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사기 강의 제182회 보충
* 武經七書 - 1.周나라 呂望의《六韜》; 2.齊나라 孫武의《孫子》; 3.齊나라 司馬穰苴(사마양저)의《司馬法》; 4.楚나라 吳起의《吳子》; 5.秦나라 尉繚(위료,울요)의 《尉繚子》; 6.漢나라 黃石公의《三略》; 7.唐나라 李靖의《李衛公問對》를 아울러 일컫는 말로, 나중에 宋나라 元豊 연간에 이들 兵書를 武學으로 지정하면서 ‘七書’라고 호칭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제148강
 
6. 亦 - 갑골문, 원래는 사람의 양쪽 겨드랑이 ; 《說文解字》“亦,人之臂亦也”; 또한,《左傳》文公七年“先君何罪?其嗣亦何罪”; 人云亦云(隨聲附和, 附和雷同)
 
* 東晋, 袁宏 《後漢紀》〈靈帝紀〉“經師易遇, 人師難遭”
經師易求(得, 遇), 人師難得(求, 遭)
 

 
제149강
 
1. 醜 - 甲骨文, 원래는 술에 취해서 무서운 얼굴 ;《說文解字》“醜,可惡也”; 추한,《左傳》文公十八年“醜類惡物”
 
2. 故 - 金文, 원래는 노인을 때려죽임 ;《說文解字》“故,使爲之也”; 이전의,《論語》〈爲政〉“温故而知新, 可以爲師矣”;《論語》〈秦伯〉“故舊不遺,則民不偸 ;《孟子》〈梁惠王〉“所謂故國者,非謂有喬木之謂也,有世臣之謂也”;《史記》〈李將軍列傳〉“程不識故與李广俱以邊太守將軍屯”;《穀梁傅》文公十八年“冬,十月,子卒。子卒不日,故也”; 의외사건,《周禮》〈天官〉“國有故”; 의도적으로,《史記》〈陳涉世家〉“廣故數言欲亡”; 원인(까닭),《史記》〈留侯世家〉“夫秦無道,故沛公得至此”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사기 강의 제183회 보충
• 사기 강의 제182회 보충
• 사기 강의 제181회 보충
(2018.04.03. 14:2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