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중국 (中國)
아시아 대륙의 동부를 차지하는 나라. 정식 이름은 중화 인민 공화국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3 (5 등급)
◈ 연나라, 중산국-조나라 방어위해 토성 쌓아 대비
십리포연장성(十里鋪燕長城) 답사기-1
아침 일찍 중국 고안현 호텔에서 출발한 버스는 고속도로를 지나 작은 마을 제방길을 달렸다. 주변에 마을이나 건물이 전혀 없고 과수원만 보였다. 오전 9시, 허허벌판에 버스가 멈췄다. 날이 너무 추워 모자를 푹 눌러쓰고 버스에서 내렸다.
비파형 동검(琵琶形銅劍) 연(燕) 허베이성([河北]省) # 십리포연장성 # 중산국
십리포연장성(十里鋪燕長城) 답사기-1
 
 
아침 일찍 중국 고안현 호텔에서 출발한 버스는 고속도로를 지나 작은 마을 제방길을 달렸다. 주변에 마을이나 건물이 전혀 없고 과수원만 보였다. 오전 9시, 허허벌판에 버스가 멈췄다. 날이 너무 추워 모자를 푹 눌러쓰고 버스에서 내렸다. 제방에서 주변을 바라보는데 마치 우리나라의 철원 비무장지대를 보는 느낌이 들었다. 앞뒤로 저지대 평원만 보였다.
 
 
▲ 십리포연장성 풍경
 
 
인공위성으로 지형을 파악하니 고대에는 텐진(天津) 쪽으로 흐르는 큰 강이 있었고, 지형이 변하기 전에는 이곳까지 바닷물이 밀려왔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중국 가이드는 ‘십리포연장성’ 표지석을 찾기 위하여 3개월 동안 고생했다고 말했다. 대원들은 가이드에게 수고했다고 박수로 격려했다. 십리포연장성 주변을 돌아보고, 표지석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십리포연장성은 연나라가 당시 강대했던 중산국(中山國)과 조나라를 방어하기 위해 만든 흙으로 만든 토성으로 연나라의 남쪽 장성이었다.
 
 
▲ 십리포연장성(十里鋪燕長城) 표지석
 
 
십리포연장성을 지도로 살펴보았다. 고대에는 이 지역이 바닷물이 들어오는 갯벌 지역이었다. 지금은 간척으로 인해 주변 바다가 모두 사라졌지만, 과거에는 거대한 갯벌과 벌판이 펼쳐진 지역이었다. 표지석에 빨간 글자로 뚜렷하게 표식을 남긴 십리포(十里鋪) 포라는 글자는 펄을 뜻하는 한자였다. 이곳은 스좌좡 시에서 신안구의 공업단지를 조성하려고, 광범위 지역을 조사하다가 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문화재 보호지역으로 지정한 곳이었다. 유적지 표석은 허베이성 인민정부에서 2015년 11월 공포하고 2017년 11월에 세웠다.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청동기/고조선실에는 고조선의 대표적인 유물인 비파형 동검이 전시되어 있다. 영남대 박물관장인 정인성 교수는 1998년 도쿄대에 세형동검을 연구하러 유학했다가 일제강점기 때 반출된 조선 유물이 박물관 창고에 산더미처럼 쌓인 것을 보고는 연구 방향을 전환하여 조선 고적 조사단장 ‘세키노’와 조수(助手) ‘야쓰이’의 행적을 추적하기 시작했다. 연구한 것을 토대로 2002년 〈낙랑문화의 고고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 교수는 고고학회 학술 발표에서 고조선과 청동기에 대한 논문을 계속 발표하고 있다.
 
 
▲ 십리포연장성(十里鋪燕長城) 앞에서 단체사진을 찍는 모습
 
 
고대 先秦 시대의 관중(管夷吾, 기원전 725~ 기원전 645)이 기록한 《管子》에는 고조선 국가가 등장한다.
 
「桓公問管子曰. 吾聞海內玉幣有七筴, 可得而聞乎. 管子對曰. 陰山之礝䃉, 一筴也, 燕之紫山白金, 一筴也, 發朝鮮之文皮, 一筴也, 汝⋅漢水之右衢黃金, 一筴也, 江陽之珠, 一筴也, 秦明山之曾靑, 一筴也, 禺氏邊山之玉, 一筴也。」
 
번역: 환공(桓公, 재위 기원전 685~643)이 관자(管子, 기원전 725~기원전 645)에게 물었다. “내가 듣기로 해내(海內)에 7가지 옥폐(玉幣)가 있다고 하는데, 들어 볼 수 있겠는가?” 관자가 대답하였다. “음산(陰山)의 연민(礝䃉)이 하나요, 연(燕)나라 자산(紫山)의 백금(白金)이 하나요, 발조선(發朝鮮)의 문피(文皮)가 하나요, 여수(汝水)와 한수(漢水) 우구(右衢)에서 나는 황금(黃金)이 하나요, 강양(江陽)의 진주가 하나요, 진(秦)나라 명산(明山)의 증청(曾靑)이 하나요, 우씨(禺氏) 변산(邊山)의 옥(玉)이 하나입니다.” 《관자》권23, 규도편 78.
 
 
▲ 고조선시대 비파형 동검
 
 
《戰國策》과 《史記》 〈조선열전〉에도 고조선이 등장한다. 기원전 4세기 말에 고조선의 존재와 전쟁 기록도 남아있다. 청동기시대 중기에서 후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4세기부터는 고조선의 존재가 확연해진다. 전국시대인 기원전 323년경에 연나라와 고조선은 팽팽하게 대립했다. 1960년대 북한 고고학계는 ‘비파형 동검’을 고조선과 처음으로 연결했다.(계속)
 
 
생활문화아카데미 궁인창
비파형 동검(琵琶形銅劍) 연(燕) 허베이성([河北]省) # 십리포연장성 # 중산국
【문화】연나라, 중산국-조나라 방어위해 토성 쌓아 대비
(게재일: 2024.01.07. (최종: 2024.01.08. 09:52))  궁인창의 독서여행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중국의 역사(시대) 구분.
중국의 행정구역
직할시 (4)
화북구 (2)
허베이성 (河北省), 산시성 (山西省)
서북구 (3)
산시성 (陝西省), 간쑤성 (甘肅省), 칭하이성 (靑海省)
동북구 (3)
랴오닝성 (遼寧省), 지린성 (吉林省), 헤이룽장성 (黑龍江省)
화동구 (6)
장쑤성 (江蘇省), 저장성 (浙江省), 안후이성 (安徽省), 장시성 (江西省), 푸젠성 (福建省), 산둥성 (山東省)
중남구 (5)
허난성 (河南省), 후베이성 (湖北省), 후난성 (湖南省), 광둥성 (廣東省), 하이난성 (海南省)
서남구 (3)
쓰촨성 (四川省), 윈난성 (雲南省), 구이저우성 (貴州省)
자치구 (5)
특별행정구 (2)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동북아시아의 마을
대한민국
북한
중국
몽골
타이완
일본
홍콩(중)
마카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