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ENCY044456 |
Anne of Green Gables ( )
|
작품 :
|
|
미지정
|
1908 novel by Canadian author Lucy Maud Montgomery (published as L. M. Montgomery)
|
|
2 |
ENCY048794 |
B사감과 러브레터 ( )
|
작품 :
|
|
미지정
|
현진건(玄鎭健)이 지은 단편소설. 1925년 2월 『조선문단』에 발표되었다. 현진건의 다른 작품들과는 성격이 다른 이색적인 작품이다.
|
|
3 |
ENCY047232 |
가례언해 (家禮諺解)
|
작품 :
|
|
미지정
|
10권 4책. 조선시대 문신 신식이 주희의 『가례』를 언해하여 1632년에 간행된 예서.
|
|
4 |
ENCY044493 |
가례원류 (家禮源流)
|
작품 :
|
|
미지정
|
조선 현종(顯宗) 때 유계(兪棨)가 가례(家禮)에 관한 여러 글을 분류 정리한 책. 목판본, 규장각도서
|
|
5 |
ENCY044972 |
간계와 사랑 (Kabale und Liebe)
|
작품 :
|
|
미지정
|
프리드리히 폰 실러의 희곡이다. 1784년 4월 13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초연하였다. 슈투름 운트 드랑 시대의 전형적인 예이며, 오늘날에는 가장 중요한 독일 희곡 중 하나로 꼽힌다.
|
|
6 |
ENCY046914 |
감군은 (感君恩)
|
작품 :
|
|
심화항목
|
조선 초기의 악장 가운데 하나. 임금의 은덕을 사해(四海)와 태산(泰山)에 비유하여 칭송한 작품으로, 모두 4장으로 되어 있으며, 《악장가사》와 《고금가곡》에 실려 전한다. 작가와 연대는 분명하지 않다.
|
|
7 |
ENCY049368 |
갑신완문 (甲申完文)
|
작품 :
|
|
미지정
|
1824년 갑신년(甲申年)에 호조에서 팔도재인(八道才人)이 올린 등장에 답한 공문.
|
|
8 |
ENCY047422 |
갑진만필 (甲辰漫筆)
|
작품 :
|
|
미지정
|
조선시대 문신 윤국형이 임진왜란 전후의 시사에 관하여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실기.
|
|
9 |
ENCY047765 |
강도몽유록 (江都夢遊錄)
|
작품 :
|
|
미지정
|
작자·연대 미상의 몽유록계 한문소설.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
10 |
ENCY049094 |
강상련 (江上蓮)
|
작품 :
|
|
미지정
|
이해조의 신소설. ‘강 위의 연꽃’이라는 뜻의 《강상련(江上蓮)》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임당수에 몸을 던지는 심청의 이야기 《심청전》을 새롭게 개작한 작품이다.
|
|
11 |
ENCY046927 |
개암가 (皆巖歌)
|
작품 :
|
|
심화항목
|
조선 순조 때에, 문인 조성신(趙星臣)이 지은 가사. 경상북도 영양군에 있는 개암정(皆巖亭) 주위의 경치와 자신의 회포를 읊었으며, 순 한글로 되어 있다.
|
|
12 |
ENCY048690 |
검사와여선생 (檢事-女先生)
|
작품 :
|
|
미지정
|
김춘광(金春光)이 극본을 쓴 신파극이다.
|
|
13 |
ENCY044347 |
검은 고양이 (The Black Cat)
|
작품 :
|
|
미지정
|
1843년 출판된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소설이다. 포의 대표적인 단편인 이 소설은 광기, 분노, 악마성 등 인간의 어두운 내면을 파헤친 작품이다.
|
|
14 |
ENCY044955 |
겐지 이야기 (源氏物語)
|
작품 :
|
|
미지정
|
일본 헤이안 시대 중기(11세기)에 지어진 소설이다. 작가는 무라사키 시키부라고 여겨지지만. 54첩에 달하는 장편으로 800여 수의 와카(和歌)가 들어있다.
|
|
15 |
ENCY050009 |
겨레말 큰사전 ( )
|
작품 :
|
|
미지정
|
남북한의 국어학자들이 언어통일을 위해 공동으로 집필 중인 사전. 국어대사전.
|
|
16 |
ENCY045576 |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 Bound)
|
작품 :
|
|
미지정
|
고대 그리스 작가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작품으로 프로메테우스 신에 관한 작품이다.
|
|
17 |
ENCY044369 |
경도잡지 (京都雜志)
|
작품 :
|
|
미지정
|
유득공이 서울의 세시풍습을 기록한 책이다. 버클리대학 동아시아 도서관에는 유득공의 저작 가운데 여러 권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 필사본이다.
|
|
18 |
ENCY044357 |
경세종 (警世鐘)
|
작품 :
|
|
미지정
|
김필수(金弼秀)가 지은 신소설. 1910년 광학서포(廣學書舖)에서 발행하였다. 경세를 목적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
|
19 |
ENCY047286 |
경술일기 (庚戌日記)
|
작품 :
|
|
미지정
|
조선 중기의 문신 이교(李㝯, 1531~1595)가 자신의 부친 이해(李瀣, 1496~1550)의 옥사가 일어난 1550년(명종 5) 7월 16일부터 부친을 장사 지낸 12월 11일까지 약 5개월간의 정치적 중요 상황을 기록한 일기. (필사본 1책 42면)
|
|
20 |
ENCY047827 |
계서야담 (溪西野談)
|
작품 :
|
|
미지정
|
조선후기 문신 이희준이 편찬한 문헌 설화집. 6권 6책. 필사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