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조회순
|
【풍경작가 김도형】
4 (+2) | 2019.06.17
【풍경작가 김도형】
4 (+2) | 2019.06.04
【풍경작가 김도형】
2 | 2018.11.26
【풍경작가 김도형】
1 | 2019.07.16
【풍경작가 김도형】
3 (+2) | 2019.07.16
【풍경작가 김도형】
1 | 2019.07.16
【풍경작가 김도형】
3 (+2) | 2019.06.24
【풍경작가 김도형】
3 (+2) | 2019.06.24
|
2025.02.25
|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비격진천뢰"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조총이라는 신무기에 놀라서 조선군이 혼비백산했다고 배웠다. 조선은 한양이 함락되는 등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히 개발한 각종 화약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반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
|
|
|
2025.02.16
|
|
|
【문화】
남도 기행, 나주 덕룡산 불회사 탐방
새해 들어 첫 여행지로 전라도를 방문했다. 이번 여행은 무등산(1,187m) 자락 광주에 사는 친구가 대학 동기들과 함께 운주사, 순천만 습지, 여수 밤바다를 함께 방문하고 싶다고 작년 여름에 전화를 걸어와 시작되었다. 그래서 친구에게 “무슨 사연이 있는가?”라고 물으니 “국문과 친구들과 대학생 때는 같이 여행도 가고 그랬는데, 대학을 졸업하고 40여 년이 지났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한 번도 여행 간 적이 없어 죽기 전에 소원이다.”라고 말을 했다.
|
|
|
|
2025.02.18
|
|
|
【문화】
나주 불회사 석장승의 안내판을 보면서 장승에 적혀있는 명문(銘文)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을 생각했지만, 누구를 칭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페이스북에 적어둔 메모장을 펼쳐보았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이승수 교수는 2016년 12월 전남대 호남문화연구 60권에 기고한 〈주장군(周將軍) 당장군(唐將軍) 석장승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기능(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이란 발표 논문에서 문헌 자료를 통해 주장군은 17세기말 사찰 건축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고 보았다.
|
|
|
|
2025.04.15
|
|
【문화】
불교에서는 동지팥죽에 얽힌 설화가 있다. 갑오년(1892) 동지 날에 있었던 일이다. 경북울진 불영사 공양주 스님이 새벽에 일어나 팥죽을 쑤려고 부엌으로 갔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살펴보니 불씨는 꺼지고 재만 남아 있었다. 팥죽을 쑤어 부처님께 공양을 올려야 하는데 절 안에 남은 불씨는 없고, 언제 불을 지펴 죽을 쑬 지 공양주 스님은 앞이 캄캄하기만 했다.
|
|
|
|
2025.02.23
|
|
|
【문화】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전라남도. 2024.1.31 발간) 중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 3.1 전남의 역사 / 3.2 전남의 국제교류사 / 3.3. 미래, 창의적인 발전 / 3.4. 장보고 인문학 정립 / 3.5. 결론
|
|
|
|
2025.04.15
|
|
【문화】
조선 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 민씨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따님으로 30의 젊은 나이로 돌아가신 인경왕후의 다음 왕비로서 대비전이 친히 중전으로 간택한 왕후이며, 가례를 지낸지 6년이 지나도 태기가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여 스스로 왕께 후궁을 간택할 것을 아뢰었으나, 왕께서는 왕후의 나이가 어림을 이유로 후궁을 맞기를 주저하니, 몇 차례의 간곡한 아룀에 마지못하여 후궁 간택의 전교를 내리고 희빈 장씨를 맞이하였다.
|
|
|
|
2025.03.14
|
|
|
【문화】
역사에서 사라진 예산군 구만포 / 흥선대원군의 부친 남연군(南延君, 1788~1836) 묘를 도굴하기로 계획한 상인 오페르트와 페롱 신부 일행은 청나라 상하이 무역항을 출항해 일본 나가사키 항에서 모든 도구를 챙겼다.
