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알 림 알림∙의견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는 司馬遷 《史記》 및 관련 漢文古典(文,史,哲)을 공부하는 무료 학습모임입니다. 매주 목요일 오후 3시30분부터 5시30분까지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공덕역 2번 출구 부근)에서 진행 중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를 희망합니다.
2024-04-14
댓글 (0)
김영환 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345강) 안내 4월 4일 (목요일) 오후 4시,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에서 강의합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는 司馬遷 《史記》 및 관련 漢文古典(文,史,哲)을 공부하는 무료 학습모임입니다.
2024-03-18
댓글 (0)
김영환 교수의 동양 고전 아카데미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일시 :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 5시40분 / 장소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석사, 박사) / 대상 : 제한 없음 / 교재 : 무료제공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史記 1 (경인문화사, 2013)
2024-01-14
댓글 (0)
▣ 공개 자료
◈ 내 자료 추천
[시민참여] 김영환교수
2023.04.27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10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4,27)
이 자료는 2024년 4월 18일(목) 진행될 사마천 사기 347강 강의 교안입니다.
이 자료는 2024년 4월 11일(목) 진행될 사마천 사기 346강 강의 교안입니다.
라인수 (1)
80 | 2 (+1) |
Smiley face (6|0)
2024.04.11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雜詩-王維〉와 古體詩와 近體詩의 차이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 ; (2) 《書經》〈周官〉의 3公(직위와 담당인물, 주요업무) 등에 대하여 설명 ; (3) 塢, 壁, 堡(塢壁,塢堡) 의 시초와 성행 및 주요 기능 등에 대하여 설명 ; (4) 《論語》〈八佾〉「或問禘之說。子曰:“不知也。知其說者之於天下也,
사마천 사기 346강 강의자료 요약 (2024.4.11)
80 | 4 |
Smiley face (6|0)
2024.04.04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蓮花塢-王維〉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 ; (2) 保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 《孟子》〈滕文公上〉을 중심으로 孟子와 夷子의 '孟夷之辯' 및 여기서 파생된 孟子의 四端과 性善說에 대하여 설명 ; (5) 중국 고대 3대 祭文(韓愈〈祭十二郞文〉, 歐陽修〈瀧岡阡表
사마천 사기 345강 강의자료 요약 (2024.4.4)
80 | (0) |
Smiley face (6|0)
2024.03.28
司馬遷《史記》〈本紀〉 4-023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鳥鳴澗-王維〉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 ; (2) 君子의 三思, 三變, 三省, 三恕에 대하여 설명 ; (3) 忠, 信, 恕, 主忠信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 ; (4) 天下(周, 天子)와 封國(諸侯國, 諸侯)에 관련된 《詩經》〈北山〉「溥(普)天之下,莫非王土;率土之濱,莫非王臣」과 《左傳》昭公七
사마천 사기 344강 강의자료 요약 (2024.3.28)
80 | (0) |
Smiley face (6|0)
▣ 주요 키워드
사기 (49) 백과 사기 주본기 (48) 논어 위정편 (23) (12) 백과 (11) 백과 논어 팔일편 (10) 논어 (8) 백과 황제 (8) 백과 논어 학이편 (7) 전욱 (6) 백과 (4) 헌원 (4) 김정희 (3) 백과 고신 (2) 방훈 (2) 불교 (2) 백과 오례 (2) 백과 오제본기 (2) (2) 백과 함녕전 (2) 백과
◈ 다큐먼트 목록
◈ 공개 페이지
◈ 조회순
2025.10.30
