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詩經(시경)》 『小雅(소아)』 彤弓之什 (동궁지십)
 

1. 采芑(채기) / 고들빼기 캐기

 
2
薄言采芑, 于彼新田, 于此菑畝. (박언채기, 우피신전, 우차치무)
3
고들빼기를 캔다, 재 작년 새로 만든 더 밭에서, 작년에 새로 마든 밭에서 캔다
4
方叔涖止, 其車三千, 師干之試. (방숙리지, 기차삼천, 사간지시)
5
방숙님 오실 때, 그 수레 삼천이고, 군사와 무기를 살피신다
6
方叔率止, 乘其四騏, 四騏翼翼. (방숙솔지, 승기사기, 사기익익)
7
방숙님 이를 이끄시어, 네 필 말을 타시니, 네 필은 나란히 달리는구나
8
路車有奭, 簟笰魚服, 鉤膺鞗革. (로차유석, 점불어복, 구응조혁)
9
제후의 수레에 붉은 색, 대자리 덮개와 물개 가죽 전대, 말의 배에 두른 쇠고리 고삐 끝엔 쇠장식이로다
10
薄言采芑, 于彼新田, 于此中鄉. (박언채기, 우피신전, 우차중향)
11
고들빼기를 캔다, 재 작년 새로 만든 더 밭에서, 마을 가운데 이곳에서 캔다
12
方叔涖止, 其車三千, 旂旐央央. (방숙리지, 기차삼천, 기조앙앙)
13
방숙님 오실 때, 그 수레 삼천이고, 교룡, 거북, 뱀 그린 깃발 뚜렷도하다
14
方叔率止, 約軝錯衡, 八鸞瑲瑲. (방숙솔지, 약기착형, 팔란창창)
15
방숙님은 이끄시니, 붉은 가죽 바퀴통과 무늬 새긴 앞턱나무, 여덟 개 말방울 짤랑짤랑
16
服其命服, 朱芾斯皇, 有瑲蔥珩. (복기명복, 주불사황, 유창총형)
17
천자께서 주신 옷 입고, 붉은 폐슬 반짝이며, 푸른 구슬 짤랑거린다
18
鴥彼飛隼, 其飛戾天, 亦集爰止. (율피비준, 기비려천, 역집원지)
19
훨훨나는 새매가, 하늘에 닿을 듯 날아올라, 나무에 모여 앉는구나
20
方叔涖止, 其車三千, 師干之試. (방숙리지, 기차삼천, 사간지시)
21
방숙님 오실 때, 그 수레 삼천이고, 군사와 무기를 살피신다
22
方叔率止, 鉦人伐鼓, 陳師鞠旅. (방숙솔지, 정인벌고, 진사국려)
23
방숙님은 이끄시고, 정을 치는 군사는 북을 울려, 군사를 훈련하고 출동 연습한다
24
顯允方叔, 伐鼓淵淵, 振旅闐闐. (현윤방숙, 벌고연연, 진려전전)
25
밝고 진실한 방숙님, 북소리 둥둥, 소리 맞춰 부대를 정렬시키는구나
26
蠢爾蠻荊, 大邦爲讎. (준이만형, 대방위수)
27
어리석은 형만의 오랑캐, 큰 나라 원수삼는데
28
方叔元老, 克壯其猶. (방숙원로, 극장기유)
29
방숙임이 늙으셨도다, 훌륭하다, 그 전략
30
方叔率止, 執訊獲醜. (방숙솔지, 집신획추)
31
방숙님이 이끄시어, 그 첩자 사로잡고 악인을 사로잡으신다
32
戎車嘽嘽, 嘽嘽焞焞, 如霆如雷. (융차탄탄, 탄탄돈돈, 여정여뢰)
33
수레는 덜거덩 덜거덩, 우루르 쾅쾅 요하여, 번개치듯 처둥치듯 하는구나
34
顯允方叔, 征伐玁狁, 蠻荊來威. (현윤방숙, 정벌험윤, 만형래위)
35
밝고 진실하신 방숙님, 험윤의 오랑캐를 치시니, 형만의 오랑캐 왕도 위엄에 두려워하는구나
【원문】采芑(채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시〕
▪ 분류 :
- 통계자료 없음 -
( 신규 )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동양문학 > 카탈로그   본문   한글 
◈ 采芑(채기)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