|
|
|
|
2025.01.31
|
|
|
【문화】
체코 모험가 ‘얀 벨츨’의 여행기
체코 모험가 얀 벨츨(Jan Welzl, 1868~1948)의 여행기는 정말 놀랍고 신기한 북극 지방 에스키모의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송파도서관에 빌려온 책에는 130여 년 전에 정어리 어장을 따라 원양어선을 타고 왔다가 섬에 남은 조선 여인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
|
|
◈ 최근등록순
|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8.01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8.01
【풍경작가 김도형】
1 | 2019.07.16
【풍경작가 김도형】
3 (+2) | 2019.07.16
【풍경작가 김도형】
1 | 2019.07.16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6.28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6.28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6.28
【풍경작가 김도형】
3 (+2) | 2019.06.24
【풍경작가 김도형】
3 (+2) | 2019.06.24
【풍경작가 김도형】
4 (+2) | 2019.06.17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9.06.17
|
2025.04.15
|
|
【문화】
- 백극재란 인물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어 임지로 내려가던 중 급서했는데, 그의 아내가 불영사에서 관을 놓고 지극히 기도하자 다시 살아났다는 이야기
옛날 광산 백극재 선생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임지로 내려가는 도중 갑자기 전염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
|
|
|
2025.04.15
|
|
【문화】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화엄법회를 열고 교화에 힘쓸 때였다. 어느 날 노인 한 사람이 8명의 동자를 데리고 의상대사를 찾아왔다. 『대사시여! 우리는 동해안을 수호하는 호법 신장이옵니다. 이제 인연이 다하여 이곳을 떠나면서 스님께 부탁드릴 말씀이 있어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
|
|
|
2025.04.15
|
|
【문화】
조선 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 민씨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따님으로 30의 젊은 나이로 돌아가신 인경왕후의 다음 왕비로서 대비전이 친히 중전으로 간택한 왕후이며, 가례를 지낸지 6년이 지나도 태기가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여 스스로 왕께 후궁을 간택할 것을 아뢰었으나, 왕께서는 왕후의 나이가 어림을 이유로 후궁을 맞기를 주저하니, 몇 차례의 간곡한 아룀에 마지못하여 후궁 간택의 전교를 내리고 희빈 장씨를 맞이하였다.
|
|
|
|
2025.04.15
|
|
【문화】
불교에서는 동지팥죽에 얽힌 설화가 있다. 갑오년(1892) 동지 날에 있었던 일이다. 경북울진 불영사 공양주 스님이 새벽에 일어나 팥죽을 쑤려고 부엌으로 갔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살펴보니 불씨는 꺼지고 재만 남아 있었다. 팥죽을 쑤어 부처님께 공양을 올려야 하는데 절 안에 남은 불씨는 없고, 언제 불을 지펴 죽을 쑬 지 공양주 스님은 앞이 캄캄하기만 했다.
|
|
|
|
2025.04.15
|
|
【문화】
불영사(佛影寺)는 울진군 서면 불영사길 48 천축산(天竺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이다. 불영사가 자리한 불영사 계곡은 명승 제6호로 지정된 15㎞에 이르는 길고도 장엄한 계곡이다. 예전에는 워낙 교통이 불편하여 찾는 이가 많지 않았으나 1985년 불영사 계곡을 끼고 달리는 36번 국도가 포장되면서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
|
|
|
2025.04.12
|
|
|
【문화】
운주사 탐방기 / 전남 나주 덕룡산 불회사를 구경하고 운주사로 가는 길가의 벚꽃은 정말 화사하다. 불회사와 운주사는 약 10km 떨어져 있는데 중간 갈림길에 작은 동네 중장터가 있다. 이곳의 행정 지명은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3구로 조선 전기에는 매월 음력 보름에 한 번씩 승시(僧市)가 열렸고 조선 후기에는 오일장이 자리를 잡았다.
|
|
|
|
2025.04.01
|
|
|
【문화】
미륵―한국의 성스러운 돌들 / 한국을 처음 방문한 독일 조각가 요헨 힐트만(Jochen Hiltmann, 1935~ )은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에 관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고 사진 1백여 장을 《미륵―한국의 성스러운 돌들(Miruk- Die heiligen Steine Koreas, 227쪽)》 이란 책에 수록하여 1987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출간했다.
|
|
|
|
2025.03.31
|
|
|
【문화】
화순 운주사와 조각가 요헨 힐트만 / 전남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을 독일에 처음 알린 사람은 독일인 조각가 요헨 힐트만(Jochen Hiltmann, 1935~ )이다. 그는 1986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운주사 사진 전시회에서 “화순은 땅의 에너지가 왕성하게 넘치고 평화롭고 바람이 잔잔하게 부는 신비롭고 평화로운 곳이다.
|
|
|
|
2025.03.22
|
|
|
【문화】
동해 바다를 건너간 장승 1 / 1825년(文政 8, 仁孝天皇) 음력 12월 아침 니가타현(新鴻) 가시와자키시(柏崎市) 미야가와하마 해변에 2.6m나 되는 나무가 표착(漂着)했다. 새벽에 한 어민이 해변에 널려있는 나무를 주우러 왔다가 이상한 형태의 나무를 보고 무척 놀랐다.
|
|
|
|
2025.03.17
|
|
|
【문화】
조선 표류민 초상화 전시회 / 17~18세기에 한반도를 횡단하는 태풍이 자주 발생하면서 금강산과 설악산을 비롯하여 동해안의 여러 사찰과 마을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태풍이 지나가면서 엄청난 폭우를 동반하여 계곡에 홍수가 발생해 하류 쪽 마을들은 모두 사라졌다.