동양고전 아카데미 401 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30)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和晉陵陸丞早春遊望〉과 작자 杜審言 및 주요 단어(和,晉陵,陸丞,早春,遊望,宦遊人,偏驚,物候,海曙,淑氣,晴光,綠蘋,古調,沾巾...... 등)에 대해서 설명 ; (2)홍콩의 黑社會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 ; (3)《荀子》〈天論〉「大天而思之, 孰與物畜而制之! 從天而頌之, 孰與制天命而用之?......」에 대하여 注釋과 飜譯 등 상세히 설명 ; (4)樂, 絲竹, 8音(土(壎), 木(柷), 金(鍾), 石(磬), 匏(竽), 絲(琴), 竹(簫), 12律呂에 대하여 설명 ; (5)堅白同異의 설명과 名家의 公孫龍(堅白)과 惠施(同異)의 주장 및 10家9流에 대하여 설명 ; (6)《史記》〈晉世家〉「知伯遂有范、中行地, 最强。哀公四年, 趙襄子、韓康子、魏桓子共殺知伯, 盡并其地」를 통하여 智+韓+魏+趙=연합과 韓+魏+趙-智의 과정 및 3家分晉(b.c.403년)과 戰國時代의 시작 및 司馬光 《資治通鑑》의 시작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7)西漢 초기의 名臣 叔孫通(漢代 儒家의 始祖(儒宗)과 汲黯(諫臣-不畏權貴,安邦保國之忠臣) 설명 및 참고로 漢初 4大功臣 韓信-軍事, 張良-智謀, 蕭何-行政, 汲黯-儀禮制度)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31 (+7) |
2025.10.23
동양고전 아카데미 400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23)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從軍行〉과 작자 楊炯 및 주요 단어(樂府《相和歌·平調曲》형식, 西京, 牙璋-兵符(虎符), 鳳闕-宮闕, 鐵騎, 龍城-龍庭, 暗凋, 旗畫, 寧爲, 勝作...... 등)에 대해서 설명 ; (2)중국문학사-先秦散文, 漢賦, 唐詩(近體詩), 宋詞, 元曲, 明淸小說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 ; (3)중국 고대 詩에 대하여(古體詩, 樂府詩(제목에 歌, 謠, 曲, 行, 引, 辭, 吟, 詠, 唱......), 近體詩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陶淵明, 〈歸去來兮辭〉, 〈歸去來兮〉 or 〈歸去來辭〉어느 것이 정확한 명칭? 의미는 돌아가자, 回去吧, 來와 兮는 語氣助詞,의미 없음. 辭는 글의 형식 등에 대하여 설명 ; (5)忠恕와 3단계 과정(以己及物, 推己及物, 成己及物)에 대하여 설명 ; (6)《論語》〈里仁〉「參乎!吾道一以貫之。曾子曰..唯。子出,門人問曰..何謂也? 曾子曰..夫子之道,忠恕而已矣」에 대한 관련 내용 및 易簀(曾子)과 結纓(子路), 唯와 若의 차이, 弟子의 종류별 구분(入門, 升堂, 入室...), 孔廟4配12哲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7)制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25 (+2) |
2025.10.16
사마천 사기 399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16)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正月十五夜〉와 작자 蘇味道 및 주요 단어(文章四友, 火樹銀花, 星橋(星津橋), 鐵鎖開, 暗塵, 逐人來, 游伎, 穠李, 行歌, 落梅, 金吾, 玉漏...... 등)에 대해서 설명 ; (2)《禮記》〈月令〉「天子春朝日, 秋夕月」의 설명과 秋夕, 中秋(仲秋)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3)淳制와 女冠(黃冠, 女黃冠, 坤道, 女道士), 乂(刈, 苅, 割)草, 若夫(語氣詞) 등에 대하여 설명 ; (4)《史記》〈項羽本紀〉「此天之亡我,非戰之罪也」 부분 독해와 설명 ; (5)《國語》〈晉語四〉「及其卽位也,詢于八虞而諮于二虢,度于閎夭而謀于南宮,諏于蔡原而訪于辛尹,重之以周邵畢榮,億寧百神,而柔和萬民」에 나타난 周文王의 反商 조치에 대하여 설명 ; (6)《論語》〈季氏〉「侍于君子有三愆:言未及之而言謂之躁,言及之而不言謂之隱,未見顔色而言謂之瞽」에 나타난 타인과의 대화시 피해야 할 3가지 과실(躁, 隱, 瞽) 설명 ; (7)主忠信과 進德, 修業, 立身, 徙義(義之與比, 與義比, 以義比)의 개념 ; 仁義禮智(信)과 惻隱,羞惡,辭讓,是非, 및 愛, 恥, 敬, 明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23 (+1) |
2025.09.11
사마천 사기 396강 강의자료 요약 (2025.9.11)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登鸛雀樓〉와 작자 暢當 및 주요 단어(4大名樓, 江南 3大名樓, 迥, 世塵-塵世, 斷山, 王之涣의 〈登鸛雀樓〉와 비교 ......)에 대해서 설명 ; (2) 《莊子》〈外物〉「儒以詩禮發冢」의 의미와 儒家의 僞善性 설명 ; 《水經注》〈渭水〉에 나타난 秦始皇陵 도굴 사건 설명 ; (3) 甘酒와 食醯, 食醢에 대하여 韓中日 3국의 개념 설명 ; (4) 《論語》〈里仁〉4-13에 의거하여 禮讓, 何有, 如禮何 등 설명 ; (5) 친구의 호칭(諍友, 益友...), 의미와 불교에서 말하는 4종 친구 및 각종 사귐(八拜之交, 杵臼之交...)의 여러 가지 표현에 대하여 상세 설명 ; (6) 樂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7) 5聲8音12律과 文舞(干戚), 武舞(羽旄)에 대하여 설명 ; (8) 野蠻과 文明을 구분하는 몇 가지 필요충분조건(도구, 농업, 정착......) ; 中國과 臺灣의 현 상황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22 |
