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 알 림 알림∙의견
▣ 공개 자료
▣ 주요 키워드
설화 (347) 백과 포천시 (210) 백과 파주시 (99) 백과 안동시 (34) 백과 호랑이 (33) 백과 (20) 백과 도깨비 (19) 백과 풍수지리 (13) 효자 (13) 귀신 (10) 백과 바위 (10) 구렁이 (9) 백과 고개 (7) 궁예 (7) 백과 이이 (7) 백과 시집살이 (6) 여우 (6) 백과 공민왕 (5) 백과 바보 (5) 불영사 (5) 백과
◈ 다큐먼트 목록
좋은 정보 수집 (지식창고) (139) 파주시 전설과 설화 (지식창고) (170)
◈ 공개 페이지
◈ 조회순
2024.01.18
【인문】 Tip. 독문학과 교수진이 가장 질문과 문제를 내는데 선호하는 시기는 질풍노도의 시기, 낭만주의 시기를 뽑을 수 있다. 특히 질풍노도의 시기는 괴테의 젊은 시절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 대변되는 격변기이며, 괴테의 이탈리아 여행을 기점으로 독일문학의 황금기로 일컬어지는 신고전주의 시대로 넘어간다. 낭만주의는 괴테, 쉴러 등의 대문호들을 낳은 시기이자, 괴테의 경우에는 이탈리아 여행으로부터의 과거 르네상스의 인문주의가 문학에 연동되면서 풍성한 대작의 시기로 넘어감을 보여준다. (Ex: 파우스트)
2025.04.15
【문화】 불교에서는 동지팥죽에 얽힌 설화가 있다. 갑오년(1892) 동지 날에 있었던 일이다. 경북울진 불영사 공양주 스님이 새벽에 일어나 팥죽을 쑤려고 부엌으로 갔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살펴보니 불씨는 꺼지고 재만 남아 있었다. 팥죽을 쑤어 부처님께 공양을 올려야 하는데 절 안에 남은 불씨는 없고, 언제 불을 지펴 죽을 쑬 지 공양주 스님은 앞이 캄캄하기만 했다.
2025.04.15
【문화】 조선 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 민씨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따님으로 30의 젊은 나이로 돌아가신 인경왕후의 다음 왕비로서 대비전이 친히 중전으로 간택한 왕후이며, 가례를 지낸지 6년이 지나도 태기가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여 스스로 왕께 후궁을 간택할 것을 아뢰었으나, 왕께서는 왕후의 나이가 어림을 이유로 후궁을 맞기를 주저하니, 몇 차례의 간곡한 아룀에 마지못하여 후궁 간택의 전교를 내리고 희빈 장씨를 맞이하였다.
2025.03.24
【문학】 육가(六家)'는 여섯 사람이고, '잡영(雜詠)'은 혹은 절구(絶句)고, 혹은 고시(古詩)며, 혹은 율의 장단으로 그 형식이 하나가 아님을 이른다. 남응침 군(君)은 곧 나의 어릴 적 옛날 교우이다. 중년에는 오랫동안 소원하였다가 내가 줄곧 내의원 제조로 일할 때에 미쳐서는 서로 자주 만났는데, 일찍이 그처럼 뜻이 잘 통하는 사람은 없었다.
2025.04.15
【문화】 불영사(佛影寺)는 울진군 서면 불영사길 48 천축산(天竺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이다. 불영사가 자리한 불영사 계곡은 명승 제6호로 지정된 15㎞에 이르는 길고도 장엄한 계곡이다. 예전에는 워낙 교통이 불편하여 찾는 이가 많지 않았으나 1985년 불영사 계곡을 끼고 달리는 36번 국도가 포장되면서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2024.10.01
【문화】 중국 주나라 건국공신 강태공(姜太公)의 후예 후(候)가 제나라 노현(盧縣)에 살아 노씨가 된 후 곤주자사 노진순(袞州刺史 盧震順)의 아들 노수(盧穗)가 범양(范陽 )에 살다가 신라 효성왕 14년(755) 안록산의 난을 피하여 아들 9형제를 데리고 우리나라에 정착 귀화하였다.
