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조선 정조(正祖)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조선 정조 (正祖)
[1752 ~ 1800]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년). 아버지는 사도 세자이고, 어머니는 혜경궁 홍씨이다.
조선 정조 (正祖) [1752 ~ 1800]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년). 아버지는 사도 세자, 어머니는 혜경궁 홍씨 영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자 탕평책을 계승하여 골고루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규장각을 설치하고 뛰어난 학자들을 모아 학문을 연구하게 하였다. 활자를 개량하여 인쇄술을 발전시켰고 서적 편찬에도 힘을 기울였다.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목표로 하는 실학을 크게 발전시켰고, 가혹한 형벌을 금지했으며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 등 여러 방면에 어진 정치를 베풀었다. 문집 홍재전서
◈ 지식지도 관계
조선 정조 (正祖) 1776 1724 영조 (英祖) 1800 순조 (純祖) 1735 혜경궁 홍씨 1735 장헌 세자 (莊獻世子) 실학 (實學) 탕평책 (蕩平策) 1591 남인 (南人) 노론 (老論) 성리학 (性理學) 소론 (少論) 1801 신유 박해 (辛酉迫害) 1791년 1795년 1785년 1788년 18세기 (18世紀) 1790년대 1805년 1799년 1780년 1784년 1776년 1749년 1712 김상철 (金尙喆) 1716 김치인 (金致仁) 1720 채제공 (蔡濟恭) 1722 정존겸 (鄭存謙) 1727 조경 (趙璥) 1728 김종수 (金鍾秀) 1742 이병모 (李秉模) 1757 서용보 (徐龍輔) 1622 유형원 (柳馨遠) 1637 김만중 (金萬重) 1649 김구 (金構) 1664 민진원 (閔鎭遠) 1674 조선 숙종 (肅宗) 1681 이익 (李瀷) 1690 강박 (姜樸) 1692 정성 왕후 (貞聖王后) 1702 김상로 (金尙魯) 1712 안정복 (安鼎福) 1713 홍봉한 (洪鳳漢) 1720 조선 경종 (景宗) 1741 이덕무 (李德懋) 1742 이가환 (李家煥) 1749 유득공 (柳得恭) 1750 박제가 (朴齊家) 1752 주문모 (周文謨) 1762 정약용 (丁若鏞) 1776 조만영 (趙萬永) 1786 김정희 (金正喜) 1789 순원 왕후 (純元王后) 1834 조선 헌종 (憲宗) 18c중 권일신 (權日身) 1776 규장각 (奎章閣) 1793 장용영 (壯勇營) 1785 대전통편 1799 홍재전서 (弘齋全書) 1805 정조실록 (正祖實錄)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속대전 (續大典) 한중록 (閑中錄) 1791 신해 박해 (辛亥迫害) 1795 을묘박해 1721 신임사화 (辛壬士禍) 1762 나경언의 고변 사건 1762 임오화변 (壬午禍變) 1811 홍경래의 난 1796 수원 화성 (水原華城) 탕평비 (蕩平碑) (미정의) 김양택 (미정의) 김이소 (미정의) 김익 (미정의) 김희 (미정의) 박종악 (미정의) 서명선 (미정의) 신회 (미정의) 심환지 (미정의) 유언호 (미정의) 윤시동 (미정의) 이복원 (미정의) 이성원 (미정의) 이시수 (중복) 이은 (미정의) 이재협 (미정의) 이휘지 (미정의) 정홍순 (미정의) 홍낙성 (미정의) 홍낙순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화성일기 華城日記 고전 수필 이희평 (15) 이덕보은 以德報恩 근/현대 수필 김동인 (5) 매화음 梅花飮 근/현대 수필 김동인 (3) 장마가 실어온 발복 근/현대 소설 윤백남 (2) 원수로 은인 근/현대 소설 윤백남 (1) 이성원의 자랑 근/현대 수필 김동인 (1) 정승 차함 政丞 借啣 김동인 (0)
◈ 조회순
2018.06.04
정조가 사랑한 여인과 자식이 묻혔던 효창공원
【여행】 조선 22대 정조(이산, 재위 1776~1800) 임금이 몹시 사랑한 여인(의빈 성씨)과 장남 문효세자(文孝世子, 의빈 성씨 소생, 5세 사망)가 묻혔던 효창묘(孝昌墓, 현재 용산구 효창공원)에 다녀와 효창공원 역사에 대해 알아본다.