2025.09.04
사마천 사기 395강 강의자료 요약 (2025.9.04)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春怨〉와 작자 金昌緖 및 주요 단어(伊州歌, 꾀꼬리의 다양한 명칭 등......)에 대해서 설명 ; (2) 《論語》〈里仁〉「放于利而行,多怨」에서 放에 대한 古注와 新注 풀이 비교설명 ; 利와 관련된 財, 貨, 資, 殖 등의 개념 설명 ; 義와 利에 관한(義利之辨) 《論語》, 《孟子》, 《荀子》, 《大學》, 朱熹(《論語集註》, 《朱子語類》, 《日講四書解義》)의 관련문장을 인용하여 설명 ; (3) 修身養性의 3단계(識己, 納己, 律己) 과정 설명 ; (4) 《論語》에 나타난 「我師」와 「爲師」에 대하여 문법과 기타문헌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 ; (5) 가르치는 자의 책임, 등급, 조건, 우선, 명칭 등에 대하여 설명 ; (6) 禮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7) 「禮賢下士」에 대하여 《史記》〈魯周公世家〉의 「一沐三捉髮, 一飯三吐哺」를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2 |
2025.07.31
사마천 사기 394강 강의자료 요약 (2025.7.31)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行無題-100首中98首〉와 작자 錢珝 및 주요 단어(清霜, 寒霜, 故溪, 一夜 등......)에 대해서 설명 ; (2) 중국 고대 異端(개념, 판정표준, 비판대상과 초점, 방법, 한계, 논쟁, 관련문헌...등)에 대하여 상세 설명 ; (3) 《孫子兵法》〈勢〉에서 奇와 正의 의미 설명 ; (4) 錢大昕의 《十駕齋養身錄》의 十駕(《荀子》〈勸學〉)와 養身(朱子)의 유래에 대하여 설명 ; (5) 靜寧, 今玆(目前, 此刻), 胡然(爲何突然), 許丞(許縣 縣丞), 何傷(妨礙, 無礙, 不影響), 循吏(奉公守法,民生敎化), 不可勝(擧,計,書,道,數,用,言,食...), 正域 등의 의미, 拜, 揖, 讓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 ; (6) 射禮에서 貫革, 侯(target, 天子-熊侯, 諸侯-麋侯, 士人-豻侯)와 正(布侯), 鵠(革侯), 正鵠, 命中, 中 등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17 |
2025.10.02
사마천 사기 398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02)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野望〉과 작자 王績 및 주요 단어(野望과 やぼう, 王績, 東皋, 龍門(今山西省 河津市), 薄暮, 徙倚, 依, 秋色, 落暉, 獵馬, 長歌, 採薇...... 등)에 대해서 설명 ; (2)《論語》〈里仁〉「子曰:不患無位,患所以立;不患莫己知,求爲可知也」에 대해서 位와 立, 莫知와 可知의 바른 설명 및 최근의 새로운 해석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 ; (3)13經에 대한 주요 해석학 방법(傳統派, 臺灣 錢穆派, 中國 李澤厚派)에 대하여 소개 ; (4)度의 金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 ; (5)度量衡, 5行, 中醫學에서의 5度에 대하여 설명 ; (6)신분별(天子, 諸侯, 卿大夫, 士, 民) 孝의 용어(就, 度, 譽, 究, 養)와 효의 3단계 및 事親之道(生-養-順 ; 歿-喪-哀 ; 喪-祭-敬) 설명 ; (7)東漢 초기 3史와 《東觀漢記》에 대하여 설명 ; (8)小學(文字學, 音韻學, 訓詁學)과 訓詁學의 訓과 詁의 설명 및 대표적인 저서(《爾雅》, 《山海經》, 《玉篇》, 《說文解字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13 |
2025.09.25
사마천 사기 397강 강의자료 요약 (2025.9.25)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秋日湖上〉와 작자 薛瑩 및 주요 단어(薛瑩, 落日, 五湖, 太湖, 煙波, 處處, 沈浮, 千古......)에 대해서 설명 ; (2)樂의 여러 가지 의미와 발음 및 품사에 대해서 설명 ; (3)知備와 有備無患 설명 ; (4)《論語》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君子, 仁, 智, 禮, 學, 善, 信, 義, 敬, 勇, 小人.......)와 仁義(昭公)와 禮樂(周公) 및 孔子의 家系와 野合의 기준(나이와 신분)에 대하여 설명 ; (5)《孟子》〈梁惠王上〉에 등장하는 恒産(경제기초)과 恒心(도덕수양), 制民之産(기본산업정책)의 용어에 대하여 상세 설명 ; (6)3經, 5經, 6經, 9經, 12經, 13經의 구분과 《孟子》가 가장 나중에 들어간 이유와 시대를 설명 ; (7)古文獻에 나오는 兼詞(諸, 焉, 盍, 曷, 叵,旃......)와 인용 문장에 대하여 설명 ; (8)取雅號記의 작성 사례에 대하여 설명 ; (9)司馬遷 祠堂을 참배한 느낌을 묘사한 自作 漢詩(5言律詩, 7言律詩)를 소개하였습니다.
