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광화사(狂畵師) ◈
해설   본문  
김동인
1
인왕(仁王)―.
 
2
바위 위에 잔솔이 서고 잔솔 아래는 이끼가 빛을 자랑한다.
 
3
굽어보니 바위 아래는 몇 포기 난초가 노란 꽃을 벌리고 있다. 바위에 부딪치는 잔 바람에 너울거리는 난초잎.
 
4
여(余)는 허리를 굽히고 스틱으로 아래를 휘저어 보았다. 그러나 아직 난초에서는 사오 척의 거리가 있다. 눈을 옮기면 계곡(溪谷).
 
5
전면이 소나무의 잎으로 덮인 계곡이다, 틈틈이는 철색(鐵色)의 바위도 보이기는 하나, 나무 밑의 땅은 볼 길이 없다. 만약 여로서 그 자리에 한 번 넘어지면 소나무의 잎 위로 굴러서 저편 어디인지 모를 골짜기까지 떨어질 듯하다.
 
6
여의 등뒤에도 이삼 장(丈)이 넘는 바위다. 그 바위에 올라서면 무학(舞鶴)재로 통한 커다란 골짜기가 나타날 것이다. 여의 발 아래도 장여(丈餘)의 바위다. 아래는 몇 포기 난초, 또 그 아래는 두세 그루의 잔솔, 잔솔 넘어서는 또 바위, 바위 위에는 도라지꽃, 그 바위 아래로부터는 가파른 계곡이다. 그 계곡이 끝나는 곳에는 소나무 위로 비로소 경성 시가의 한편 모퉁이가 보인다. 길에는 자동차의 왕래도 까막하게 보이기는 한다. 여전한 분요와 소란의 세계는 그곳에 역시 전개되어 있기는 할 것이다.
 
7
그러나 여가 지금 서 있는 곳은 심산이다. 심산이 가져야 할 온갖 조건을 구비하였다.
 
8
바람이 일고 암굴이 있고 산초, 산화가 있고 계곡이 있고 샘물이 있고 절벽이 있고 난송(亂松)이 있고…… 말하자면 심산이 가져야 할 유수미(幽邃美)를 다 구비하였다.
 
9
본시는 이 도회는 심산 중의 한 계곡이었다. 그곳을 오백 년간을 닦고 갈고 지어서 오늘날의 경성부를 이룬 것이었다. 이러한 협곡에 국도(國都)를 창건한 이태조의 본의가 어디 있었는지 알 길이 없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 산보객(散步客)의 자리에서 보자면, 서울은 세계에 유례(類例)가 없는 미도(美都)일 것이다.
 
10
도회에 거주하며 식후의 산보로서 푸대님 채로 이러한 유수(幽邃)한 심산에 들어갈 수 있다 하는 점으로 보아서 서울에 비길 도회가 세계에 어디 다시 있으랴.
 
11
회흑색(灰黑色)의 지붕 아래 고요히 누워 있는 오백 년의 도시를 눈 아래 굽어보는 여의 사위에는 온갖 고산 식물이 난성(亂盛)하고, 계곡에 흐르는 물소리와 눈 아래 날아드는 기조(奇鳥)들은 완연히 여로 하여금 등산객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
 
12
여는 스틱을 바위 틈에 꽂아 놓았다. 그리고 굴러 떨어지기를 면키 위하여 바위와 잔솔의 새에 자리잡고 비스듬히 앉았다. 담배를 피우고 싶었으나 잠시의 산보로 여기고 담배도 안 가지고 나온 발이 더듬더듬 여기까지 미쳤으므로 담배도 없다.
 
13
시야(視野)의 한편에는 이삼 장(丈)의 바위. 다른 한편에는 푸르른 하늘, 그 끝으로는 솔잎이 서너 개 어렴풋이 보인다. 그윽히 코로 몰려들어 오는 송진 내음새, 소나무에 불리는 바람소리….
 
14
유수(幽邃)키 짝이 없다. 여가 지금 앉아 있는 자리는 개벽 이래로 과연 몇 사람이나 밟아 보았을까? 아까 바위를 기어서 이곳까지 올라오느라고 애쓰던 그런 맹랑한 노력을 하여 본 바보가 여 이외에 몇 사람이 있었을까? 그런 모험을 맛보기 위하여 심산을 찾은 용사(勇士)는 많을 것이로되 결사적으로 인왕 등산을 한 사람은 그리 많으리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15
등 뒤 바위에는 암굴이 있다.
 
16
배암이라도 있을까 무서워서 들어가 보지는 않았지만, 스틱으로 휘저어 본 결과로 세 사람은 넉넉히 들어가 앉아 있음직하다.
 
17
이 암굴은 무엇에 이용할 수가 없을까?
 
18
음모(陰謀)의 도시 한양은 그새 오백 년간 별별 음흉한 사건이 연출되었다. 시가 끝에서 반시간 미만에 넉넉히 올 수 있는 이런 가까운 거리에 뚫린 암굴은, 있는 줄 알기만 하였으면 혹은 음모에 이용되지 않을까?
 

 
19
공상!
 
20
유수(幽邃)한 맛에 젖어 있던 여는 이 암굴 때문에 차차 불쾌한 공상에 빠지기 시작하려 한다.
 
21
온갖 음모, 그 뒤를 잇는 살육, 모함, 방축, 이조 오백 년간의 추악한 모양이 여로 하여금 불쾌한 공상에 빠지게 하려 한다.
 
22
여는 황망히 이런 불쾌한 공상에서 벗어나려고 또 주머니에서 담배를 뒤지었다. 그러나 담배는 여전히 있을 까닭이 없었다.
 
