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단가(短歌)란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소리하는 이의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짧은 노래를 말한다.
◈ 지식지도 관계
판소리 단가 (--- 短歌) 국악 (國樂) 판소리 가사 (歌詞) 가야금 (伽倻琴) 거문고 농악 (農樂) 당악 (唐樂) 동편제 (東便制) 무악 (巫樂) 민요 (民謠) 산조 (散調) 서편제 (西便制) 속악 (俗樂) 시조 (時調) 아악 (雅樂) 장가 (長歌) 중고제 (中高制) 향악 (鄕樂) 가실왕 (嘉悉王) 고수관 (高壽寬) 왕산악 (王山岳) 우륵 (于勒) 김찬업 (金贊業) 정춘풍 (鄭春風) 주덕기 (朱德基) 김계철 (金啓喆) 신만엽 (申萬葉) 염계달 (廉季達) 모흥갑 (牟興甲) 1378 박연 (朴堧) 1772 권삼득 (權三得) 1801 송흥록 1819 이날치 (李捺致) 1835 박유전 (朴裕全) 1847 정창업 (丁昌業) 1906 박녹주 (朴錄珠) 1907 김연수 (金演洙) 1916 박초월 (朴初月) 1917 김소희 (金素姬) 19C중 박만순 (朴萬順) 19C초 송우룡 (宋雨龍) 19C초 김세종 (金世宗) 강릉 매화 타령 변강쇠타령 (----打令) 수궁가 (水宮歌) 심청가 (沈淸歌) 옹고집 타령 적벽가 (赤壁歌) 춘향가 (春香歌) 흥부가 (興夫歌)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34 작품) [모두보기]
초한가 楚漢歌 판소리 / 가면극 (216) 광대가 廣大歌 가사 신재효 (81) 적벽부 赤壁賦 판소리 / 가면극 (36) 호남가 湖南歌 판소리 / 가면극 (30) 명기명창 名妓名唱 판소리 / 가면극 임방울 (29) 괘씸한 서양 되놈 판소리 / 가면극 신재효(申在孝) (23) 추월만정 秋月滿庭 판소리 / 가면극 (20) 장부한 丈夫恨 판소리 / 가면극 (17) 장부가 丈夫歌 판소리 / 가면극 (17) 백발가 白髮歌 판소리 / 가면극 (16) 역려가 逆旅歌 판소리 / 가면극 (15) 짝타령 - 打令 판소리 / 가면극 (14)
 
◈ 최근등록순
2019.07.18
【--】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단가(短歌)의 하나. 조선조 말기에 생긴 것으로 보이는 곡으로 민족항일기에 가장 많이 불린 곡 중 하나이다. ‘만고강산’이라는 곡명은 첫머리의 “만고강산 유람할제”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