2024.04.21
정약용 통해 과천과 용인 등 8개 고을에 7년간 1200만 그루 심어
【문화】 식목왕(植木王) 정조대왕 매년 봄이 시작되면 사람들은 나무를 심는다. 신라는 문무왕 17년(677) 음력 2월 25일(양 4월 5일)에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삼국통일을 이룩해, 이날을 기념하여 나무를 심었다.
2024.09.24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철조대왕은 즉위 후 서기 1850년 3월 임인일(壬寅日) 판의금부사 이가우(李嘉愚 )와 전라도 병마절도사 채학영(蔡學永)을 대동 파주, 교하에서 3일간 경숙(經宿) 하면서 교하주민 남녀 61세 이상 고령자에게 쌀과 고기를 나누어 주었고 용성부대 부인(龍城府大夫人) 묘소를 전배(展拜)한 후 환궁하였다.
2024.05.21
첨단기술로 다시 보는 230여 년 전 정조의 화성 행차(5.21.~6.16.)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국가유산청 출범을 기념해 5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서울 종로구)에서 대표적 왕실회화인 《화성원행도華城園幸圖》에 최신 가상융합 기술을 활용해 재현한 체험형 디지털 전시 ‘실감 화성實感 華城, 디지털로 체험하는 8일간의 왕실 행차’를 개최한다.【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디지털헤리티지학과】
2024.04.20
한양서 선비들과 교류하면서 제주 풍속 대화 나눠...이상한 소문도 나
【문화】 채제공과 김만덕의 만남 정조와 효의왕후를 대궐에서 알현하고 나온 김만덕은 영상 채제공의 집으로 돌아간 이후, 한양도성의 선비들을 만나 교유하며 제주 한라산의 아름다움과 매년 세차게 불어오는 무서운 태풍 및 흉년의 참상을 모두 설명하였다.
2024.02.22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문화】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 개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4년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23.12.8.-‘24.3.10.) 연계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을 개최한다.【미술부】
2023.12.07
[국립중앙박물관] 영조 즉위 300주년 기념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
【문화】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미술부】
2019.12.10
【문화】      경북도 독도사료연구회에서 새로운 내용 발굴 【독도정책과】
 
◈ 최근등록순
2024.09.24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철조대왕은 즉위 후 서기 1850년 3월 임인일(壬寅日) 판의금부사 이가우(李嘉愚 )와 전라도 병마절도사 채학영(蔡學永)을 대동 파주, 교하에서 3일간 경숙(經宿) 하면서 교하주민 남녀 61세 이상 고령자에게 쌀과 고기를 나누어 주었고 용성부대 부인(龍城府大夫人) 묘소를 전배(展拜)한 후 환궁하였다.
2024.05.21
첨단기술로 다시 보는 230여 년 전 정조의 화성 행차(5.21.~6.16.)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국가유산청 출범을 기념해 5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서울 종로구)에서 대표적 왕실회화인 《화성원행도華城園幸圖》에 최신 가상융합 기술을 활용해 재현한 체험형 디지털 전시 ‘실감 화성實感 華城, 디지털로 체험하는 8일간의 왕실 행차’를 개최한다.【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디지털헤리티지학과】
2024.04.21
정약용 통해 과천과 용인 등 8개 고을에 7년간 1200만 그루 심어
【문화】 식목왕(植木王) 정조대왕 매년 봄이 시작되면 사람들은 나무를 심는다. 신라는 문무왕 17년(677) 음력 2월 25일(양 4월 5일)에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삼국통일을 이룩해, 이날을 기념하여 나무를 심었다.