23
다시 눈을 들어서 안하를 굽어보면 일면에 깔린 송초(松梢)….
 
24
반짝!
 
25
보매 한줄기의 샘이다.
 
26
소나무 틈으로 보이는 그 샘은 아마 바위틈을 흐르는 샘물인 듯, 똘똘똘똘 들리는 것은 아마 바람 소리겠지. 저렇듯 멀리 아래 있는 샘의 소리가 이곳까지 들릴 리가 없다.
 

 
27
샘물!
 
28
저 샘물을 두고 한 개 이야기를 꾸미어 볼 수가 없을까? 흐르는 모양도 아름답거니와 흐르는 소리도 아름답고 그 맛도 아름다운, 샘물을 두고 한 개 재미있는 이야기가 여의 머리에 생겨나지 않을까? 암굴을 두고 생겨나려던 음모 살육의 불쾌한 공상보다 좀더 아름다운 다른 이야기가 꾸며지지 않을까?
 
29
여는 바위틈에 꽂았던 스틱을 도로 뽑았다. 그 스틱으로서 여의 발아래 바위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한 개 이야기를 꾸며 보았다.
 
30

 
31
한 화공(畵工)이 있다 ― 화공의 이름은?
 
32
지어내기가 귀찮으니 신라 때의 화성(畵聖)의 이름을 차용하여 솔거(率居)라 하여 두자 ― 시대는?
 
33
시대는 이 안하(眼下)에 보이는 도시가 가장 활기 있고 아름답던 시절인 세종 성주의 대쯤으로 하여 둘까?
 
34
백악이 흘러내리다가 맺힌 곳, 거기는 한양의 정기를 한 몸에 지닌 경복궁 대궐이 있다. 이 대궐의 북문인 신무문(神武門) 밖 우거진 뽕밭 새에 중로(中老)의 사나이가 고뇌스러운 얼굴을 하고 숨어 있다.
 
35
화공 솔거였다.
 
36
무르익은 여름 뜨거운 볕은 뽕잎이 가리워 준다. 하나, 훈훈한 기운은 머리 위 뽕잎과 땅에서 우러나서 꽤 무더운 이 뽕밭 속에 숨어 있는 화공. 자그마한 보따리에는 점심까지 싸 가지고 온 것으로 보아서 저녁까지 이곳에 있을 셈인 모양이다.
 
37
그러나 무얼 하는지? 단지 땀을 펑펑 흘리며 오뇌스러운 얼굴로 앉아 있을 뿐이다.
 
38
왕후 친잠(王后親蠶)에 쓰이는 이 뽕밭은 잡인들이 다니지 못할 곳이다. 하루 종일을 사람의 그림자 하나 얼씬하지 않는다.
 
39
때때로 바람이 우수수하니 뽕나무 위로 불기는 하나, 솔거가 숨어있는 곳에는 한 점의 바람도 들어오지 않는다. 이 무더운 속에 솔거는 바람이 불 적마다 몸을 흠칫흠칫 놀라며 그러면서도 무엇을 기다리는 듯이 뽕나무 그루 아래로 저편 앞을 주시(注視)하곤 한다.
 
40
이윽고 석양이 무악을 넘고 이 도시도 황혼이 들었다. 날이 어둡기를 기다려서 이 화공은 몸을 숨겨 가지고 거기서 나왔다.
 
41
"오늘은 헛길. 내일이나 다시 와 볼까?"
 
42
한숨을 쉬면서 제 오막살이를 찾아가는 화공.
 
43
날이 벌써 꽤 어두웠지만 그래도 아직 저녁 빛이 약간 남은 곳에 내어놓은 이 화공은 세상에 보기 드문 추악한 얼굴의 주인이었다.
 
44
코가 질병자루 같다. 눈이 통방울 같다. 귀가 반죽 같다. 입이 나발통 같다. 얼굴이 두꺼비 같다 ― 소위 추한 얼굴을 형용하는 온갖 형용사를 한 얼굴에 지닌 흉한 얼굴의 주인으로서, 그 얼굴이 또한 굉장히도 커서 멀리서 볼지라도 그 존재가 완연하리만 하다.
 
45
이 얼굴을 가지고는 백주에는 나다니기가 스스로 부끄러울 것이다.
 

 
46
아닌 게 아니라, 솔거는 철이 들은 이래 아직껏 백주에 사람 틈에 나다닌 일이 없었다.
 
47
일찍이 열 여섯 살에 스승의 중매로서 어떤 양가 처녀와 결혼을 하였지만, 그 처녀는 솔거의 얼굴을 보고 기절을 하고 기절에서 깨어나서는 그냥 집으로 도망쳐 버리고, 그 다음에 또 한 번 장가를 들어보았지만, 그 색시 역시 첫날밤만 정신 모르고 치른 뒤에는 이튿날은 무서워서 죽어도 같이 못살겠노라고 부모에게 떼를 써서 두 번째의 비극을 겪고….
 
48
이러한 두 가지의 사변을 겪고 난 뒤에는 솔거는 차차 여인이라는 것을 보기를 피하여 오다가, 그 괴벽이 점점 자라서 나중에는 일체로 사람이란 것의 얼굴을 대하기가 싫어졌다.
 
49
사람을 피하기 위하여 ― 그리고 또한 일방으로는 화도(畵道)에 정진하기 위하여 인가를 떠나서 백악의 숲 속에 조그만 오막살이를 하나 틀고 거기 숨은 지 근 삼십 년, 생활에 필요한 물건 혹은 그림에 필요한 물건을 구하기 위하여 부득이 거리에 나가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반드시 밤을 택하였다. 피할 수 없어 낮에 나갈 때는 방립을 쓰고 그 위에 얼굴을 베로 가리었다.
 
