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사노친곡 (思老親曲) ◈
해설   본문  
1679년
이담명
작자가 유배지인 진도에서 노모를 그리워하며 지은 연시조. 창작 연도는 불분명함.
목   차
[숨기기]
1
노사친곡 12장 (思老親曲十二章)
2
이담명(李聃命)
 
 
 

1. 제1수

 
4
봄은 오고 또 오고 풀은 푸르고 또 푸르네
5
나도 이 봄 오고 이 풀 푸른 것 같이
6
어느날 고향(故鄕)에 돌아가 노모(老母)께 뵈오려뇨
 
 
 

2. 제2수

 
8
친년(親年)은 칠십오 세요 영로(嶺路)는 수천리(數千里)오
9
돌아갈 기약(期約)은 갈수록 아득하다
10
아마도 잠 없는 중야(中夜)에 눈물 겨워 셜워라
 
 
 

3. 제3수

 
12
길이 머다 하다 나면 아니 가랴 터냐
13
말이 파려하다 타면 아니 례랴 터냐
14
가고 난 후(後) 면 노모귀령(老母歸寧) 할일일까
15
천진우위(遄臻于衛)언마는
16
불하유해(不瑕有害)라 이를 저퍼 하노라.
 
 
 

4. 제4수

 
18
적리광음(謫裡光陰)은 사년(四年)이 벌써 되고
19
천외가향(天外家鄕)은 만리(萬里)에 가득하니
20
몸이 못 가거든 기별(奇別)이나 들으려고
21
아무리 착기첨망(陟屺瞻望)을 말라 한들 어떨런가
 
 
 

5. 제5수

 
23
임행밀밀봉(臨行密密縫) 의공지지귀(意恐遲遲歸)
24
난장촌초심(難將寸草心) 보득삼춘휘(報得三春暉)
25
인정(人情)이 간절(懇切)하니 귀신(鬼神)인들 아니 울까
26
지금의 이 시 이 뜻은 읊을수록 슬프이라
 
 
 

6. 제6수

 
28
기러기 아니 나니 편지(片紙)를 뉘 전(傳)하리
29
시름이 가득하니 꿈인들 이룰손가
30
매일(每日)의 노친(老親) 얼굴이 눈에 삼삼(森森)하여라
 
 
 

7. 제7수

 
32
동산(東山)의 올라 보니 고국(故國)도 멀셔이고
33
태행(太行)이 어드메오 구름이 머흘레라
34
갈수록 애일촌심(愛日寸心)이 여임심연(如臨深淵)하여라
 
 
 

8. 제8수

 
36
천애절역(天涯絶域)의 새 해를 네 번 보니
37
촌초심정(寸草心情)은 니라도 말려니와
38
아마도 학발(鶴髮) 의려(倚閭)를 어이하야 위로(慰勞)할꼬
 
 
 

9. 제9수

 
40
유난사죄난의질(有難赦罪難醫疾)
41
위불충신불효남(爲不忠臣不孝男)
42
소제(蘇齋) 이 구절을 어제부터 볼쟉시면
43
남이 아니라 나를 이른 말 이로쇠
 
 
 

10. 제10수

 
45
내 죄(罪)를 아옵거니 유찬(流竄)이 박벌(薄罰)이라
46
도처(致處) 성은(聖恩)을 어이하야 갚사올꼬
47
노친(老親)도 풀러 헤시고 하 그려 마옵소셔
 
 
 

11. 제11수

 
49
하늘이 높으시나 낮은데를 들어시네
50
일월(日月)이 가까우샤 하토(下土)의 비추시네
51
아마리타 우리 모자지정(母子之情)을 살피실제 없사오랴.
 
 
 

12. 제12수

 
53
까치 울거나 거미 내리거나 燈火(등화) 켜지거나
54
(중장 빠짐)
55
아마도 반가운 기별(奇別)을 어느 때에 들으려뇨
【원문】사노친곡 (思老親曲)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시조〕
▪ 분류 : 시조
▪ 최근 3개월 조회수 : 164
- 전체 순위 : 449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20 위 / 82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공부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사노친곡 [제목]
 
  이담명(李聃命) [저자]
 
  1679년 [발표]
 
  시조(時調) [분류]
 
  연시조(連時調)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시조 해설   본문   한글(고어)  한글 
◈ 사노친곡 (思老親曲)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2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