10 |
 
◈ 최근등록순
2025.10.30
동양고전 아카데미 401 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30)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和晉陵陸丞早春遊望〉과 작자 杜審言 및 주요 단어(和,晉陵,陸丞,早春,遊望,宦遊人,偏驚,物候,海曙,淑氣,晴光,綠蘋,古調,沾巾...... 등)에 대해서 설명 ; (2)홍콩의 黑社會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 ; (3)《荀子》〈天論〉「大天而思之, 孰與物畜而制之! 從天而頌之, 孰與制天命而用之?......」에 대하여 注釋과 飜譯 등 상세히 설명 ; (4)樂, 絲竹, 8音(土(壎), 木(柷), 金(鍾), 石(磬), 匏(竽), 絲(琴), 竹(簫), 12律呂에 대하여 설명 ; (5)堅白同異의 설명과 名家의 公孫龍(堅白)과 惠施(同異)의 주장 및 10家9流에 대하여 설명 ; (6)《史記》〈晉世家〉「知伯遂有范、中行地, 最强。哀公四年, 趙襄子、韓康子、魏桓子共殺知伯, 盡并其地」를 통하여 智+韓+魏+趙=연합과 韓+魏+趙-智의 과정 및 3家分晉(b.c.403년)과 戰國時代의 시작 및 司馬光 《資治通鑑》의 시작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7)西漢 초기의 名臣 叔孫通(漢代 儒家의 始祖(儒宗)과 汲黯(諫臣-不畏權貴,安邦保國之忠臣) 설명 및 참고로 漢初 4大功臣 韓信-軍事, 張良-智謀, 蕭何-行政, 汲黯-儀禮制度)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31 (+7) |
2025.10.23
동양고전 아카데미 400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23)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從軍行〉과 작자 楊炯 및 주요 단어(樂府《相和歌·平調曲》형식, 西京, 牙璋-兵符(虎符), 鳳闕-宮闕, 鐵騎, 龍城-龍庭, 暗凋, 旗畫, 寧爲, 勝作...... 등)에 대해서 설명 ; (2)중국문학사-先秦散文, 漢賦, 唐詩(近體詩), 宋詞, 元曲, 明淸小說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 ; (3)중국 고대 詩에 대하여(古體詩, 樂府詩(제목에 歌, 謠, 曲, 行, 引, 辭, 吟, 詠, 唱......), 近體詩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陶淵明, 〈歸去來兮辭〉, 〈歸去來兮〉 or 〈歸去來辭〉어느 것이 정확한 명칭? 의미는 돌아가자, 回去吧, 來와 兮는 語氣助詞,의미 없음. 辭는 글의 형식 등에 대하여 설명 ; (5)忠恕와 3단계 과정(以己及物, 推己及物, 成己及物)에 대하여 설명 ; (6)《論語》〈里仁〉「參乎!吾道一以貫之。曾子曰..唯。子出,門人問曰..何謂也? 曾子曰..夫子之道,忠恕而已矣」에 대한 관련 내용 및 易簀(曾子)과 結纓(子路), 唯와 若의 차이, 弟子의 종류별 구분(入門, 升堂, 入室...), 孔廟4配12哲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7)制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25 (+2) |
2025.10.16
사마천 사기 399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16)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正月十五夜〉와 작자 蘇味道 및 주요 단어(文章四友, 火樹銀花, 星橋(星津橋), 鐵鎖開, 暗塵, 逐人來, 游伎, 穠李, 行歌, 落梅, 金吾, 玉漏...... 등)에 대해서 설명 ; (2)《禮記》〈月令〉「天子春朝日, 秋夕月」의 설명과 秋夕, 中秋(仲秋)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3)淳制와 女冠(黃冠, 女黃冠, 坤道, 女道士), 乂(刈, 苅, 割)草, 若夫(語氣詞) 등에 대하여 설명 ; (4)《史記》〈項羽本紀〉「此天之亡我,非戰之罪也」 부분 독해와 설명 ; (5)《國語》〈晉語四〉「及其卽位也,詢于八虞而諮于二虢,度于閎夭而謀于南宮,諏于蔡原而訪于辛尹,重之以周邵畢榮,億寧百神,而柔和萬民」에 나타난 周文王의 反商 조치에 대하여 설명 ; (6)《論語》〈季氏〉「侍于君子有三愆:言未及之而言謂之躁,言及之而不言謂之隱,未見顔色而言謂之瞽」에 나타난 타인과의 대화시 피해야 할 3가지 과실(躁, 隱, 瞽) 설명 ; (7)主忠信과 進德, 修業, 立身, 徙義(義之與比, 與義比, 以義比)의 개념 ; 仁義禮智(信)과 惻隱,羞惡,辭讓,是非, 및 愛, 恥, 敬, 明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23 (+1) |
2025.10.02
사마천 사기 398강 강의자료 요약 (2025.10.02)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野望〉과 작자 王績 및 주요 단어(野望과 やぼう, 王績, 東皋, 龍門(今山西省 河津市), 薄暮, 徙倚, 依, 秋色, 落暉, 獵馬, 長歌, 採薇...... 등)에 대해서 설명 ; (2)《論語》〈里仁〉「子曰:不患無位,患所以立;不患莫己知,求爲可知也」에 대해서 位와 立, 莫知와 可知의 바른 설명 및 최근의 새로운 해석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 ; (3)13經에 대한 주요 해석학 방법(傳統派, 臺灣 錢穆派, 中國 李澤厚派)에 대하여 소개 ; (4)度의 金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 ; (5)度量衡, 5行, 中醫學에서의 5度에 대하여 설명 ; (6)신분별(天子, 諸侯, 卿大夫, 士, 民) 孝의 용어(就, 度, 譽, 究, 養)와 효의 3단계 및 事親之道(生-養-順 ; 歿-喪-哀 ; 喪-祭-敬) 설명 ; (7)東漢 초기 3史와 《東觀漢記》에 대하여 설명 ; (8)小學(文字學, 音韻學, 訓詁學)과 訓詁學의 訓과 詁의 설명 및 대표적인 저서(《爾雅》, 《山海經》, 《玉篇》, 《說文解字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13 |
2025.09.25
사마천 사기 397강 강의자료 요약 (2025.9.25)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秋日湖上〉와 작자 薛瑩 및 주요 단어(薛瑩, 落日, 五湖, 太湖, 煙波, 處處, 沈浮, 千古......)에 대해서 설명 ; (2)樂의 여러 가지 의미와 발음 및 품사에 대해서 설명 ; (3)知備와 有備無患 설명 ; (4)《論語》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君子, 仁, 智, 禮, 學, 善, 信, 義, 敬, 勇, 小人.......)와 仁義(昭公)와 禮樂(周公) 및 孔子의 家系와 野合의 기준(나이와 신분)에 대하여 설명 ; (5)《孟子》〈梁惠王上〉에 등장하는 恒産(경제기초)과 恒心(도덕수양), 制民之産(기본산업정책)의 용어에 대하여 상세 설명 ; (6)3經, 5經, 6經, 9經, 12經, 13經의 구분과 《孟子》가 가장 나중에 들어간 이유와 시대를 설명 ; (7)古文獻에 나오는 兼詞(諸, 焉, 盍, 曷, 叵,旃......)와 인용 문장에 대하여 설명 ; (8)取雅號記의 작성 사례에 대하여 설명 ; (9)司馬遷 祠堂을 참배한 느낌을 묘사한 自作 漢詩(5言律詩, 7言律詩)를 소개하였습니다.