50
화도(畵道)에 발을 들여놓은 지 근 삼십 년, 여인에게로 '소모되지 못한' 정력은 머리로 모이고 머리로 모인 정력은 손끝으로 뻗어서 종이에 비단에 갈겨 던진 그림이 벌써 수천 점. 처음에는 그 그림에 대하여 아무 불만도 느껴보지 않았다.
 
51
하늘에서 타고난 천분과 스승에게서 얻은 훈련과 저축된 정력의 소산인 한 장의 그림이 생겨날 때마다 그것을 보면서 스스로 만족히 여기고 스스로 자랑스러이 여기던 그였다.
 
52
그러나 그런 과정을 밟기 이십 년에 차차 그의 마음에 움돋은 불만, 그것은 어떻게 보자면 화도에는 이단적인 생각일는지도 모를 것이다.
 
53
좀 다른 것은 그릴 수가 없는가.
 
54
산이다. 바다다. 나무다. 시내다. 지팡이 잡은 노인이다. 다리다. 혹은 돛단배다. 꽃이다. 과 즉 달이다. 소다. 목동이다.
 
55
이밖에 그가 아직 그려본 것이 무엇이었던가?
 
56
유원(幽遠)한 맛, 단 한 가지밖에 없는 전통적 그림보다 좀더 다른 것을 그려보고 싶다.
 
57
아직껏 스승에게 배운 바의 백발백염의 노옹이나 피리 부는 목동 이외에 좀더 얼굴에 움직임이 있는 사람을 그려보고 싶다. 표정이 있는 얼굴을 그려보고 싶다.
 
58
이리하여 재래의 수법을 아낌없이 내어 던진 솔거는 그로부터 십 년간을 사람의 표정을 그리노라고 세월을 보냈다. 그러나 사람의 세상을 멀리 떠나서 따로이 사는 이 화공에게는 사람의 표정이 기억에 까맣다.
 
59
상인(商人)들의 간특한 얼굴, 행인들의 덜민 무표정한 얼굴, 새꾼들의 싱거운 얼굴 ― 그새 보고 지금도 대할 수 있는 얼굴은 이런 따위뿐이다. 좀더 색채 다른 표정은 없느냐?
 
60
색채 다른 표정!
 
61
색채 다른 표정!
 
62
이 욕망이 화공의 마음에 익고 커 가는 동안, 화공의 머리에 솟아오르는 몽롱한 기억이 있다.
 
63
이 화공의 어머니의 표정이다.
 
64
지금은 거의 그의 기억에서 사라졌지만, 어린 시절에 자기를 품에 안고 눈물 글썽글썽한 눈으로 굽어보던 어머니의 표정이 가끔 한 순간씩 그의 기억의 표면까지 뛰쳐 올랐다.
 
65
그의 어머니는 희세의 미녀(美女)였다. 대대로 이후의 자손의 미(美)까지 모두 미리 빼앗았든지 세상에 드문 미인이었다.
 
66
화공은 이 미녀의 유복자였다.
 
67
아비 없는 자식을 가슴에 붙안고 눈물 머금은 눈으로 굽어보던 표정.
 
68
철이 들은 이래로 자기를 보는 얼굴에게는 모두 경악(驚愕)과 공포밖에는 발견하지 못한 이 화공에게는 사십여 년 전의 어머니의 사랑의 아름다운 얼굴이 때때로 몸서리치도록 그리웠다.
 
69
그것을 그려보고 싶었다.
 
70
커다란 눈에 그득히 담긴 눈물. 그러면서도 동경과 애무로서 빛나던 눈. 입가에 떠오르던 미소.
 
71
번개와 같이 순간적으로 심안(心眼)에 나타났다가는 사라지는 이 환영을 화공은 그려보고 싶었다.
 
72
세상을 피하고 세상에서 숨어살기 때문에 차차 비뚤어진 이 화공의 괴벽한 마음에는, 세상을 그리는 정열이 또한 그만치 컸다. 그리고 그것이 크면 크니 만치 마음 속에는 늘 울분과 불만이 차 있었다.
 
73
지금도 세상에서는 한창 계집 사내들이 서로 부둥켜안고 좋다고 야단할 것을 생각하고는 음울한 얼굴로 화필을 뿌리는 화공.
 
74
이러한 가운데서 나날이 괴벽하여가는 이 화공은 한 개 미녀상(美女像)을 그려보고자 노심하였다.
 

 
75
처음에는 단지 아름다운 표정을 가진 미녀를 그려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녀를 가까이 본 일이 없는 이 화공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 붓끝에 역정을 내며 애쓰는 동안 차차 어느 덧 미녀상에 대한 관념이 달라갔다.
 
76
자기의 아내로서의 미녀상을 그려 보고 싶어졌다.
 
77
세상은 자기에게 아내를 주지 않는다.
 
78
보면 한 마리의 곤충, 한 마리의 날짐승도, 각기 짝을 찾아 즐기고 짝을 좋아하거늘, 만물의 영장인 사람이 짝 없이 오십 년을 보냈다 하는데 대한 분만이 일어났다.
 
79
세상 놈들은 자기에게 한 짝을 주지 않고 세상 계집들은 자기에게 오려는 자가 없이 홀몸으로 일생을 보내다가 언제 죽는지도 모르게 이 산골에서 죽어 버릴 생각을 하면 한심하기보다 도리어 이렇듯 박정한 사람의 세상이 미웠다.
 