2024.04.20
한양서 선비들과 교류하면서 제주 풍속 대화 나눠...이상한 소문도 나
【문화】 채제공과 김만덕의 만남 정조와 효의왕후를 대궐에서 알현하고 나온 김만덕은 영상 채제공의 집으로 돌아간 이후, 한양도성의 선비들을 만나 교유하며 제주 한라산의 아름다움과 매년 세차게 불어오는 무서운 태풍 및 흉년의 참상을 모두 설명하였다.
2024.02.22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문화】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 개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4년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23.12.8.-‘24.3.10.) 연계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을 개최한다.【미술부】
2023.12.07
[국립중앙박물관] 영조 즉위 300주년 기념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
【문화】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미술부】
2019.12.10
【문화】      경북도 독도사료연구회에서 새로운 내용 발굴 【독도정책과】
2018.06.04
정조가 사랑한 여인과 자식이 묻혔던 효창공원
【여행】 조선 22대 정조(이산, 재위 1776~1800) 임금이 몹시 사랑한 여인(의빈 성씨)과 장남 문효세자(文孝世子, 의빈 성씨 소생, 5세 사망)가 묻혔던 효창묘(孝昌墓, 현재 용산구 효창공원)에 다녀와 효창공원 역사에 대해 알아본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장헌 세자 (11) 백과 세도 정치 (7) 백과 야담 (7) 백과 혜경궁 홍씨 (7) 백과 박지원 (5) 백과 정순 왕후 (5) 백과 정약용 (5) 백과 홍봉한 (5) 백과 1954년 (4) 백과 규장각 (4) 백과 김동인 (4) 백과 수필 (4) 백과 이희평 (4) 백과 1776년 (3) 백과 김조순 (3) 백과 김치인 (3) 백과 노론 (3) 백과 박제가 (3) 백과 속대전 (3) 백과 순조 (3) 백과 이서구 (3) 백과 인현 왕후전 (3) 백과 정후겸 (3) 백과 조만영 (3) 백과 조선 (3) 백과 조선 경종 (3) 백과 조선 숙종 (3) 백과 조선 철종 (3) 백과 홍인한 (3) 백과 화성시 (3) 백과 1778년 (2) 백과 1794년 (2) 백과 1795년 (2) 백과 경국대전 (2) 백과 계축일기 (2) 백과 고약 (2) 백과 국부론 (2) 백과 김문근 (2) 백과 남인 (2) 백과 동·서 분당 (2) 백과 동문휘고 (2) 백과 동인 (2) 백과 만언사 (2) 백과 문조 (2) 백과 미국 독립 선언서 (2) 백과 민백상 (2) 백과 붕당 (2) 백과 소론 (2) 백과 소설 (2) 백과 시경 (2) 백과 신유 박해 (2) 백과 신임사화 (2) 백과 신정 왕후 (2) 백과 애덤 스미스 (2) 백과 연암집 (2) 백과 영조 (2) 백과 윤백남 (2) 백과 이병모 (2) 백과 이인좌의 난 (2) 백과 이종성 (2) 백과 임오화변 (2) 백과 전운옥편 (2) 백과 정조 대왕 필국화도 (2) 백과 정호 (2) 백과 조선 헌종 (2) 백과 탁지지 (2) 탕평책 (2) 백과 한중록 (2) 백과
◈ 참조 키워드
수원 화성 (10) 백과 장헌 세자 (10) 백과 혜경궁 홍씨 (8) 백과 영조 (6) 백과 채제공 (6) 백과 현륭원 (6) 원행을묘정리의궤 (5) 김홍도 (4) 백과 무예도보통지 (4) 박제가 (4) 백과 백동수 (4) 심환지 (4) 십팔기 (4) 마상무예 (3) 무예24기 (3) 무예24반 (3) 이덕무 (3) 백과 장용영 (3) 백과 정약용 (3) 백과 정조독살설 (3) 국립 중앙 박물관 (2) 백과 금강산 (2) 백과 노론 (2) 백과 용산구 (2) 백과 임원경제지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조선의 임금.
영조 > 22. 정조 > 순조
조부 : 영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