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민요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적벽가
제비가(燕子歌:연자가)
자장가
아리랑
베틀가
녹두새
about 민요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경기 잡가(京畿雜歌) 제비가(燕子歌) # 잡가
【학습】
(2019.07.18. 19:50) 
◈ 제비가(燕子歌:연자가)
연자가(燕子歌)라고도 한다. 내용은 남도의 잡가인 '새타령'과 판소리 '흥보가'의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에서 빌려온 것들이지만, 서울의 긴 잡가로 재치있게 꾸민 소리이다.
목   차
[숨기기]
만첩산중(萬疊山中) 늙은 범 살찐 암캐를 물어다놓고 에-어르고 노닌다
광풍(狂風)의 낙엽(落葉)처럼 벽허(碧虛) 둥둥 떠나간다
일락서산(日落西山) 해는 뚝 떨어져 월출동령(月出東嶺)에달이 솟네
만리장천(萬里長天)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복희씨(伏羲氏) 맺힌 그물을 두루쳐 메고서 나간다 망탕산(芒宕山)으로 나간다
우이여- 어허어 어이고 저 제비 네 어디로 달아나노
백운(白雲)을 박차며 흑운(黑雲)을 무릅쓰고 반공중(半空中)에높이 떠
우이여- 어허어 어이고 달아를 나느냐 내 집으로 훨훨 다 오너라
양류상(楊柳上)에 앉은 꾀꼬리 제비만 여겨 후린다
아하 이에이 에헤이 에헤야 네 어디로 행(行)하느냐
공산야월(空山夜月) 달 밝은데 슬픈 소래 두견성(杜鵑聲) 슬픈 소래두견제(杜鵑啼)
월도천심야삼경(月到天心夜三更)에 그 어느 낭군(郞君)이날 찾아오리
울림비조(鬱林飛鳥) 뭇새들은 농춘화답(弄春和答)에짝을 지어 쌍거쌍래(雙去雙來) 날아든다
말 잘하는 앵무(鸚鵡)새 춤 잘 추는 학(鶴)두루미문채(紋彩) 좋은 공작(孔雀)
공기 적다 공기 뚜루루루루룩 숙궁 접동스르라니 호반새 날아든다
기러기 훨훨 방울새 떨렁 다 날아들고 제비만 다어디로 달아나노
 
(자료 출처 :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1. 요점 정리

• 형식 : 경기 잡가
• 주제 : 제비 타령
 
 

2. 내용연구

 
 
 

3. 이해와감상

연자가(燕子歌)라고도 한다. 내용은 남도의 잡가인 '새타령'과 판소리 '흥보가'의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에서 빌려온 것들이지만, 서울의 긴 잡가로 재치있게 꾸민 소리이다. “만첩청산 늙은 범이 살찐 암캐를 물어다 놓고 이리궁글 놀린다…”로 시작되는 가사는 '제비가'와 전혀 관계 없는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 부분을 노래한다.
 
그러나 세마치장단으로 변하면서부터 제비·꾀꼬리·두견새·앵무새·학·두루미·공작·접동새·기러기등 각종 새들을 노래한다. '제비가'는 도드리장단 부분과 세마치장단부분으로 되어 있다. 음계는 도드리 부분이 솔-도-레-미-솔의 4음계로되어 있고, 특히 솔-도-미의 3음이 현저하여 경기 소리 특유의 맛이난다.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에서부터는 세마치장단으로바뀌어 다른 잡가에서는 볼 수 없는 비약적인 가락과 멋진 시김새로불러나간다. '유산가(遊山歌)'와 '적벽가(赤壁歌)' 다음으로 세 번째에부르는 노래이다.
 
 

4. 심화자료

경기 잡가(京畿雜歌) 제비가(燕子歌) # 잡가
【학습】 민요
• 적벽가
• 제비가(燕子歌:연자가)
• 유산가 ( 遊山歌 )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잡가 (2)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