2025.04.15
【문화】 - 백극재란 인물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어 임지로 내려가던 중 급서했는데, 그의 아내가 불영사에서 관을 놓고 지극히 기도하자 다시 살아났다는 이야기 옛날 광산 백극재 선생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임지로 내려가는 도중 갑자기 전염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2024.10.01
【문화】 파주염씨(廉氏)는 우리 파주시와 연관이 깊은 성씨중의 하나이다. 해동역사 등 기록을 보면, 염씨성을 최초로 가진 사람은 낙랑군때의 '염사치'인데, 나라에 공을 세움으로써 광무제가 염씨 성과, 밭과 집 및 관모를 하사했고, 염사읍군에 봉했으며, 거주지는 낙랑군 함자현(지금의 파주 파평) 이라고 되어있어 이 때부터 파주에 염씨가 거주한 것으로 보인다.
 
◈ 최근등록순
2025.04.15
【문화】 - 백극재란 인물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어 임지로 내려가던 중 급서했는데, 그의 아내가 불영사에서 관을 놓고 지극히 기도하자 다시 살아났다는 이야기 옛날 광산 백극재 선생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임지로 내려가는 도중 갑자기 전염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2025.04.15
【문화】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화엄법회를 열고 교화에 힘쓸 때였다. 어느 날 노인 한 사람이 8명의 동자를 데리고 의상대사를 찾아왔다. 『대사시여! 우리는 동해안을 수호하는 호법 신장이옵니다. 이제 인연이 다하여 이곳을 떠나면서 스님께 부탁드릴 말씀이 있어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2025.04.15
【문화】 조선 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 민씨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따님으로 30의 젊은 나이로 돌아가신 인경왕후의 다음 왕비로서 대비전이 친히 중전으로 간택한 왕후이며, 가례를 지낸지 6년이 지나도 태기가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여 스스로 왕께 후궁을 간택할 것을 아뢰었으나, 왕께서는 왕후의 나이가 어림을 이유로 후궁을 맞기를 주저하니, 몇 차례의 간곡한 아룀에 마지못하여 후궁 간택의 전교를 내리고 희빈 장씨를 맞이하였다.
2025.04.15
【문화】 불영사(佛影寺)는 울진군 서면 불영사길 48 천축산(天竺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이다. 불영사가 자리한 불영사 계곡은 명승 제6호로 지정된 15㎞에 이르는 길고도 장엄한 계곡이다. 예전에는 워낙 교통이 불편하여 찾는 이가 많지 않았으나 1985년 불영사 계곡을 끼고 달리는 36번 국도가 포장되면서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2025.04.15
【문화】 불교에서는 동지팥죽에 얽힌 설화가 있다. 갑오년(1892) 동지 날에 있었던 일이다. 경북울진 불영사 공양주 스님이 새벽에 일어나 팥죽을 쑤려고 부엌으로 갔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살펴보니 불씨는 꺼지고 재만 남아 있었다. 팥죽을 쑤어 부처님께 공양을 올려야 하는데 절 안에 남은 불씨는 없고, 언제 불을 지펴 죽을 쑬 지 공양주 스님은 앞이 캄캄하기만 했다.
2025.03.24
【문학】 육가(六家)'는 여섯 사람이고, '잡영(雜詠)'은 혹은 절구(絶句)고, 혹은 고시(古詩)며, 혹은 율의 장단으로 그 형식이 하나가 아님을 이른다. 남응침 군(君)은 곧 나의 어릴 적 옛날 교우이다. 중년에는 오랫동안 소원하였다가 내가 줄곧 내의원 제조로 일할 때에 미쳐서는 서로 자주 만났는데, 일찍이 그처럼 뜻이 잘 통하는 사람은 없었다.
2024.11.11
【문화】 청춘! 발음하는 순간 푸른 물이 톡 터지는 듯한 단어. 풋풋한 싱그러움이 느껴진다. 신록을 연상시키는 젊은 육체, 꿈을 이루기 위한 땀방울, 두려움 없이 도전하는 정신, 안이함을 거부하는 모험심, 패기와 열정, 사랑과 낭만을 꿈꾸며 불의를 용납하지 못하는 가슴……. 예로부터 많은 작가들이 현란한 수식어를 동원하여 청춘의 아름다움을 예찬해 왔다.
