을 살펴보니
80
先生 風彩을 親히 만나 뵈 
81
羹墻의 儼然야 俯仰歎息며
82
當時 시던 닐 다시곰 思想니
83
明牕靜几예 世慮을 이즈시고  (원문에서 '牕'의 오른쪽 부분은 '怱'임)
84
聖賢書의 着意야 功效를 일워 여
85
繼往開來야 吾道를 발키시니
86
吾東方 樂只君子 다 인가 너기로라
87
믈며 孝悌를 本을 삼고 忠誠을 벱허 여
88
聖朝의 나아 들러 稷契의 몸이 되야
89
唐虞 盛時를 일윌가 바라더가
90
時運이 不幸야 忠賢을 遠斥니
91
듯니 보니 深山窮谷앤들 뉘 아니 悲感리
92
七年長沙 不見天日고
93
閉門深省샤 道德만 닷그시니
94
邪不勝正이라 公論이 졀로 이러
95
尊崇道德을 사람마다  줄 아라
96
江界 謫所로 遺化를 못 이져
97
窮巷絶域의 柌宇좃차 서워시니
98
士林 趨仰이야 더옥 닐러 무엇리
99
紫玉泉石 우희 書院을 디어 두고
100
濟濟 清襟이 絃誦聲을 이어시니
101
濂洛羣賢이 이 희 뫼홧 닷  ('홧'는 원문에서 '왓'로 보임)
 
102
求仁堂 도라 올라 軆仁廟도 嚴肅샤
103
千秋 血食이 偶然 아닌 일이로다
104
追崇尊敬을 소록 못 야
105
文廟從享이 긔 더옥 盛事로다
106
吾東方 文憲이 漢唐宋애 비긔로쇠
107
紫陽 雲谷도 어즈버 여긔로다
108
洗心臺 린 물에 德澤이 이어 흘러
109
龍湫 감흔 곳애 神物조차 겨시니
110
天工造化ᅵ 긔 더욱 竒異코야
 
111
無邊 眞景을 다 기 어려올
112
樂而忘返야 旬月을 淹留며
113
固陋 이 몸애 誠敬을 넙이 야
114
先生 文集을 仔細히 살펴보니
115
千言 萬言 다 聖賢의 말삼이라
116
道脉 工程이 日月갓치 가시니
117
어드운 밤길 明燭 잡고 옌 덧다
 
118
진실로 이 遺訓을 腔子裏예 가 담아
119
誠意正心야 修誠을 넙게 면
120
言忠行篤야 사마다 어질로다
121
先生 遺化 至極홈이 엇더뇨
122
嗟哉 後生들아 趨仰을 더옥 놉혀
123
萬世 千秋에 山斗갓치 바사라
124
天高地厚도 有時盡 려니와
125
獨樂堂 淸風은 가업실가 노라
【원문】獨樂堂 (독락당)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42
- 전체 순위 : 1267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83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독락당(獨樂堂) [제목]
 
  박인로(朴仁老) [저자]
 
  1619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박인로의 가사.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獨樂堂 (독락당)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