|
|
|
|
2025.03.14
|
|
|
【문화】
역사에서 사라진 예산군 구만포 / 흥선대원군의 부친 남연군(南延君, 1788~1836) 묘를 도굴하기로 계획한 상인 오페르트와 페롱 신부 일행은 청나라 상하이 무역항을 출항해 일본 나가사키 항에서 모든 도구를 챙겼다.
|
|
|
|
2025.03.07
|
|
|
【문화】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 세상은 우연의 연속이다. 전혀 생각하지 않은 때에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에 있는 수령 600년으로 추정되는 높이 25m, 둘레 6m의 우람한 비자나무를 만났다. 2021년 7월 22일 범선 코리아나호는 대천해수욕장에서 개최하는 머드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 여수 소호요트경기장에서 승객 20여 명을 태우고 새벽 4시 30분에 출항했다.
|
|
|
|
2025.02.25
|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비격진천뢰"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조총이라는 신무기에 놀라서 조선군이 혼비백산했다고 배웠다. 조선은 한양이 함락되는 등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히 개발한 각종 화약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반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
|
|
|
2025.02.23
|
|
|
【문화】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전라남도. 2024.1.31 발간) 중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 3.1 전남의 역사 / 3.2 전남의 국제교류사 / 3.3. 미래, 창의적인 발전 / 3.4. 장보고 인문학 정립 / 3.5. 결론
|
|
|
|
2025.02.18
|
|
|
【문화】
나주 불회사 석장승의 안내판을 보면서 장승에 적혀있는 명문(銘文)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을 생각했지만, 누구를 칭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페이스북에 적어둔 메모장을 펼쳐보았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이승수 교수는 2016년 12월 전남대 호남문화연구 60권에 기고한 〈주장군(周將軍) 당장군(唐將軍) 석장승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기능(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이란 발표 논문에서 문헌 자료를 통해 주장군은 17세기말 사찰 건축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고 보았다.
|
|
|
|
2025.02.16
|
|
|
【문화】
남도 기행, 나주 덕룡산 불회사 탐방
새해 들어 첫 여행지로 전라도를 방문했다. 이번 여행은 무등산(1,187m) 자락 광주에 사는 친구가 대학 동기들과 함께 운주사, 순천만 습지, 여수 밤바다를 함께 방문하고 싶다고 작년 여름에 전화를 걸어와 시작되었다. 그래서 친구에게 “무슨 사연이 있는가?”라고 물으니 “국문과 친구들과 대학생 때는 같이 여행도 가고 그랬는데, 대학을 졸업하고 40여 년이 지났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한 번도 여행 간 적이 없어 죽기 전에 소원이다.”라고 말을 했다.
|
|
|
|
2025.01.31
|
|
|
【문화】
체코 모험가 ‘얀 벨츨’의 여행기
체코 모험가 얀 벨츨(Jan Welzl, 1868~1948)의 여행기는 정말 놀랍고 신기한 북극 지방 에스키모의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송파도서관에 빌려온 책에는 130여 년 전에 정어리 어장을 따라 원양어선을 타고 왔다가 섬에 남은 조선 여인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
|
|
|
2025.01.28
|
|
|
【문화】
내셔널 지오그래픽-린드블라드 탐험대
남극 여행을 처음 개발한 린드블라드의 아들 스벤 올로프 린드블라드(Sven Olof Lindblad)는 가족의 유산을 이어받아 린드블라드 탐험대(Lindblad Expeditions)를 설립하고 아버지가 구상한 혁신적인 여행 경험을 확장했다.
|
|
|
|
2025.01.27
|
|
|
【문화】
남극 생태 관광의 아버지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
남극 생태 관광을 처음 시작한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Lars-Eric Lindblad, 1927~1994)’는 1927년 1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 북쪽의 솔나(Solna)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와인 전문가였고, 어머니는 캐비닛 제작자의 딸이었다.
|
|
|
|
2025.01.20
|
|
|
【문화】
매년 1월이면 동해안을 방문하는데 올해는 화순 운주사, 여수 오동도, 순천만 습지공원 등을 다녀왔다. 아침에 일어나 핸드폰을 열어보니 페이스북에 예전 방문했던 고성군 거진항이 등장했다. 친구 부부와 30년이 넘게 함께 여행하면서 삼척에서 1박 하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거진항에 사는 친구와 통화했는데, 거진항의 단골 맛집을 소개했다.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 관련 동영상 (없음) |
|
▣ 참조정보
없 음
▣ 분류정보 (상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