2024.10.24
【문화】 경기도 포천군 이동에 가면, 강원도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습니다. 예로부터 이 고개를 ‘흰구름이 머물다 가는 고개’라고 부르기도 하고 ‘맑은 물 계곡’이라고도 불렀다고 합니다. 지금으로부터 근 100년 전, 이 고개에는 맑은 물이 청아한 소리를 내면서 흐르고, 하늘에 닿을 듯 깎아지른 고개는 험하고 구불구불하여 웬만한 사람은 찾는 이 조차 없었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경기도 포천 송우리에는 태봉이라는 작고 아담한 산봉우리 하나가 마을을 싸 안을 듯이 다정하게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이 태봉은 고려 왕녀의 태를 묻은 곳으로, 포천 고을 여러 곳에 있는 태봉 중에서도 그 이름이 나있으며, 아름답고 정겨운 이야기를 전하고 있어 더욱더 유명합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호랑이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뿌리고 다니던 시절에, 시골 사람들은 늘 가난 속에서 살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에 대해 효도하는 마음은 따스한 정으로 우리 선조들의 마음 속에 전해지고 이어져 내려오기도 하였습니다. 경기도 포천 기피울에는 매우 사납고 몸집이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아서, 마을 사람들에게 무서움과 두려움의 영물로서 경계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경기도 북부 지방에 자리한 포천에 가면 기피울이라는 마을이 있습니다. 이 곳은 산세가 매우 험하고 골이 깊어서 ‘기피울’이라고 불렀습니다. 왕방산의 주봉인 국수봉은 그 높이가 해발 754미터나 되는 아주 높은 산이었는데, 매우 험하여 사람들이 오르지 못하였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화현읍 지현리에 ‘육송정’이라고 있다. 여섯 육 자, 소나무 송 자, 육송정. 이 집에는 오래된 정자가 하나 있는데 판서가 하나 나면 소나무 한 그루를 심고, 판서가 또 하나 나면 또 하나 심고, 이내 여섯 그루가 되어 ‘육송정’이다. 육판서가 이 댁에서 났다는 얘기가 된다. 예산 송씨네 ‘육송정’에서 선비들이 모여서 글을 지었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관광】 옛날 운악산 밑에 ‘아들바위’와 ‘딸바위’가 있었다. 하나는 집채만한 큰 바위이고, 다른 하나는 조그만 바위였다. 동네 아낙네들이 나무를 하고 오다가, 돌 하나를 던져서 ‘아들바위에 앉으면 아들을 낳고, 딸바위에 앉으면 딸을 낳는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금주산’이 여기서는 제일 크다. 왜정 때 일본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광산을 개발하였다. 그래서 ‘금주리’가 되었다. ‘금주산’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있다. 옛날부터 ‘금주산’에는 ‘금이 아홉 덩이가 묻혀 있다’는 말이 전해진다. 그런데 ‘아들을 아홉을 둔 사람이라야 그 금을 캘 수 있다’고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는 이 곳을 ‘만금담’이라고 했는데, ‘만금이 들락날락 하는 곳’이라는 뜻이다. 장사꾼들이 금강산에서 물건을 해 가지고는 거기 와서 물물교환을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막은대미’라고도 한다. ‘더 이상 갈 데가 없는 막힌 곳’이라는 말이다. 서울 사람들이 거기 와도, 차가 못 다니는 막힌 장소여서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화현에 ‘솔치고개’가 있는데, 지도에는 ‘송재’라고 나와 있다. 옛날 거기에 솔치주막이 있었다. 장에 갔다 오거나 술을 마시거나, ‘솔치고개’를 넘을 사람들은 이 주막에서 묵었다. 다리가 아프거나 해가 지면 거기서 쉬면서 놀음들을 했다. 그게 포천에서 화현으로 넘어가는 길이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궁예가 왕건과 최후의 전투를 할 때, 현등산에 천연의 요새를 짓고 대전하였다. 