10 |
2025.09.11
사마천 사기 396강 강의자료 요약 (2025.9.11)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登鸛雀樓〉와 작자 暢當 및 주요 단어(4大名樓, 江南 3大名樓, 迥, 世塵-塵世, 斷山, 王之涣의 〈登鸛雀樓〉와 비교 ......)에 대해서 설명 ; (2) 《莊子》〈外物〉「儒以詩禮發冢」의 의미와 儒家의 僞善性 설명 ; 《水經注》〈渭水〉에 나타난 秦始皇陵 도굴 사건 설명 ; (3) 甘酒와 食醯, 食醢에 대하여 韓中日 3국의 개념 설명 ; (4) 《論語》〈里仁〉4-13에 의거하여 禮讓, 何有, 如禮何 등 설명 ; (5) 친구의 호칭(諍友, 益友...), 의미와 불교에서 말하는 4종 친구 및 각종 사귐(八拜之交, 杵臼之交...)의 여러 가지 표현에 대하여 상세 설명 ; (6) 樂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7) 5聲8音12律과 文舞(干戚), 武舞(羽旄)에 대하여 설명 ; (8) 野蠻과 文明을 구분하는 몇 가지 필요충분조건(도구, 농업, 정착......) ; 中國과 臺灣의 현 상황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22 |
2025.09.04
사마천 사기 395강 강의자료 요약 (2025.9.04)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春怨〉와 작자 金昌緖 및 주요 단어(伊州歌, 꾀꼬리의 다양한 명칭 등......)에 대해서 설명 ; (2) 《論語》〈里仁〉「放于利而行,多怨」에서 放에 대한 古注와 新注 풀이 비교설명 ; 利와 관련된 財, 貨, 資, 殖 등의 개념 설명 ; 義와 利에 관한(義利之辨) 《論語》, 《孟子》, 《荀子》, 《大學》, 朱熹(《論語集註》, 《朱子語類》, 《日講四書解義》)의 관련문장을 인용하여 설명 ; (3) 修身養性의 3단계(識己, 納己, 律己) 과정 설명 ; (4) 《論語》에 나타난 「我師」와 「爲師」에 대하여 문법과 기타문헌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 ; (5) 가르치는 자의 책임, 등급, 조건, 우선, 명칭 등에 대하여 설명 ; (6) 禮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7) 「禮賢下士」에 대하여 《史記》〈魯周公世家〉의 「一沐三捉髮, 一飯三吐哺」를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2 |
2025.07.31
사마천 사기 394강 강의자료 요약 (2025.7.31)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行無題-100首中98首〉와 작자 錢珝 및 주요 단어(清霜, 寒霜, 故溪, 一夜 등......)에 대해서 설명 ; (2) 중국 고대 異端(개념, 판정표준, 비판대상과 초점, 방법, 한계, 논쟁, 관련문헌...등)에 대하여 상세 설명 ; (3) 《孫子兵法》〈勢〉에서 奇와 正의 의미 설명 ; (4) 錢大昕의 《十駕齋養身錄》의 十駕(《荀子》〈勸學〉)와 養身(朱子)의 유래에 대하여 설명 ; (5) 靜寧, 今玆(目前, 此刻), 胡然(爲何突然), 許丞(許縣 縣丞), 何傷(妨礙, 無礙, 不影響), 循吏(奉公守法,民生敎化), 不可勝(擧,計,書,道,數,用,言,食...), 正域 등의 의미, 拜, 揖, 讓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 ; (6) 射禮에서 貫革, 侯(target, 天子-熊侯, 諸侯-麋侯, 士人-豻侯)와 正(布侯), 鵠(革侯), 正鵠, 命中, 中 등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17 |
2025.07.24
사마천 사기 393강 강의자료 요약 (2025.7.24)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田家〉와 작자 聶夷中 및 주요 단어(田家, 原上, 劚(斸), 禾苗, 稻苗, 秀, 官家 등......)에 대해서 설명 ; (2) 國民統合(日本 憲法 제1조, 統一, 綜合)과 國民和合(和睦協同)에 대해서 비교 설명 ; (3) 《三國志》〈陳群傳〉「君子在朝, 無適無莫, 雅仗名義, 不以非道假人」을 예로 들어 군자가 관직을 담당할 경우 지켜야 할 3가지(a.公正無私-無適無莫 ; b.道義基本-雅仗名義 ; c.請託排擊-不以非道假人) 태도에 대하여 설명 ; (5) 夏(妺喜), 商(妲己), 周(褒姒) 등 紅顔禍水(傾國之色)과 妺喜의 3가지 정신병적인 행동 및 酒池肉林과 술래잡기의 초보적 형태 등 설명 ; (6) 《論語》〈里仁〉「子曰:君子懷德,小人懷土;君子懷刑,小人懷惠」를 예로 들어, 첫째, 君子와 小人, 德과 刑, 土와 惠를 비교하고; 둘째, 이 문장이 생겨난 시대배경, 셋째, 周公을 이용하여 孔子의 4가지 勸告(明德愼罰, 仁禮結合, 上行下效, 德主刑輔)에 대하여 설명 ; (7) 《尸子》〈卷下〉「上下四方曰宇, 往古來今曰宙」를 예로 들어 往來古今, 天6氣, 地5行, 經緯, 時空 등에 대해서 설명 ; (8) 《漢書》〈燕靈王劉建傳〉「紀太后欲其家重寵,令其長女紀翁主入王宮,正其后宫無令得近王,欲令愛紀氏女」을 예로 들어, 漢代 上層部의 近親相姦과 여성의 再嫁, 三嫁 등에 대해서 설명 ; (9) 帝王 행차시 수행인원(疑, 丞, 輔, 弼, 左史, 右史와 左丘明의 성명 및 중국의 史(史官)와 서양의 Historia(historeo(ἱστορέω)史件의 기록)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6 |