80
세상이 주지 않는 아내를 자기는 자기의 붓끝으로 만들어서 세상을 비웃어 주리라.
 
81
이 세상에 존재한 가장 아름다운 계집보다도 더 아름다운 계집을 자기의 붓끝으로 그려서 못나고도 아름다운 체하는 세상 계집들을 웃어 주리라.
 
82
사오 명의 처첩을 거느리고 좋다 꾸나고 춤추는 헌 놈들도 굽어 보아 주리라.
 
83
미녀! 미녀!
 
84
― 눈을 감고 생각하고 눈을 뜨고 생각하고 머리를 움켜쥐고 생각해 보나, 미녀의 얼굴이 어떤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85
물론 얼굴에 철요가 없고 이목구비가 제대로 놓였으면 세상 보통의 미인이라 한다. 그런 얼굴에 연지나 그리고 눈에 미소나 그려 넣으면 더 아름다워지기는 할 것이다. 이만한 것은 상상의 눈으로도 볼 수가 있는 자며 붓끝으로 그릴 수도 없는 바가 아니다.
 
86
그러나 가만 어린 시절의 어머니의 얼굴을 순영적(瞬影的)으로나마 기억하는 이 화공으로서는 그런 미녀로는 만족할 수가 없었다.
 
87
오뇌와 분만 중에서 흐르는 세월은 일년 또 일년, 무위히 흘러간다.
 
88

 
89
미녀의 아랫둥이는 그려진 지 벌써 수 년, 그 아랫둥이 위에 올려 놓일 얼굴은 어떻게 하여 할지 짐작도 가지 않았다.
 
90
화공의 오막살이 방안에 들어서면 맞은 편에 걸려있는 한 폭 그림은 언제든 어서 목과 얼굴을 그려 주기를 기다리듯이 화공을 힐책한다.
 
91
화공은 이것을 보기가 거북하였다.
 
92
특별한 일이라도 있기 전에는 낮에 거리에 다니지를 않던 이 화공이 흔히 얼굴을 싸매고 장안을 돌아다녔다.
 
93
행여나 길에서라도 미녀를 만날까 하는 요행심으로였다. 길에서 순간적으로라도 마음에 드는 미녀를 볼 수만 있으면 그것을 머리에 똑똑히 캐치하여 그 기억으로서 화상을 그릴까 하는 요행심으로….
 
94
그러나 내외법이 심한 이 도회에서 대낮에 양가의 부녀가 얼굴을 내놓고 길을 다니지 않았다. 계집이라는 것은 하인배나 하류배뿐이었다.
 
95
하인배, 하류배에도 때때로 미녀라 일컬을 자가 있기는 있었다. 그러나 아무리 산뜻한 미를 갖기는 했다 하나 얼굴에 흐르는 표정이 더럽고 비열하여 캐치할 만한 자가 없었다.
 
96
얼굴을 싸매고 거리고 방황하며 혹은 계집들이 많이 모이는 우물가며 저자를 비슬비슬 방황하며 어찌어찌하여 약간 예쁜 듯한 계집이라도 보이면 따라가면서 얼굴을 연구해 보고했으나, 마음에 드는 미녀를 지금껏 얻어내지를 못하였다.
 

 
97
혹은 심규(深閨)에는 마음에 드는 계집이라도 있을까? 심규! 심규! 한 번 심규의 계집들을 모조리 눈앞에 벌여 세우고 얼굴 검사를 하여 보았으면….
 
98
초조하고 성가신 가운데서 날을 보내고 날을 맞으면서 미녀를 구하던 화공은, 마지막 수단으로 침잠상원(沈潛桑園)에 들어가서 채상(採桑)하는 궁녀의 얼굴을 얻어 보려 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화공의 모험도 헛길로 돌아가고 그날은 채상을 하러 오지 않았다.
 
99
그러나 때 바야흐로 누에 시절이라 길만성 있게 기다리노라면 궁녀가 오는 날도 있을 것이다. 미녀― 아내의 얼굴을 그리려는 욕망에 열이 오르고 독이 난 이 화공은 그 이튿날도 또 뽕밭에 들어가 숨었다. 숨어 기다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100
그로부터 한 달, 화공은 나날이 점심을 싸 가지고 상원(桑園)으로 갔다. 그러나 저녁때 제 오막살이로 돌아올 때는 언제나 그의 입에서는 기다란 탄식성이 나왔다.
 
101
궁녀를 못 본 바가 아니었다.
 
102
마치 여기 숨어있는 화공에게 선 보이려는 듯이 나날이 궁녀들은 번갈아 왔다. 한 떼씩 밀려와서는 옷소매 치맛자락을 펄럭이며 뽕을 따갔다. 한 달 동안에 합계 사오십 명의 궁녀를 보았다.
 
103
모두 일률로 미녀들이었다. 그리고 길가 우물가에서 허투로 볼 수 있는 미녀들보다 고아(高雅)한 얼굴에는 틀림이 없었다.
 
104
그러나 그 눈 ― 화공의 보는 바는 눈이었다.
 
105
그 눈에 나타난 애무와 동경이었다. 철철 넘쳐흐르는 사랑이었다. 그것이 궁녀에게는 없었다. 말하자면 세상 보통의 미녀였다.
 
106
자기에게 계집을 주지 않는 고약한 세상에 대해 보복하는 의미로 절세의 미녀를 차지하고자 하는 이 화공의 커다란 야심으로서는 그만 따위의 미녀로 만족할 수가 없었다.
 
107
오막살이로 돌아올 때마다 그의 입에서 나오는 기다란 한숨, 이런 한숨을 쉬기 한 달 ― 그는 다시 상원에 가지 않았다.
 
