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76강 강의교안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6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2,07,8)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76강(22,07,8) 강의 보충
 
*《論語》〈爲政〉
3. 子曰: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耻;道之以德, 齊之以禮, 有耻且格。
 
* 道 - 引導, 治理, 敎化 ;
之 - 백성 ;
政 - 법률, 행정명령 ;
齊 - 約束, 制約, 束縛 ;
刑 - 형벌 ;
免 - 잠시 범죄에서 벗어나다 ;
耻(恥) - 부끄러움(재수없으면 걸린다고 생각) ;
格 - 規矩, 제도 준수
 
* 孔子의 5美와 4惡-관리가 되어 백성을 다스릴 때 주의할 점
《論語》〈堯曰〉「子張問於孔子曰..何如斯可以從政矣?子曰..尊五美, 屏四惡, 斯可以從政矣。子張曰..何謂五美?子曰..君子惠而不費, 勞而不怨, 欲而不貪, 泰而不驕, 威而不猛。子張曰..何謂惠而不費?子曰..因民之所利而利之, 斯不亦惠而不費乎?擇可勞而勞之, 又誰怨?欲仁而得仁, 又焉貪?君子無衆寡, 無小大, 無敢慢, 斯不亦泰而不驕乎?君子正其衣冠, 尊其瞻視, 儼然人望而畏之, 斯不亦威而不猛乎?子張曰..何謂四惡?子曰..不敎而殺謂之虐;不戒視成謂之暴;慢令致期謂之賊;猶之與人也, 出納之吝謂之有司。」
 

 
1. 卒 - 갑골문, 원래는 죽은 사람의 옷을 묶어 고정시켜서 장례준비 함 ; 《說文解字》「卒, 隸人給事者衣爲卒。卒, 衣有題識者」 ; 끝나다, 《韓非子》〈解老〉「人始於生而卒於死」 ; 병졸, 《呂氏春秋》〈簡選〉「在車曰士, 步曰卒」 ; 마침내, 《史記》〈廉頗藺相如列傳〉「卒廷見相如, 畢禮而歸之」 ; 끝나다, 《論語》〈子張〉「有始有卒者, 其惟聖人乎!」
 
* 고대 군사편제—보병-伍(5人)〈營(5伍)〈團(4營)〈旅(5團)〈師(5旅)〈軍(5師) ; 차병-乘(一車四馬, 甲士三人, 步卒72人)〈隊(5乘)〈卒(10隊)〈師(2卒)
 
* 신분별 죽음의 호칭--《禮記》〈曲禮〉「天子死曰崩,諸侯死曰薨,大夫死曰卒,士曰不祿,庶人曰死。(童子死曰殤。自謙父死曰孤子,母死曰哀子,父母俱死曰孤哀子;自言父死曰失怙,母死曰失恃,父母俱死曰失怙恃。父死何謂考?考者成也,已成事業也。母死何謂妣?妣者媲也,克媲父美也......여기까지는 《幼學琼林》내용) 在床曰尸, 在棺曰柩。羽鳥曰降,四足曰漬(담글 지, 동물이 질병에 걸려 죽을)。死寇(침략방어)曰兵(烈士)」
 
2. 築 - 篆書, 원래는 담장(築墻) ; 《說文解字》「築(간체자 筑-악기이름), 搗也」 ; 건축하다, 《孟子》〈梁惠王下〉「滕文公問曰:齊人將築薛, 吾甚恐, 如之何則可?」 ; 때리다, 《西遊記》「老孫把頭伸在那里, 你且築一下兒, 看可能魂消氣泄」 ; 자르다, 《古文苑》〈王褒〉「切脯築肉」 ; 찌르다, 《三國志》〈魏志·齊王芳紀〉「大軍近在圍外, 壯士努力!賊以刀築其口, 使不得言, 像遂大呼, 令城中聞知」 ; 겹겹이 쌓다, 《左傳》宣公十一年「稱畚築, 程土物」 孔穎達疏:畚者, 盛土之器;築者, 築土之杵」 ; 악기, 원래는 악기명칭, 《說文解字》「筑, 以竹曲, 五弦之樂也。從竹從巩。巩, 持之也。竹亦聲」 ; 《急就篇》「竽瑟空侯琴筑箏。顔注:筑形如小瑟而細頸, 以竹擊之」 ; 《史記》〈高祖本紀〉「高祖還歸, 過沛, 留。置酒沛宮, 悉召故人父老子弟縱酒, 發沛中兒得百二十人, 敎之歌。酒酣, 高祖擊筑, 自爲歌詩曰:大風起兮雲飛揚, 威加海内兮歸故鄕, 安得猛士兮守四方!令兒皆和習之」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동양고전 제277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6강 강의교안
• 동양고전 제274강 강의교안
(2023.11.04. 11:03)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