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능행과 능행의 택일
|
|
1
|
|
|
해마다 정월이면 태묘(太廟) 사직(社稷) 다니신 후
|
|
2
|
|
|
능행령(陵幸令) 내리시니 남도거동(南道擧動) 되신다네
|
|
3
|
|
|
남도는 화성부(華城府)라 두 능을 모셨으니
|
|
4
|
|
|
건능(健陵)과 현륭원(顯隆園)에 춘전알(春展謁) 영이 났다
|
|
5
|
|
|
병판(兵判)은 군령(軍令) 대령 각 영문(營門) 장신(將臣)네는
|
|
6
|
|
|
군장점고(軍裝點考) 신칙(申飭)하고 백각사(百各司) 관원들은
|
|
7
|
|
|
군복융복(軍服戎服) 치장(治粧)하고 백각사 하인들은
|
|
8
|
|
|
능행복색(陵幸服色) 재촉하니 택일(擇日)은 삼월이라
|
|
9
|
|
|
능행도 하시면서 춘성경(春省耕) 하시련다
|
|
|
|
2. 능행에 참여한 사람들과 행사의 모습
|
|
1
|
|
|
호조(戶曹)의 별례방(別例房)은 계사(計士)를 영통(領統)하여
|
|
2
|
|
|
각색장색(各色匠色) 거느리고 능소(陵所)로 바삐 가고
|
|
3
|
|
|
주교대장(舟橋大將) 전령(傳令)하여 주교(舟橋)를 신칙(申飭)한다
|
|
4
|
|
|
전세(田稅) 대동(大同) 실은 배와 두 대박이 외대박이
|
|
5
|
|
|
당도리며 먼정이며 중거루 낚거루를
|
|
6
|
|
|
십리장강(十里長江) 넓은 물에 머리 맞게 늘어 세고
|
|
7
|
|
|
선장(船匠)이며 지휘목수(指揮木手) 주야(晝夜)로 일을 할 제
|
|
8
|
|
|
주교별장(舟橋別將) 군복(軍服)하고 이리 가며 저리 가며
|
|
9
|
|
|
등패(等牌)를 영통(領統)하여 결곤(決棍) 신칙 일을 몬다
|
|
10
|
|
|
배 위에 장송(長松) 깔고 장송 위에 박송(薄松) 깔고
|
|
11
|
|
|
그 위에 모래 펴고 모래 위에 세사(細砂)펴고
|
|
12
|
|
|
그 위에 황토(黃土) 깔고 좌우에 난간 짜고
|
|
13
|
|
|
팔뚝 같은 쇠사슬로 뱃머리를 걸어 매고
|
|
14
|
|
|
양 끝에 홍전문(紅箭門)과 한가운데 홍전문에
|
|
15
|
|
|
홍기(紅旗)를 높이 꽂고 좌우의 뱃사공은
|
|
16
|
|
|
청의청건(靑衣靑巾) 남전대에(藍纏臺)에 오색기(五色旗) 손에 들고
|
|
17
|
|
|
십리주교(十里舟橋) 벌였으니 천승군왕(千乘君王) 위의(威儀)로다
|
|
18
|
|
|
주교대장(舟橋大將) 주교별장신칙 호령 엄위(嚴威)하다
|
|
19
|
|
|
유도대장(留都大將) 영군(領軍)하고 종로(鐘路)마루 한가운데
|
|
20
|
|
|
차일(遮日)을 높이 치고 차일 밑에 유둔(油芚)치고
|
|
21
|
|
|
유둔 아래 군막(軍幕)치고 군중(軍中)에 호령한다
|
|
22
|
|
|
신시(申時)에 취군(聚軍)하여 돈화문(敦化門) 밖 다 모인다
|
|
23
|
|
|
경야(經夜)를 하려 하고 어한제구(禦寒諸具) 가졌구나
|
|
24
|
|
|
길마재〔鞍峴〕한 봉화(烽火)에 남산 봉화 응하여서
|
|
25
|
|
|