왕건이 반년간이나 치열하게 공격을 해서 결국 궁예가 현등산에서 죽었다고 한다. 그런데 철원에 궁예의 무덤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철원에서 금강산 들어가는 철도 옆에 ‘삼방역’이라는 조그마한 역이 있다. 그런데 그 역 앞에는 돌담이 하나 있고, 그것이 바로 궁예의 무덤이라고도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한 마을에 장사가 태어났는데, 낳은 지 삼일 만에 절구통을 들었다. 그것을 본 부모는 나라에서 아기 장사를 죽이는지라 ‘장사가 되면 안된다’는 생각에 장사가 못되게 아이의 어깨를 뺏다. 그래서 아이는 장사가 못되었는데 하늘에서 내려온 말이 주인을 태우러 왔다가 주인이 장사가 못되니 혼자 내리 뛰고 치 뛰고 하다가 헛다리를 짚어서 말이 굴렀다. 그리하여 그곳을 말구리라 부르게 되었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 길이 없고 나무만 무성해서 숲 속에 사람이 잘 다니지 않던 고개가 있었다. 어떤 사람이 소를 하나 가지고 가서 팔았는데 여든 냥을 받았다. 도둑이 고개를 지키고 섰다가 그 사람이 지나갈 때 그 여든 냥을 빼앗았다. 그 일이 있은 후 ‘여든냥 고개’로 불려졌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500여 년 전 이 마을에 부락이 형성되기 전에는 각종 야생동물들이 모여 살았다. 그래서 전국에서 내노라하는 유명한 포수들이 사냥을 왔다. 사냥꾼들이 올 때는 혼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몰이꾼들로 소몰이 하는 사람들을 함께 데리고 왔다. 사냥꾼들은 길목을 잡고 있다가 소몰이꾼들이 짐승을 몰아오면 총을 쏘아 잡았다. 특히 이곳에는 노루가 많아서 노루 사냥을 많이 왔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추천 자료
◈ 원문∙전문 추천
【평론】 문학의 본질
1936년 9월 / 김남천
문학의 본질이라는 제목을 걸고 며칠 동안 여러분께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대체로 문학이니 예술이니 . 하는 소리는 우리들이 하루에도 몇 번씩 듣고 또한 그것은 현재의 중류 이상의 가정에 있어서는 이미 보편화된 상식적 인용으로 화(化)해 버렸는데 이렇게 주고 받고 하는 말을 뚝 따가지고 ‘문학이란 대체 어떠한 것이냐?’ 하고 물으면은 너나 할 것 없이 ‘이렇다’ 하고 또렷이 대답할 수가 없다.
라인수 (33)
Smiley face (0)
1934.1.11 / 채만식
‘생활의 문학’ 에 충실하겠소.

나는 한 뿌띠 부르 인텔리요, 내가 농촌의 중산가(中産家)에서 태어나 이래 반생을 그 환경에 순응하는 생활을 해온 때문이오.‘생활’의 힘으로가 아니라 서적으로써 이론적으로 프롤레타리아적 세계관을 파악은 했소. ─ 대부분의 인텔리의 예대로 ─ 그러나 그러므로 나는 노동자·농촌과 같은 세계관을 가지기는 했을지언정 그들의 생활과 감정은 가지지 못했소.
라인수 (17)
Smiley face (0)
【수필】 독서(讀書)
1938.9 / 김남천
가을이 되어 날씨가 상량(爽凉)해지면 무엇보다도 독서라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등화가친(燈火可親)이란 말은 낡은 말이면서, 가을이 되면 누구나 한마디씩 해보는 말이다. 신문의 사회면, 학예면이 각각 한번씩은 뇌어보고야마는 말이고, 신문사설이 으레 한 번쯤은 걸어보는 말이다. 소학교, 중학교의 교단이 시간마다 타이르는 말이며, 서울로 유학을 보낸 시골 있는 아버지가 편지 사연 마지막엔 꼭
라인수 (10)
Smiley face (0)
[원문(추천)]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1802년 / 연안 이씨(延安 李氏)
황졍경 일자를 엇지타 그릇 알고
인간에 적강하여 평생에 병이 만하
북창 하에 누웟스니 려위여 역불위라
복희씨를 꿈꾸던가 금조에 희작성이 과연히도 신영하다
경주인 한임 소리 느러지게 나난고야
갑인연 방소랜 듯 을묘년 감시런 듯
홍문관 직중 아해 평서를 올리거늘
소수를 엇풋 드러 방함을 떼여 보니
Smiley face (0)
• 활동 지역 :
▣ 지식창고
▶ 공개자료실
(A) 내 지식자료
Ο 다큐먼트작업
Ο 전설과 설화 모음
Ο 저작물 수집
서라벌
about 가담항설의지식창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