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독립운동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독립운동가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몽골의 슈바이처 대암 이태준 선생 2017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몽골의 슈바이처 대암 이태준 선생 2017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공훈심사과 - 강병구 (044-202-5451)】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몽골([蒙古]) 이태준(李泰俊) # 독립운동가
 
몽골의 슈바이처 대암 이태준 선생 2017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대암 이태준(大岩 李泰俊, 1883~1921) 선생을 2017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경남 함안 출신으로 세브란스의학교를 졸업한 의사(醫師)이자 독립운동가이다.
 
□ 선생은 안창호의 추천으로 비밀결사 신민회의 외곽단체인 청년학우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으로 체포 위기에 처하자 중국을 거쳐 몽골로 망명하였다.
 
□ 몽골에 비밀군관학교 설립 계획을 갖고 있던 김규식의 권유로 1914년경 몽골 고륜(庫倫, 오늘날 울란바토르)에 정착하여 동의의국(同義醫局)이라는 병원을 개원하였다.
 
□ 당시 몽골은 라마교의 영향으로 미신적인 방법으로 병을 치유하고 있었으나 선생은 근대적 의술로 몽골인의 70~80%가 감염된 전염병을 치료하였다. 몽골의 마지막 황제인 보그드(Bogd) 칸의 어의가 되었으며, 당시 외국인에게 수여된 최고 등급의 몽골 국가훈장을 받았다.
 
□ 몽골에서 의술을 베풀며 두터운 신망을 얻은 선생은 몽골과 중국을 오가는 애국지사들에게 숙식과 교통 등 온갖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신한청년당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된 김규식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 또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가 확보한 코민테른 자금 40만 루블의 운송에 깊이 관여하였고, 폭탄제조기술자인 헝가리인 마쟈르를 의열단에 소개하여 의열 투쟁의 성공을 도왔다.
 
□ 그러나 몽골을 점령한 러시아 백위파에 의해 38세의 젊은 나이에 일생을 마감하였다. 선생은 의술을 통해 한몽 친선의 상징으로 추앙받았으며, 2001년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이태준선생 기념공원이 조성되었다.
 
□ 조국의 독립운동에 앞장선 선생의 공적을 기려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첨부 :
170130-2017년_2월_이달의_독립운동가_보도자료.hwp
 

 
※ 원문보기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몽골([蒙古]) 이태준(李泰俊) # 독립운동가
몽골의 슈바이처 대암 이태준 선생 2017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게재일: 2017.01.31. (최종: 2019.11.05. 18:31))  국가보훈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