일제히 네 자루가 변방무사(邊方無事) 보(報) 하였다
|
|
26
|
|
|
초겻〔初更〕삼경(三更) 인정(人定)소리 이십팔수(二十八宿) 응하였고
|
|
27
|
|
|
전루(傳漏)를 몰아 쳐서 오경(五更)이 벌써 되니
|
|
28
|
|
|
서른 세번 파루(罷漏)소리 그치면서 초엄(初嚴)치고
|
|
29
|
|
|
재엄(再嚴)치고 삼엄(三嚴)치니 묘정삼각(卯正三刻) 되었구나
|
|
30
|
|
|
통례원(通禮院) 좌통례(左通禮)가 승여(乘輿)를 청하였다
|
|
31
|
|
|
부도가(部導駕) 앞 도가(導駕)며 한성부(漢城府) 꼭뒤 도가(導駕)
|
|
32
|
|
|
사헌부(司憲府) 도가 끝에 선진(先陣)이 동군(動軍)한다
|
|
33
|
|
|
기대장(騎大將) 앞을 서니 마군(馬軍)의 머리로다
|
|
34
|
|
|
오마대(五馬隊) 마군들은 항오(行伍)가 엄숙하다
|
|
35
|
|
|
별대(別隊) 마병(馬兵) 선기대(善騎隊)며 천총(千摠) 파총(把摠) 기총(騎摠)이며
|
|
36
|
|
|
각초초관(各哨哨官)모양들은 제 방위색(方位色) 물을 들여
|
|
37
|
|
|
더그레며 수기(手旗)쥐고 원앙진(鴛鴦陣) 보군작대(步軍作隊)
|
|
38
|
|
|
전초(前哨) 후초 좌초(左哨) 우초 전사(前司) 후사 좌사(左司) 우사
|
|
39
|
|
|
삼행(三行)으로 행군하니 초기(哨旗)가 앞을 섰네
|
|
40
|
|
|
범 같고 곰 같으니 군상(軍像)이 웅위(雄威)하다
|
|
41
|
|
|
도감(都監)이 선상(先廂)이라 대장(大將)의 기구(器具)보소
|
|
42
|
|
|
전건(戰巾) 쓴 겹 전배(前陪)의 영기(令旗) 순시(巡視) 곤장(棍杖) 주장(朱杖)
|
|
43
|
|
|
청도기(淸道旗) 앞을 서고 대기치(大旗幟) 벌여 섰다
|
|
44
|
|
|
관이영전(貫耳令箭) 신기전(神機箭)에 월도(月刀)든 회자수(劊子手)며
|
|
45
|
|
|
금안준마(金鞍駿馬) 좋은 말에 상모(象毛)달고 주락(珠絡)달고
|
|
46
|
|
|
흰 무명 된밀치며 흰 무명 마혁(馬革) 달고
|
|
47
|
|
|
안 올린 벙거지에 상모(象毛)의 공작우(孔雀羽)며
|
|
48
|
|
|
비단군복(緋緞軍服) 우단요대(羽緞腰帶) 환도(還刀) 차고 등채 집고
|
|
49
|
|
|
밀부(密符) 병부(兵符) 거서 차고 동개에 미전(尾箭) 꽂고
|
|
50
|
|
|
다홍대단(茶紅大緞) 큰 수기(手旗)에 삼군사명(三軍司命) 네 큰 자(字)를
|
|
51
|
|
|
뚜렷이 새겨 내어 보기 좋게 써서 꽂고
|
|
52
|
|
|
그 뒤에 문무 낭청(文武郎廳) 그 뒤에 중군(中軍)서고
|
|
53
|
|
|
교련관(敎鍊官) 집사(執事)들이 위를 막아 호위한다
|
|
54
|
|
|
그 담은 용호영(龍虎營)이 표기(標旗)밑에 병조판서(兵曹判書)
|
|
55
|
|
|
누런 수기(手旗) 붉은 글자 본병(本兵) 이자(二字) 써서 들고
|
|
56
|
|
|
단정히 가는 모양 대사마(大司馬) 원수(元帥)로다
|
|
57
|
|
|
금려사령(禁旅使令) 금군별장(禁軍別將) 육번금군(六番禁軍) 작대(作隊)하고
|
|
58
|