2025.07.17
사마천 사기 392강 강의자료 요약 (2025.7.17)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離騷〉와 작자 陸龜蒙 및 주요 단어(天問, 招魂, 無因, 徹, 帝閽, 豈知, 千麗句, 敵, 一讒言 등......)에 대해서 설명 ; (2) 《詩經》〈天保〉「天保定爾, 以莫不興」에서 배경, 분석, 상징의미, 변화, 영향 등과 天命觀, 天人合一, 天人感應 등과의 연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3) 《論語》〈里仁〉「子曰:君子之於天下也,無適也,無莫也,義之與比」에서 適과 莫에 대한 풀이를(鄭玄《論語注》, 何晏《論語集解》, 皇侃《論語義疏》, 朱子《論語集註》) 비교 분석 및 之於己, 之於人, 之於家, 之於國과 연계해서 之於天下를 상세히 설명 ; (4) 《千字文》에서 봄을 뜻하는 春은 없어도 계절을 뜻하는 다른 표현(園莽推條)이 있음을 설명 ; (5) 正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6) 미리미리 준비하다는 내용을 경전(《尙書》〈說命中〉 ; 《左傳》 ; 《管子》〈權修〉 ; 《纂要》 ; 《女論語》 ; 《白兔記》〈牧牛〉)에서 찾아서 상세히 설명 ; (7) 여성을 위한 6가지 修身書(《烈女傳》, 《女誡》, 《女史箴》, 《女論語》, 《閨範》, 《教女遺規》) 설명 ; (8) 《莊子》〈讓王〉에 나타난 曾子와 原憲의 安貧樂道 생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5 |
2025.07.10
사마천 사기 391강 강의자료 요약 (2025.7.10)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天涯〉 작자 李商隱과 주요 단어(斜-古音讀xiá,今音讀xié, 鶯啼, 鶯鳴, 爲의 2聲과 4聲의 의미, 最高花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2) 《論語》〈里仁〉「子曰:士志于道,而耻惡衣惡食者,未足與議也」에서 版本別 차이와 士, 道, 惡衣惡食, 議 등 의미에 대하여 관련 문헌을 인용하여 설명 ; (3) 申欽, 〈野言〉「桐千年老恒藏曲,梅一生寒不賣香,月到千虧餘本質,柳經百别又新枝」의 형식과 押韻 등 상세 설명 ; (5) 興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6) 四川省 成都 武侯祠와 諸葛亮의 「出師表」 일부분 原文 독해 ; (7) 鄕三物(6德, 6行, 6藝)에 대하여 설명 ; (8) 중국 古代 學生을 가리키는 다양한 용어와 日本의 生徒에 대하여 설명 ; (9) 《禮記》〈中庸〉 일부분 原文 독해와 「尊德性, 道問學」 의미 및 「制禮作樂」과 「述而不作」의 비교 설명 ; (10) 철도의 軌幅(標準軌)의 유래를 秦帝國과 ROMA帝國을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3 |
2025.07.03
사마천 사기 390강 강의자료 요약 (2025.7.3)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登樂遊苑〉 작자 李商隱과 주요 단어(樂游廟, 向晚, 傍晚, 不適, 古原, 只是, 近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2)《資治通鑑》과 유사명칭 서적 7종 및 5代10國, 毛主席의 17讀 등에 대하여 설명 ; (3) 宋代의 지방행정 조직(路→州(府, 州, 軍, 監)→縣에 대하여 상세 설명 ; (4) 官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상세 설명 ; (5) 중국사의 3惠帝(西漢, 高祖→惠帝(劉盈), 西晉, 武帝→惠帝(司馬衷), 明, 太祖→惠宗(朱允炆)에서 惠의 의미와 蜀漢 昭烈帝의 惠陵에서의 惠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 설명 ; (6) 중국 고대의 治水 문제와 정권 장악에 관하여 설명 ; (7) 韓嬰, 《韓氏易傳》..「五帝官天下,三王家天下,家以傳子,官以傳賢」을 통해서 5帝의 公天下와 3王의 私(家)天下, 禪讓(賢人, 無血革命, Military Democracy)과 放伐(武力, 暴力), 世襲(아들) 등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4 |
2025.06.26
