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독립운동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독립운동가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2018년 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조지 애쉬모어 피치(George Ashmore Fitch, 1883. 1. 23~1979. 1. 20.) 선생을 2018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광현 (044-202-5771)】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독립 기념관(獨立記念館) # 광복회 # 독립운동가 # 조지 애쉬모어 피치
한국독립운동의 숨은 조력자! 임시정부를 후원한 선교사
2018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조지 애쉬모어 피치 선생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조지 애쉬모어 피치(George Ashmore Fitch, 1883. 1. 23~1979. 1. 20.) 선생을 2018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선생은 중국 상하이에서 장로교 선교사인 아버지 조지 필드 피치가 한국인들과 접촉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며 성장했다.
 
○1909년 미국에서 목사가 되어 상하이로 돌아온 후 YMCA에서 활동하며 크레인(Charles Richard Crane) 주중 미국대사에게 여운형을 소개하여 주었고, 한국 독립운동가를 위한 회합장소를 제공하였다.
 
○1919년 미국에 설립된 한인구제회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자 상하이 주재 외국인 선교사들을 모아 적극적인 모금에 나섰고, 한인학교인 ‘인성학교’를 위해서도 모금활동을 하였다.
 
○1932년 4월 윤봉길 의거로 인해 일본경찰에 쫓기던 김구, 엄항섭, 안공근, 김철을 자택에 숨겨주었으며, 위치가 노출되자 중국인으로 위장시켜 아내인 제랄딘과 상하이를 탈출시켰다.
 
○ 이후 프랑스 조계지역 언론과 경찰에 서한을 보내 일본 경찰의 한국인에 대한 불법 체포와 검문에 항의하였다.
 
○1937년 일본군이 난징 대학살을 일으키자 당시 난징에 있던 외국인들과 함께 국제위원회를 조직하여 일제의 만행을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1941년에는 미얀마 랭군과 충칭을 연결하는 미얀마로드 미군 수송활동에 참여했고,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중국 국민당의 연락사항을 미국 전략정보국(OSS)에 전달하는 첩보작전을 수행하였으며, 1942년 중국 국민당 정부를 상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을 청원했다.
 
○해방 후, 1947년 한국 YMCA 총간사로 임명되어 6.25전쟁 중 구호활동에 전념하다 1951년 은퇴했다.
 
○ 정부는 1968년 조지 애쉬모어 피치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첨부 :
171229_2018년_1월_이달의 독립운동가 보도자료(조지 애쉬모어 피치).hwp
 

 
※ 원문보기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독립 기념관(獨立記念館) # 광복회 # 독립운동가 # 조지 애쉬모어 피치
2018년 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게재일: 2017.12.29. (최종: 2019.11.05. 18:31))  국가보훈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