|
|
어전기치(御前旗幟) 늘어섰다 청도 일쌍(淸道一雙) 앞선 후에
|
|
59
|
|
|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며 남주작(南朱雀) 북현무(北玄武)며
|
|
60
|
|
|
동남각(東南角) 남동각과 동북각(東北角) 북동각과
|
|
61
|
|
|
서남각(西南角) 남서각과 서북각(西北角) 북서각과
|
|
62
|
|
|
홍신문(紅神門) 흑신문(黑神門) 청신문(靑神門) 백신문(白神門)과
|
|
63
|
|
|
황신문(黃神門) 황신기(黃神旗)며 홍고초(紅高招) 청고초(靑高招)며
|
|
64
|
|
|
백고초 흑고초며 황고초 등사기(騰蛇旗)며
|
|
65
|
|
|
남신장(南神將) 북신장과 동신장 서신장과
|
|
66
|
|
|
칠성기(七星旗) 표미기(豹尾旗)며 초요기(招搖旗) 금고기(金鼓旗)라
|
|
67
|
|
|
물색(物色)도 좋거니와 오군미목(五軍眉目) 분며아다
|
|
68
|
|
|
삼행분입(三行分立) 완행(緩行)으로 내호(來呼)소리 연(蓮)하였네
|
|
69
|
|
|
가전(駕前)의 좋은 복색(服色) 교룡기(交龍旗) 옹위(擁衛)하고
|
|
70
|
|
|
둑(纛) 담에 양산(洋傘)서고 좌우에 수정절월(水晶節鉞)
|
|
71
|
|
|
은증자(銀증子) 금증자(金증子)며 은몽둥이 금몽둥이
|
|
72
|
|
|
각색 의장(儀仗) 벌여 서니 선부(仙府)의 복색(服色)일세
|
|
73
|
|
|
관약지음(管?之音) 난만(爛漫)하고 우모지미(羽毛之尾) 현란(眩亂)하다
|
|
74
|
|
|
호륵(豪勒)한 어전전배(御前前陪) 자개창(槍) 시위(施威)하고
|
|
75
|
|
|
모단전건(毛緞戰巾) 흥덩그레 화약통(火藥?) 남갈개며
|
|
76
|
|
|
오라 사슬 칼에 걸고 행보(行步) 좋게 가는구나
|
|
77
|
|
|
다홍대단(茶紅大緞) 홍령기(紅令旗)는 곤장(棍杖) 주장(朱杖) 섞어 서고
|
|
78
|
|
|
금훤화(禁喧?) 대답소리 보보(步步)이 영전(令傳)한다
|
|
79
|
|
|
어전등롱(御前燈籠) 홍사(紅紗)초롱 신전(信箭)이며 월도(月刀)로다
|
|
80
|
|
|
선전관(宣傳官) 별군직(別軍職)과 별운검(別雲劍) 총관(摠管)들과
|
|
81
|
|
|
별감(別監) 무감(武監) 내시(內侍)와 무예청(武藝廳) 통장(統將)들과
|
|
82
|
|
|
협연초관(俠輦哨官) 창검초관(槍劍哨官) 금훤낭청(禁喧廊廳) 내금장(內禁將)과
|
|
83
|
|
|
내구마(內?馬) 외구마(外?馬)는 법안(法鞍)지어 앞에 서고
|
|
84
|
|
|
경기감영(京畿監營) 세패(細牌)들은 홍철릭[紅天翼] 공작우(孔雀羽)의
|
|
85
|
|
|
가는 소리 권마성(勸馬聲)이 맑고도 고을시고
|
|
86
|
|
|
숭례문(崇禮門)밖 나오시니 계라차지(啓螺差知) 선전관(宣傳官)이
|
|
87
|
|
|
자주 걸어 기어 와서 취타(吹打)를 청한 후에
|
|
88
|
|
|
겸내취(兼內吹) 패두(牌頭) 불러 취타령(吹打令) 내려 오니
|
|
89
|
|
|
겸내취 거동 보소 초립(草笠)에 작우(雀羽) 꽂고
|
|
90