사마천 사기 389강 강의자료 요약 (2025.6.26)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馬詩二十三首(第五)〉 작자 李賀와 주요 단어(燕山, 何當, 金絡腦-金絡頭, 清秋, 天高馬肥, 秋高馬肥, 弓勁馬肥, 天靑馬肥 및 詩鬼-李賀 ; 詩仙-李白 ; 詩佛-王維 ; 詩聖-杜甫, ; 詩魔-白居易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2) 안중근 의사를 찬양하는 중국 지도자의 시3편(元世凱, 孫文, 梁啓超) 등 내용 설명 ; (3) 竊國大盜 元世凱의 3차례 배신과 몇 가지 내용 설명 ; (4) 挽에 대하여(旗, 章, 詞, 詩, 歌, 聯, 辭(言) 및 형식 등 설명 ; (5) 宗廟의 夏商周秦 등 시대별 명칭 변화와 昭穆制(天子, 諸侯, 卿,大夫, 士, 平民), 宗法(大宗, 小宗), 祖孫의 上下9族 명칭에 대하여 설명 ; (6) 官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내용 설명 ; (7) 《論語》〈子張〉「夫子之墻數仞,不得其門而入,不見宗廟之美,百官之富」에 대하여 상세분석 및 올바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5 |
2025.06.12
사마천 사기 388강 강의자료 요약 (2026.6.12)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長安秋望〉 작자 杜牧과 주요 단어(秋望, 霜樹, 鏡天, 無一毫, 南山(終南山), 秋色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2) 《呂氏春秋》〈孟夏紀〉 「尊師」 계속 강독과 梁父, 大駔, 指(責), 刑戮, 死辱, 非徒(不但, 不僅), 進業(立身, 立家, 立業), 營(熒, 惑), 時節, 부모 제사시 散齊7일(外), 致齊3일(內) 등 의미 설명 ; (3) 《論語》〈里仁〉「朝聞道, 夕死可矣」에 대한 古注와 新注를 이용한 비교 설명 ; (4) 儒家의 道와 道家의 道를 상세히 비교 설명(기본적으로 근원과 범주 不同, 실천 목표 差異, 사회통치 이념의 对立, 人性과 價値觀 차이 및 세부적으로 철학 본질, 핵심 지향, 실천 방식, 최종 理想 등)에 대하여 상세히 정리 설명 ; (5) 孝의 3가지 단계(酒食, 色難, 養心)에 대하여 설명 ; (6) 運動, 鬪爭, 抗爭, 義士, 烈士, 志士, 顯忠, 忠烈 등 몇 가지 용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4 |
2025.06.05
사마천 사기 387강 강의자료 요약 (2025.6.5)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屈原의 〈楚辭・漁父〉에서 屈原과 漁夫의 대화 原文 설명 ; (2) 唐詩〈瀑布〉 작자 施肩吾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施肩吾, 豁(huō攉)開, 青冥, 瀉(出), 萬丈, 白日 등......)설명 ; (3) 《詩經》〈綿〉「周原膴膴,堇荼如飴」를 통하여 周나라 최초 수도 周原에 대하여 설명 (4) 지난 시간에 이어서 《呂氏春秋》〈孟夏紀〉「勸學」과 「尊師」 原文 강독 ; (5) 往教者, 召師者, 自卑者, 卑師者의 개념과 《莊子》〈大宗師〉「相濡以沫」과 4자성어 「爭魚者濡」 등 설명 ; (6) 중국 古代 10聖人과 6賢者의 스승에 대하여 설명 ; (7) 春秋時代 전기와 후기의 5覇와 戰國時代 7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8) 시각장애인을 의미하는 다양한 글자(盲, 瞽, 盳, 瞎, 眇, 奉事)에 대하여 설명 ; (9) 學-好學-善學(達天性)의 과정 설명 ; (10) 曾參의 事父(曾點)之情과 顏淵의 事師(孔子)之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2 |
2025.05.31
사마천 사기 386강 강의자료 요약 (2025.5.29)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題詩後〉 작자 賈島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吟, 讀, 誦, 知音, 故山 등......)설명; (2) 김선생님 질문 《論語》〈里仁〉4-7의 보충 설명(小人過於薄, 君子過於厚; 子路와 周公의 사례; 先學의 注釋; 문법상; 문장구조상(人=仁(人);過=過;其=斯); 일반통념상으로 구분) (3) 生人과 死人을 精, 氣, 神과 魂, 魄으로 구분하여 설명; (4) 諸(求諸己-求之於己), 瑕叔盈, 沉下賢, 彭咸, 蝥弧, 陽氣와 陰精, 搜(春獵)와 狩(冬獵)의 구별, 華不注, 里域, 橫通과 旁通 등 설명; (5) 사람 판단의 8가지 방법(《管子》〈八觀〉, 《呂氏春秋》〈論人〉, 劉邵, 《人物志》); (6) 《呂氏春秋》의 개략적 설명과 莫榮於孝(효보다 영광스러운 것은 없다)와 榮莫過於孝(영광은 효를 초과하는 것은 없다) 문장 비교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3 |
2025.05.22