108
가을 하늘 맑고 푸르른 어떤 날이었다.
 
109
마음속에 분만과 동경을 가득히 담은 이 화공은 저녁쌀을 씻으려 소쿠리를 옆에 끼고 시내로 더듬어 갔다.
 
110
가다가 문득 발을 멈추었다.
 
111
우거진 소나무 틈으로 보이는 시냇가 바위 위에 웬 처녀가 하나 앉아 있다. 솔거가 틈으로 내리비치는 얼룩지는 석양을 받고 망연히 앉아서 흐르는 시냇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112
웬 처녀일까?
 
113
인가에서 꽤 떨어진 이곳, 사람의 동리보다 꽤 높은 이곳, 길도 없는 이곳 ― 아직껏 삼십 년간을 때때로 초부나 목동의 방문은 받아 본 일이 있지만 다름 사람의 자취를 받아보지 못한 이곳에 웬 처녀일까?
 
114
화공도 망연히 서서 바라보았다. 바라볼 동안 가슴에 차차 무거운 긴장을 느꼈다.
 
115
한 걸음 두 걸음 화공은 발소리를 감추고 나아갔다. 차차 그 상거가 가까워 감을 따라서 분명하여 가는 처녀의 얼굴 ― 화공의 얼굴에는 피가 떠올랐다.
 
116
세상에 드문 미녀였다. 나이는 열 일여덟, 그 얼굴 생김이 아름답다기보다 얼굴 전면에 나타난 표정이 놀랄 만치 아름다웠다.
 
117
흐르는 시내에 눈을 부었는지 귀를 기울였는지, 하여간 처녀의 온 주의력은 시내에 모여 있다. 커다랗게 뜨인 눈은 깜박일 줄도 잊은 듯이, 황홀한 눈으로 시내를 굽어보고 있다.
 
118
남벽(藍碧)의 시냇물에는 용궁(龍宮)이 보이는가? 소나무 그루에 부딪쳐서 튀어 나는 바람에 앞머리를 약간 날리면서 처녀가 굽어보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119
처녀의 온 공상과 정열과 환희가 한꺼번에 모인 절묘한 미소를 눈과 입에 띠고 일심불란히 처녀가 굽어보는 것은 무엇인가?
 

 
120
아아!
 
121
화공은 드디어 발견하였다. 그 새 십 년간을 여항의 길거리에서, 혹은 우물가에서, 내지는 친잠상원에서 발견하여 보려고 애쓰다가 종내 달하지 못한 놀랄 만한 아름다운 표정을 화공은 뜻 안한 여기서 발견하였다.
 
122
화공은 걸음을 빨리 하였다. 자기의 얼굴이 얼마나 더럽게 생겼는지, 이 처녀가 자기를 쳐다보면 얼마나 놀랄지, 이 점을 온전히 잊고 걸음을 빨리 하여 처녀의 쪽으로 갔다.
 
123
처녀는 화공의 발소리에 머리를 번쩍 들었다. 화공을 바라보았다. 그 무한히 먼 곳을 바라보는 듯한 기묘한 눈을 들어서,
 
124
"아…."
 
125
가슴이 무득하여 무슨 말을 하여야 할지 망설이며 화공이 반벙어리 같은 소리를 할 때에 처녀가 먼저 입을 열었다.
 
126
"여기가 어디오니까?"
 
127
여기가 어디?
 
128
"여기는 인왕산록 이름도 없는 산이지만 너는 웬 색시냐?"
 
129
"네…."
 
130
문득 떠오르는 적적한 표정.
 
131
"더듬더듬 시내를 따라왔습니다."
 
132
화공은 머리를 기울였다. 몸을 움직여 보았다. 무한히 먼 곳을 바라보는 듯한 처녀의 눈은 그냥 움직임 없이 커다랗게 띄어 있기는 하지만, 어디를 보는지 무엇을 보는지 알 수가 없다.
 
133
드디어 화공은 부르짖었다.
 
134
"너 앞이 보이느냐?"
 
135
"소경이올씨다."
 
136
소경이었다. 눈물 머금은 소리로 하는 이 대답을 듣고 화공은 좀 더 가까이 갔다.
 
137
"앞도 못 보면서 어떻게 무얼 하러 예까지 왔느냐?"
 
138
처녀는 머리를 푹 수그렸다. 무슨 대답을 하는 듯하였으나 화공은 알아듣지 못하였다. 그러나 화공으로 하여금 저으기 호기심을 잃게 한 것은 처녀의 얼굴에 아까와 같은 놀라운 매력 있는 표정이 없어진 것이었다.
 
139
그만하면 보기 드문 미인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아까 화공이 그렇듯 놀란 것은 단지 미인인 탓이 아니었다. 그 얼굴에 나타난 놀라운 매력에 끌린 것이었다.
 
140
"불쌍도 하지. 저녁도 가까워오는데 어둡기 전에 집으로 내려가거라."
 
141
이만치 하여 화공은 처녀를 포기하려 하였다. 이 말에 처녀가 응하였다.
 
142

 
143
"어두운 것은 탓하지 않습니다만은 황혼은 매우 아름답다지요?"
 
144
"그럼 아름답구 말구."
 
145
"어떻게 아름답습니까?"
 
146
"황금빛이 서산에서 줄기줄기 비치는 구나. 거기 새빨갛게 물든 천하 ― 푸르른 소나무도 남빛 바위도 검붉은 나무그루도 모두 황금빛에 잠겨서 ……."
 