|
|
|
누른 철릭[天翼] 남전대(藍纏帶)에 명금삼성(鳴金三聲) 한 연후에
|
|
91
|
|
|
고동(鼓動)이 세번 울며 군악(軍樂)이 일어나니
|
|
92
|
|
|
엄위(嚴威)한 나팔(喇叭)이며 애원(哀怨)한 호적(胡笛)이라
|
|
93
|
|
|
정기(旌旗)는 표표(飄飄)하고금고(琴鼓)는 당당하다
|
|
94
|
|
|
한가운데 취고수(吹鼓手)는 흰 한삼(汗衫) 두 북채를
|
|
95
|
|
|
일시에 수십명이 행고(行鼓)를 같이 치니
|
|
96
|
|
|
듣기에도 좋거니와 보기에도 엄위(嚴威)하다
|
|
97
|
|
|
앞에는 공가교(空駕轎)요 뒤에는 타신 가교(駕轎)
|
|
98
|
|
|
무예청(武藝廳) 호위하고 그 밖에 별감(別監) 무감(武監)
|
|
99
|
|
|
모두 다 홍철릭에 공작우(孔雀羽) 꽂았으며
|
|
100
|
|
|
가교(駕轎)에 나옵시니 홍양산(紅陽?)은 앞에 섰다
|
|
101
|
|
|
그 밖에 협연군(俠輦軍)이 자개창(槍) 뒤를 막고
|
|
102
|
|
|
그 밖에 나장(羅將)이는 주장(朱杖)들고 시위(施威)하고
|
|
103
|
|
|
대령포교(待令捕校) 사오명은 백의(白衣)로 수가(隨駕)하고
|
|
104
|
|
|
약방(藥房)내각(內閣)정원(政院)옥당(玉堂) 군복(軍服)하고 수가(隨駕)하고
|
|
105
|
|
|
위외(衛外)의 산반(散班)들은 철릭으로 배종(陪從)하고
|
|
106
|
|
|
후상(後廂)은 금위대장(禁衛大將) 삼천 병마(兵馬) 총독(總督)하고
|
|
107
|
|
|
원앙진(鴛鴦陣) 행군하여 삼십팔면(三十八面) 대기치(大旗幟)에
|
|
108
|
|
|
난후취(?後吹) 취타(吹打)하고 후진(後陣) 되어 가는구나
|
|
109
|
|
|
돌모로[石隅洞]지나셨다 노량(露梁)을 당하였네
|
|
110
|
|
|
주교대장(舟橋大將) 결진(結陣)하고 강물을 굳게 막아
|
|
111
|
|
|
나는 새를 건넬소냐 행보(行步) 좋은 선전관(宣傳官)이
|
|
112
|
|
|
표신(標信)을 손에 쥐고 홍령기(紅令旗) 앞세우고
|
|
113
|
|
|
주교영(舟橋營) 들어가서 표신을 전한 후에
|
|
114
|
|
|
방포삼성(放砲三聲) 진문(陣門) 열고 대가(大駕)가 드오신다
|
|
115
|
|
|
명금(鳴金) 취타(吹打) 대진(大振)하니 어룡(魚龍)이 다 놀란다
|
|
116
|
|
|
언기고(偃旗鼓) 신기전(神機箭)에 삼군(三軍)이 호령하니
|
|
117
|
|
|
풍운(風雲)이 변화하고 용사(龍蛇)가 비등(飛騰)한다
|
|
118
|
|
|
규규(赳赳)한 무부(武夫)들은 공후(公侯) 간성(干城) 되었어라
|
|
119
|
|
|
군제(軍制)가 정숙(整肅)하고 항오(行伍)가 정제(整齊)하다
|
|
120
|
|
|
하루 지나 이틀 지나 삼일 만에 환궁(還宮)하사
|
|
121
|
|
|
별단시상(別單施賞) 하신 후에 과거령(科擧令) 내리시니
|
|
122
|
|
|
알성(謁聖)에 용호방(龍虎榜)이 한데로 뵈신다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