사마천 사기 385강 강의자료 요약 (2025.5.22)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尋隱者不遇〉와 작자 賈島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隱者, 童子, 雲深 등......)설명 ; (2) 後漢의 胡廣(「天下中庸有胡廣」 ; 5卿7相3公)에 대한 설명 (3) 《論語》〈里仁〉4-7의 版本別 차이와 注釋 및 몇 가지 번역 등 상세한 설명 ; (4) 《論語》에 보이는 君子와 小人의 차이 「周而不比」 등 유사한 사례 10가지 설명 ; (5) 《道德經》제17장에서 말하는 지도자의 4가지 종류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 ; (6) 《史記》〈越王句踐世家〉에 보이는 句踐의 觀相(長頸鳥喙)과 「可與共患難, 不可與共榮」, 故事成語(臥薪嘗膽, 鳥盡弓藏, 兎死狗烹, 十年生聚, 十年敎訓) 및 句踐과 高句麗의 句 or 勾 ; (7) 周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8) 《論語》〈堯曰〉20-1의 상세한 주석과 번역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1 |
2025.05.15
사마천 사기 384강 강의자료 요약 (2025.5.15)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劍客〉과 작자 賈島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霜刃, 把 , 示君 등......)설명 ; (2) 歸, 饋, 犒의 의미와 弦高犒師 고사성어 설명. (3) 《三國志演義》의 劉備, 曹操, 孫權의 정치성향과 인물특성 분석에 대하여 설명 ; (4) 歸寧, 歸京, 歸省, 立身(處世, 爲人, 立足), 易資, 商, 賈 등 설명 ; (5) 《論語》〈里人〉4-2장의 상세한 설명 ; 《論語》〈太伯〉8-8장「興於詩, 立於禮, 成於樂」에 대한 2가지 학설과 何晏, 邢昺, 王弼의 注釋書를 중심으로 비교 설명 ; (6) 曹操, 〈觀蒼海〉의 주석과 감상 ; (7) 중국 고대 지역별 구분과 명칭(宮, 城, 郭, 都, 邑, 郊, 州(牧), 野, 林, 鄙, 坰)설명 ; (8) 周나라의 도읍지 변천(周原, 豊, 鎬, 洛邑)과 宗周와 成周, 周室三太(太姜, 太任, 太姒)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1 |
2025.05.08
사마천 사기 383강 강의자료 요약 (2025.5.08)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行宮〉과 작자 元稹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行在所, 上陽宮, 鮮卑族 拓跋部의 漢化, 新樂府, 元白, 寥(liáo)落, 白頭宮女 등......)설명 ; (2) 바쁜 세태에 대하여 설명..班固, 〈答賓戲〉「孔席不暖, 墨突不黔」 설명. (3) 《論語》〈里仁〉「富與貴,是人之所欲也;不以其道得之,不處也。貧與賤,是人之所惡也;不以其道得之,不去也。君子去仁,惡乎成名?君子無終食之間違仁,造次必于是,顚沛必于是」에 대하여 기타 版本과 비교하여 문장 재구성 ; 禍-不處-富貴-君子之智 ; 天命-不去-貧賤-君子之仁=智者利仁, 仁者安仁의 상세과정 설명 ; (4) 琅琊王氏의 家訓(信,德,孝,悌,讓)과 중국 4대 名門家(王,謝,袁,蕭) 및 10대 姓氏 ; 華夏首望과 三韓甲族 비교설명 ; (5 )歸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之子, 室家, 藝祖, 大牢와 小牢 ; 巡狩와 述職, 朝貢과 朝獻 ; 天下歸仁의 2가지 의미 등 설명 ; 乏財曰貧과 無位曰賤 등 설명 ; (6) 고대 皇宮의 3無 ; 7) 고대 酷刑의 종류와 변천 ; 8) 「王與馬共天下」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1 |
2025.04.24
사마천 사기 382강 강의자료 요약 (2025.4.24)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雪〉과 작자 柳宗元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千山, 萬徑, 人踪, 簑笠(蓑衣+頭笠, 古文運動, 唐宋八大家, 韓柳, 劉柳, 王孟韋柳 등......)설명 ; (2) 應劭, 《風俗通義》-非鬼在(存)怪 설명. (3) 《論語》〈微子〉「殷有三仁焉」에 대하여 《史記》를 통하여 상세히 분석 설명(比干(亘古忠臣, 墳墓), 箕子(明哲保身, 〈麥秀歌〉), 微子(膝行投降, 宋 건국) ; (4) 皇帝 명칭(德兼三皇, 功高五帝)과 遜과 慢(倨慢, 驕慢, 傲慢, 自慢)에 대하여 설명 ; (5) 武經7書와 孫子, 吳起, 姜尙과 다양한 호칭, 黃石公, 尉繚, 李靖에 대하여 상세 내용을 설명 ; (6) 고대 4대 美女 중에서 貂蟬(Fiction)을 대체할 후보(班昭, 西漢 成帝皇后 趙飛燕)와 「春來不似春」 용어 최초 사용자(東方虯, 《相和歌辭 王昭君三首之三》)에 대하여 설명 ; (7) 《孟子》〈盡心下〉37.의 상세한 주석과 번역 및 狂, 獧(狷), 鄕原의 분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3 (+1) |
▣ 추천 자료
• 활동 지역 : 종로구(鍾路區)
▣ 지식창고
▶ 공개자료실
(A) 내 지식자료
Ο 지식창고작업
about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