147
"황금빛은 어떤 것이고 새빨간 빛과 붉은 빛이며 남빛은 모두 어떤 빛이오니까? 밝은 세상이라지만 밝은 빛과 붉은 빛이 어떻게 다릅니까? 이 산 경치가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더듬어 왔습니다마는 바람 소리, 동물 소리, 귀로 들리는 소리밖에는 어디가 아름다운지 알 수가 없습니다."
 
148
차차 다시 나타나는 미묘한 표정, 커다랗게 띄운 눈에 비치는 동경의 물결, 일단 사라졌던 아름다운 표정은 다시 생기기 비롯하였다.
 
149
화공은 드디어 처녀의 맞은편에 가 앉았다.
 
150
"이 샘줄기를 내려가면 바다가 있구, 바다 속에는 용궁이 있구나. 칠색 비단을 감은 기둥과 비취를 아로새긴 댓돌이며 황금으로 만든 풍경, 진주로 꾸민 문설주……."
 
151
마주 앉아서 엮어 내리는 이 화공의 이야기에 각 일각 더욱 황홀하여가는 처녀의 눈이었다. 화공은 드디어 이 처녀를 자기의 오막살이로 데리고 돌아갈 궁리를 하였다.
 
152
"내 용궁 이야기를 들려주마. 너희 집에서 걱정만 안 하실 것 같으면……."
 
153
화공이 이렇게 꾀일 때에 처녀는 그의 커다란 눈을 들어서 유원(幽遠)히 하늘을 우러러보면서 자기네 부모는 병신 딸 따위는 없어져도 근심을 안 한다고 쾌히 화공의 뒤를 따랐다.
 

 
154
일사천리로 여기까지 밀려오던 여의 공상은 문득 중단되었다. 이야기를 어떻게 진전시키나?
 
155
잡념이 일어난다. 동시에 여의 귀에 들려오는 한절의 유행가….
 
156
여는 머리를 들었다. 저편 뒤 어디 잡인들이 온 모양이다. 그 분요가 무의식중에 귀로 들어와서 영의 집중되었던 머리를 헤쳐 놓는다.
 
157
귀찮은 가사(歌詞)들이여. 저주받을 가사들이여.
 
158
이 저주받을 가사들 때문에 중단된 이야기는 좀체 다시 모이지 않았다.
 
159
그러나 결말 없는 이야기가 어디 있으랴? 아무튼 결말은 지어야 할 것이 아닌가?
 
160
그러면 그 화공은 처녀를 데리고 제 오막살이로 돌아와서 용궁이야기를 들려주면서 그 동안에 처녀의 얼굴을 그대로 그려서 십년 래의 숙망을 성취하였다는 결말로 맺어 버릴까?
 
161
그러나 이런 싱거운 결말이 어디 있으랴? 결말이 되기는 되었지만 이따위 결말을 짓기 위하여 그런 서두는 무의한 자다.
 
162
그러면?
 
163
그럼 다르게 결말을 맺어볼까?
 
164
화공은 처녀를 제 오막살이로 데리고 돌아왔다. 그리고 처녀에게 용궁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러나 아까 용궁 이야기로 초벌들은 처녀는 이번은 그렇듯 큰 감흥도 느끼지 않는 모양으로 그다지 신통한 표정도 보이지 않았다. 화공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화공은 그 그림을 영 미완품인 채로 남기지 않을 수 없었다.
 
165
역시 마음에 들지 않는 결말이다.
 
166
그럼 또 다시….
 
167
화공은 처녀를 데리고 돌아왔다. 돌아와서 처녀를 보면 볼수록 탐스러워서 그림은 집어던지고 처녀를 아내로 삼아 버렸다. 앞을 못 보는 처녀는 이 추하게 생긴 화공에게도 아무 불만이 없이 일생을 즐겁게 보냈다. 그림으로나 아내를 얻으려던 화공은 절세의 미녀를 아내로 얻게 되었다.
 
168
역시 불만이다.
 
169
귀찮고 성가시다. 저주받을 유행가사(流行歌詞)여.
 

 
170
여는 일어났다. 감흥을 잃은 이 자리에 그냥 앉아 있기가 싫었다. 그냥 들리는 유행가. 그것이 안 들리는 곳으로 자리를 옮기자.
 
171
굽어보게 저 멀리 소나무 틈으로 한줄기 번득이는 것은 아까의 샘물이다. 그 샘물로, 가장 이 이야기의 원천(源泉)이 된 그 샘으로 내려가자.
 
172
벼랑을 내려가기는 올라가기보다 더 힘들었다. 올라가는 것은 올라가다가 실수하여 떨어지면 과즉 제자리에 내린다. 그러나 내려가다가 발을 실수하면 어디까지 굴러갈지 예측 할 길이 없다. 잘못하다가는 청운동(淸雲洞) 어귀까지 굴러갈는지도 모를 일이다. 게다가 올라갈 때에는 도움이 되던 스틱조차 내려갈 때에는 귀찮기 짝이 없다.
 

 
173
반각이나 걸려서 여는 드디어 그 샘가에 도달하였다. 샘가에는 과연 한 개의 바위가 사람 하나 앉기 좋을 만한 자리가 있다. 이 바위가 화공이 쌀 씻던 바위일까? 처녀가 앉아서 공상하던 바위일까? 그 아래를 깊은 남벽(藍碧)으로 알았더니 겨우 한 뼘 미만의 얕은 물로써 바위 위를 기운 없이 뚤뚤 흐르고 있다.
 
174
그러나 이 골짜기는 고요하기 짝이 없었다. 바람 소리도 멀리 위에서만 들린다. 그리고 소나무와 바위에 둘러싸여서 꽤 음침한 이 골짜기는 옛날 세상을 피한 화공이 즐겨 하였음직하다.
 
