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ENCY045074 |
1.21사태 소나무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종로구 삼청로11길 40 일대(서울성곽길 백악마루~숙정문사이) 1·21사태 당시 치열했던 교전의 흔적인 15발의 총탄자국이 남아있는 소나무로 대한민국의 안보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장소
|
|
2 |
ENCY044868 |
DMZ 생태평화공원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환경부, 국방부(육군 3사단)와 철원군이 공동협약을 맺어 전쟁·평화·생태가 공존하는 DMZ의 상징적 메시지를 전파하고 조성된 곳이다. 휴전 후 지난 60년간 민간인에게 전혀 개방되지 않았던 원시 생태계가 방문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탐방코스로 개발되어 국내뿐 아니라 외국인들에게도 커다란 호응을 얻고 있다.
|
|
3 |
ENCY045118 |
OB맥주 담금솥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쇼와기린맥주(동양맥주전신, 1933년 설립) 때 제작되어 1996년까지 맥주 제조용으로 사용한 담근솥. 영등포구 신길로 275 (영등포공원 내) 에 위치한다.
|
|
4 |
ENCY045119 |
가락시장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1985년 개장한 서울의 대표적인 농수산물 도매시장으로 송파구 양재대로 932에 위치한다.
|
|
5 |
ENCY000214 |
가르교 (Gard橋)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기원전 1세기경에 세워진 프랑스 남부에있는 고대 로마 시대의 다리.
|
|
6 |
ENCY045238 |
가리봉동 측백나무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동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보호수.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2.5m이다. 가리봉동 측백나무에는 나무속에 큰 뱀이 살고 있었다는 전설과 함께 측백나무를 훼손하면 마을에 재앙이 온다는 소문이 전해져 온다.
|
|
7 |
ENCY045168 |
가산디지털단지역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1968년 무역박람회를 위해 설치된 간이역으로 금천구 벚꽃로 309에 위치한다.
|
|
8 |
ENCY000278 |
가산 산성 (架山山城)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경상 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축 산성. 사적 제216호이다. 산골짜기를 이용하여 돌로 쌓은 성으로, 내성· 중성·외성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 길이는 600m에 이른다. 내성은 1640년(인조 18), 외성은 1700년(숙종 26), 중성은 1741년(영조 17)에 각각 완성되었다.
|
|
9 |
ENCY000279 |
가산 오광대 (駕山五廣大)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경상 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에 전해 내려오는 탈놀이. 가산리는 원래 근처 7개군의 조곡(세금으로 바치던 곡식)을 거두어 제물포로 운반하던 조창 (漕倉)이 있었던 곳이므로 조창 오광대라고도 한다. 중요 무형 문화재 제73호이다.
|
|
10 |
ENCY050049 |
가야산 산성 (伽倻山 山城)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伽倻山)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대가야의 성곽. 산성.
|
|
11 |
ENCY000495 |
가평 마장리 유적 (加平馬場里遺蹟)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경기도 가평군 마장리에있는 초기 철기 시대의 유적인 야철 주거지를 말한다.
|
|
12 |
ENCY046203 |
가평 삼충단 (加平 三忠壇)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한말 일제의 무단 침략에 항거한 최익현(崔益鉉), 민영환(閔泳煥), 조병세(趙秉世)의 넋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제단이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 488-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1986년 6월 19일 가평군의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다.
|
|
13 |
ENCY046217 |
가평향교 (加平鄕校)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있는 향교이다. 1986년 5월 2일 가평군의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다.
|
|
14 |
ENCY000540 |
각저총 (角抵塚)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중국 동북 지방의 중지현(통구)에 있는고구려 시대의 무덤.
|
|
15 |
ENCY046226 |
간성향교 (杆城鄕校)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에 있는 향교이다. 1985년 1월 17일 강원도의 문화재자료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
|
16 |
ENCY000609 |
간의대 (簡儀臺)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조선 시대에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였던 천문 관측대이다.
조선은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천문 기상대로, 뒤에 관상감으로 그 이름을 바꾼 서운관을 두었고, 간의와 그 부속 시설을 수용하기 위하여 간의대를 설치하였다. 관천대라고도 한다.
|
|
17 |
ENCY045075 |
갈산 대삼각본점
|
문화/자연유산 :
|
|
심화항목
|
양천구 안양천로 갈산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우리나라 최초의 토지조사사업을 위해 설치된 대삼각본점으로 서울시 수도지적의 기준이 되는 곳
|
|
18 |
ENCY000729 |
갈항사 3층 석탑 (葛項寺三層石塔)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국보 제99호, 통일신라시대) 통일 신라 시대의 화강석 돌탑.
|
|
19 |
ENCY000777 |
감산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통일 신라 시대에 만든 화강석 불상. 높이는 1.83m이고, 불신(佛身) 및 광배(光背), 대좌(臺座)가 한 장의 돌로 만들어졌다. 광배의 등 쪽에 불상을 만든 유래와 연대를 새겨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국보 제81호로 지정되어 있다.
|
|
20 |
ENCY000778 |
감산사 석조 아미타불 입상 (甘山寺石造阿彌陀佛立像)
|
문화/자연유산 :
|
|
미지정
|
통일 신라 시대에 만든 화강석 불상. 높이는 1.74m이고, 팔각의 대좌(臺座)와 전신을 둘러싼 광배(光背)가 한 장의 돌로 만들어졌다. 국보 제82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