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저작물 (일자별)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하본기 9
목   차
[숨기기]
 

1. (원문)

淮海維揚州 : 彭蠡旣都, 陽鳥所居。 三江旣入, 震澤致定。 竹箭旣布。 其草惟夭, 其木惟喬, 其土塗泥。 田下下, 賦下上上雜。 貢金三品, 瑤、琨、竹箭, 齒、革、羽、旄, 島夷卉服, 其篚織貝, 其包橘、柚錫貢。 均江海, 通淮、泗。
 
 

2. (음역)

회해유양주 : 팽려기도, 양조소거。 삼강기입, 진택치정。 죽전기포。 기초유요, 기목유교, 기토도니。 전하하, 부하상상잡。 공금삼품, 요、곤、죽전, 치、혁、우、모, 도이훼복, 기비직패, 기포귤、유석공。 균강해, 통회、사。
 
 

3. (주석)

1. 회(淮) - 2-008-주석3 참고.
 
2. 해(海) - 2-007-주석1 참고.
 
3. 양주(揚州) - 상고시대 9주의 하나이고, 범위는 대략 강소성(江蘇省)중부와 장강 하류 북쪽 및 회수(淮水) 남쪽을 포괄한다.
 
4. 팽려(彭蠡) - 상고시대 9택 중의 하나이다. 팽려호이고 고대에는 파양호(鄱陽湖), 팽려택, 팽택(彭澤), 팽호(彭湖), 궁정호(宮亭湖) 등으로 불렸다. 강서성(江西省)에 있고, 중국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다.
 
5. 도(都) - 2-008-주석10 참고.
 
6. 양조(陽鳥) - 기러기 일종의 철새, 또는 학, 태양을 가리키기도 한다.
 
7. 3강(三江)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송강(松江), 전당강(錢唐江), 포양강(浦陽江)이다. 둘째, 장강(長江), 황하(黃河), 회하(淮河)를 가리킨다. 현재 정설은 없다.
 
8. 진택(震澤) - 고대에는 수진택(藪震澤), 구구(具區), 입택(笠澤) 등으로 불렸다. 장강과 전당강 하류 삼각주에 있으며 현재의 태호(太湖)를 가리킨다.
 
9. 정(定) - 평정, 안정되다.
 
10. 죽전(竹箭) - 가는 대나무, 또는 대나무로 만든 화살.
 
11. 포(布) - 분포, 분산되다.
 
12. 유(惟) - ~하다, ~이다.
 
13. 요(夭) - 풀과 나무가 무성하고 아름답다.
 
14. 교(喬) - 높게 자라다.
 
15. 도니(塗泥) - 진흙.
 
16. 금삼품(金三品) - 금, 은, 동.
 
17. 요(瑤) - 옥돌.
 
18. 곤(琨) - 아름다운 옥.
 
19. 치(齒) - 상아.
 
20. 모(旄) - 야크의 꼬리로 장식한 지휘하는 기(깃발), 또는 야크의 꼬리를 가리킴.
 
21. 도이(島夷) - 상고시대 동쪽에 거주하던 동이(東夷)의 일파이고, 회수(淮水) 하류지역과 인근 섬에서 활약하였다.
 
22. 훼복(卉服) - 가는 갈포로 만든 옷.
 
23. 직패(織貝) - 고대의 비단 명칭, 또는 조개 무늬를 넣은 비단.
 
24. 포(包) - 포장하다.
 
25. 유(柚) - 유자.
 
26. 석공(錫貢) - 천자의 명령이 있기를 기다린 후에 공물을 바치는 것으로, 정기적인 시기에 공물을 바치는 상공(常貢)과 구별된다.
 
27. 균(均) - 연(沿)과 같다. 즉 물을 따라 내려가다.
 
28. 강(江) - 장강을 가리킨다.
 
29. 사(泗) - 2-008-주석21 참고.
 
 

4. (국역)

북쪽으로는 회수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바다에 이르는 지역은 양주이다. 팽려택에는 이미 물이 가득 찼고, 기러기 같은 철새들이 머물렀다. 송강, 전당강, 포양강 등 3강이 이미 바다로 흘러들어가서 진택도 안정되었다. 이곳은 가는 대나무가 널리 분포되어 있고, 풀은 무성하고 나무는 높게 자랐으며, 토양은 수분이 많은 진흙이다. 토지는 9등급(하하)이고 토지세는 전국에서 7등(하상)인데 한 단계 위인 6등(중하)이 되기도 하였다. 공물(특산물)은 금, 은, 동 3가지 금속과 옥돌, 아름다운 옥, 가는 대나무, 상아, 코뿔소 가죽, 새 깃털, 야크의 꼬리와 또 도이의 가는 갈포로 만든 옷, 대나무로 만든 원형의 바구니에 담긴 조개 무늬를 넣어서 짠 비단과 천자의 명령이 있은 다음에 바치는 귤과 유자 꾸러미가 있다. 공물은 선박에 싣고 장강과 바다를 따라서 회수와 사수로 운송되었다.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하본기 10
• 하본기 9
• 하본기 8
(2017.10.18. 18:3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