175
자, 그러면 이 골짜기에서 아까 그 이야기의 꼬리를 마저 지을까?
 

 
176
화공은 처녀를 데리고 오막살이로 돌아왔다.
 
177
그의 마음은 너무도 긴장되고 또한 기뻐서 저녁도 짓기 싫었다. 들어와 보매 벌써 여러 해를 멀리 다리기를 기다리는 족자의 여인의 몸집조차 흔연히 화공을 맞는 듯하였다.
 
178
"자, 거기 앉아라."
 
179
수년간 화공을 힐책하던 머리 없는 그림이 화공의 앞에 펴졌다. 단청도 준비되었다.
 
180
터질 듯 울렁거리는 마음으로 폭 앞에 자리를 잡은 화공은, 빛이 비치도록 남향하여 처녀를 앉히고 손으로 붓을 적시며 이야기를 꺼내었다.
 
181
벌써 황혼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오늘 해로써 숙망을 달하려 하는 것이었다. 십 년간을 벼르기만 하면서 착수를 못하기 때문에 저축되었던 화공의 힘은 손으로 모였다.
 
182
"그러구… 알겠지?"
 
183
눈으로는 처녀의 얼굴을 보며 입으로는 용궁 이야기를 하며 손은 번개같이 붓을 둘렀다.
 
184
"용궁에는 여의주(如意珠)라는 구슬이 있구나. 이 여의주라는 구슬은 마음에 한 번 굴리면 너도 광명한 일월을 보게 된다."
 
185
"네? 그런 구슬이 있습니까?"
 
186
"있구 말구. 네가 내 말을 잘 듣고 있기만 하면 수일 내로 너를 데리고 용궁에 가서 여의주를 빌어서 네 눈도 고쳐주마."
 
187
"그러면 저도 광명한 일월을 볼 수가 있겠습니까?"
 
188
"그럼. 광명한 일월, 무지개라는 칠 색이 영롱한 기묘한 것, 아름다운 수풀, 유수한 골짜기, 무엇인들 못 보랴!"
 
189
"아이구, 어서 그 여의주를 구해서…."
 
190
아아, 놀라운 아름다운 표정이었다. 화공은 처녀의 얼굴에 나타나 넘치는 이 놀라운 표정을 하나도 잃지 않고 화폭 위에 옮겼다.
 
191
황혼은 어느 덧 밤으로 변하였다. 이때는 그림의 여인에게는 단지 눈동자가 그려지지 않을 뿐 그 밖의 것은 죄 완성이 되었다.
 
192
동자까지 그리고 싶었다. 그러나 이 그림의 생명을 좌우할 눈동자를 그리기에는 너무도 어두웠다.
 
193
눈동자 하나쯤이야 밝은 날로 남겨 둔 들 어떠랴. 하여간 십년 숙망을 겨우 달한 화공의 심사는 무엇에 비기지 못하도록 기뻤다.
 
194
"아… 아…."
 
195
이 탄성은 오래 벼르던 일이 끝난 때에 나는 기쁨의 소리였다. 이 일단의 안심과 함께 화공의 마음에는 또 다른 긴장과 정열이 솟아올랐다.
 
196
꽤 어두운 가운데서 처녀의 얼굴을 유심히 보기 위하여 화공이 잡은 자리는 처녀의 무릎과 서로 닿을 만치 가까웠다. 그림에 대한 일단의 안심과 함께 화공의 코로 몰려 들어오는 강렬한 처녀의 체취(體臭)와 전신으로 느끼는 처녀의 접근 때문에 화공의 신경은 거의 마비될 듯 싶었다. 차차 각 일각 몸까지 떨리기 시작하였다. 어두움 가운데서 황홀스러이 빛나는 처녀의 커다란 눈은, 정열로 들먹거리는 입술은 화공의 정신까지 혼미하게 하였다.
 

 
197
밝은 날, 화공과 소경 처녀의 두 사람은 벌써 남이 아니었다.
 
198
"오늘은 동자를 완성시키리라."
 
199
삼십 년의 독신 생활을 벗어버린 화공은 삼십 년간을 혼자 먹던 조반을 소경 처녀와 같이 먹고 다시 그림 폭 앞에 앉았다.
 
200
"용궁은?"
 
201
기쁨으로 빛나는 처녀의 눈….
 
202
그러나 화공의 심미안(審美眼)에 비친 그 눈은 어제의 눈이 아니었다.
 
203
아름답기는 다시없는 아름다운 눈이었다. 그러나 그 눈은 사내의 사랑을 구하는 '여인의 눈'이었다. 병신이라 수모 받던 전생을 벗어버리고 어젯밤 처음으로 인생의 봄을 맛본 처녀는 이제는 한 개의 지어미의 눈이요, 한 개의 애욕의 눈이었다.
 
204
"용궁은?"
 
205
"용궁에 어서 가서 여의주를 얻어서 제 눈을 띄어 주세요. 밝은 천지도 천지려니와 당신을 어서 눈뜨고 보고 싶어."
 
206
어제 밤 잠자리에서 자기는 스물네 살 난 풍신 좋은 사내라고 자랑한 화공의 말을 그대로 믿는 소경 처녀였다.
 
207
"응, 얻어주지. 그 칠 색이 영롱한…."
 
208
"그 칠 색도 어서 보고 싶어요."
 
209
"그래 그래, 좌우간 지금 머리로 생각 해보란 말이야."
 
210
"네, 참 어서 보고 싶어서…."
 
211
굽어보면 무릎 앞의 그림은 어서 한 점 눈동자를 찍어 주기를 기다리고 있다.
 
212
그러나 소경의 눈에 나타난 것은 아름답기는 아름다우나 그것은 애욕의 표정에 지나지 못하였다. 그런 눈을 그리려고 십 년을 고심한 것이 아니었다.
 
213
"자, 용궁을 생각해 봐!"
 
214
"생각이나 하면 뭘합니까? 어서 이 눈으로 보아야지."
 
215
"생각이라도 해 보란 말이야."
 
216
"짐작이 가야 생각도 하지요."
 
217
"어제 생각하던 대로 생각을 해 봐!"
 
218
"네…."
 
219
화공은 드디어 역정을 내었다. "자, 용궁! 용궁!"
 
220
"네…."
 
221
"용궁을 생각해 봐! 그래 용궁이 어때?"
 
222
"칠 색이 영롱하고요."
 
223
"그래, 또?"
 
224
"또 황금 기둥, 아니 비단으로 짠 기둥이 있고요. 또 푸른 진주가!"
 
225
"푸른 진주가 아냐! 푸른 비취지."
 
226
"비취 추녀든가 문이든가?"
 
227
"에익! 바보!"
 
228
화공은 커다란 양손으로 칵 소경의 어깨를 잡았다.
 
229
잡고 흔들었다.
 
230
"자, 다시 곰곰이… 용궁은?"
 
231
"용궁은 바다 속에…."
 
232
겁에 질려서 어릿거리는 소경의 양에 화공은 손으로 소경의 따귀를 갈기지 않을 수가 없었다.
 
233
"바보!"
 
234
이런 바보가 어디 있으랴! 보매 그 병신 눈은 깜박일 줄도 모르고 허공을 바라보고 있다. 그 천치 같은 눈을 보매 화공의 노염은 더욱 커졌다. 화공은 양손으로 소경의 멱을 잡았다.
 
235
"에이 바보야, 천치야, 병신아!"
 
236
생각나는 저주의 말을 연하여 퍼부으면서 소경의 멱을 잡고 흔들었다. 그리고 병신같이 멀겋게 띄운 눈자위에 원망의 빛살이 나타나는 것을 보고 더욱 힘있게 흔들었다. 흔들다가 화공은 탁 그 손을 놓았다. 소경의 몸이 너무도 무거워졌으므로….
 
237
화공의 손에서 놓인 소경의 몸은 눈을 뒤솟은 채 번뜻 나가 넘어졌다. 넘어지는 서슬에 벼루가 전복되었다. 뒤집어진 벼루에서 튀어 난 먹방울이 소경의 얼굴에 덮였다.
 
238
깜짝 놀라서 흔들어 보매 소경은 벌써 이 세상의 사람이 아니었다.
 
239
화공은 어찌할 줄을 몰랐다. 망지소조하여 허든거리던 화공은 눈을 뜻없이 자기의 그림 위에 던지다가 악! 소리를 내며 자빠졌다.
 
240
그 그림의 얼굴에는 어느덧 동자가 찍히었다. 자빠졌던 화공이 좀 정신을 가다듬어 가지고 몸을 일으켜서 다시 그림을 보매 두 눈에는 완전히 동자가 그려진 것이었다.
 
241
그 동자의 모양이 또한 화공으로 하여금 다시 덜썩 엉덩이를 붙이게 하였다. 아까 소경 처녀가 화공에게 멱을 잡혔을 때에 그의 얼굴에 나타났던 원망의 눈!
 
242
그림의 동자는 완연히 그것이었다.
 
243
소경이 넘어지는 서슬에 벼루를 엎는다는 것은 기이할 것도 없고 벼루가 엎어질 때에 먹방울이 튄다는 것도 기이하달 수도 없지만, 그 먹방울이 어떻게 그렇게도 기묘하게 떨어졌을까? 먹이 떨어진 동자로부터 먹물이 번진 홍채에 이르기까지 어찌도 그렇듯 기묘하게 되었을까?
 
244
한편에는 송장, 한편에는 화상을 놓고 망연히 앉아있는 화공의 몸은 스스로 멈출 수 없이 와들와들 떨렸다.
 

 
245
수일 후부터 한양성 내에는 괴상한 여인의 화상을 들고 음울한 얼굴로 돌아다니는 늙은 광인(狂人) 하나가 생겼다.
 
246
그의 내력을 아는 사람이 없었고, 그의 근본을 아는 사람이 없었다. 그 괴상한 화상을 너무도 소중히 여기므로 사람들이 보고자 하면 그는 기를 써서 보이지 않고 도망하여 버리고 한다.
 
247
이렇게 수년간을 방황하다가 어떤 눈보라 치는 날, 돌베개를 베고 그의 일생을 막음 하였다. 죽을 때도 그는 그 족자를 깊이 품에 품고 죽었다.
 
248
늙은 화공이여. 그대의 쓸쓸한 일생을 여는 조상하노라.
 
249
여(余)는 지팡이로서 물을 두어 번 저어보고 고즈너기 몸을 일으켰다.
 
250
우러러보매 여름의 석양은 벌써 백악 위에서 춤추고, 이 천고(千古)의 계곡을 산새가 남복으로 난다.
 

 
251
- 끝 -
【원문】광화사 (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소설〕
▪ 분류 : 근/현대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162
- 전체 순위 : 455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71 위 / 882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56) 화수분
• (5) 12월 12일
• (3) 소금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광화사 [제목]
 
  김동인(金東仁) [저자]
 
  1935년 [발표]
 
  소설(小說)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김동인의 소설.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 [인물] 김동인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소설 해설   본문   한글 
◈ 광화사(狂畵師)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