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752 ~ 1800]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년). 아버지는 사도 세자이고, 어머니는 혜경궁 홍씨이다.
|
|
|
인물 : 인물 > 한국
[1752 ~ 1800]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년). 아버지는 사도 세자이고, 어머니는 혜경궁 홍씨이다. (-> 순조)
영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자 탕평책을 계승하여 골고루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규장각을 설치하고 뛰어난 학자들을 모아 학문을 연구하게 하였다.
그리고 활자를 개량하여 인쇄술을 발전시켰고 서적 편찬에도 힘을 기울였다.
특히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목표로 하는 실학을 크게 발전시켰고, 가혹한 형벌을 금지했으며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 등 여러 방면에 어진 정치를 베풀었다.
■ 즉위 이전
→ 1752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사이에서 출생
→ 1759 왕세손 책봉
→ 1762 사도세자 사건
→ 1774 대리청정 시작
■ 즉위 이후
→ 1776 정조 즉위 → 규장각 제도를 만듦
- 규장각을 자신의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 기구로 변화
- 젊은 신진 관료들을 선발하여 함께 토론·연구를 진행하고, 왕 가까이에서 고문·보좌 역할을 하게 함
- 비서실 기능 부여, 과거 시험과 관리 교육까지 담당, 서얼 출신도 등용
→ 1788 장용영 설치 - 기존 5군영과는 별도인 왕의 친위 부대
→ 1791 신해통공 - 금난전권 폐지,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시전 상인의 특권을 없앰으로 자유로운 상업 활동 보장
- 사도세자의 묘를 수원으로 이장하고 수원에 화성을 건설
- 군사적 방어 기능과 상업적 기능이 함께 고려 됨
→ 1800 승하
3정승
• 김상철 (영의정), 신회 (좌의정), 이은 (우의정)
• 김양택 (영의정), 김상철 (좌의정), 정존겸 (우의정)
• 김상철 (영의정), 정존겸 (좌의정), 서명선 (우의정)
• 김상철 (영의정), 서명선 (좌의정), 정홍순 (우의정)
• 김상철 (영의정), 서명선 (좌의정), 홍낙순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홍낙순 (좌의정), 이휘지 (우의정)
• 김상철 (영의정), 이은 (좌의정), 이휘지 (우의정)
• 김상철 (영의정), 서명선 (좌의정), 이휘지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 (좌의정), 이휘지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 (좌의정), 홍낙성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홍낙성 (좌의정), 이복원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이복원 (좌의정), 김익 (우의정)
• 정존겸 (영의정), 홍낙성 (좌의정), 이복원 (우의정)
• 정존겸 (영의정), 이복원 (좌의정), 김익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홍낙성 (좌의정), 이복원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이복원 (좌의정), 김익 (우의정)
• 서명선 (영의정), 홍낙성 (좌의정), 이복원 (우의정)
• 정존겸 (영의정), 홍낙성 (좌의정), 이복원 (우의정)
• 정존겸 (영의정), 이복원 (좌의정), 김익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이복원 (좌의정), 김익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이복원 (좌의정), 조경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이복원 (좌의정), 이재협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이재협 (좌의정), 유언호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이재협 (좌의정), 이성원 (우의정)
• 김치인 (영의정), 이성원 (좌의정), 채제공 (우의정)
• 김익 (영의정), 이재협 (좌의정), 채제공 (우의정)
• 이재협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김종수 (우의정)
• 김익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김종수 (우의정)
• -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김종수 (우의정)
• -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 (우의정)
• -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박종악 (우의정)
• -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김이소 (우의정)
• 채제공 (영의정), 김종수 (좌의정), 김이소 (우의정)
• 홍낙성 (영의정), 김이소 (좌의정), 김희 (우의정)
• 홍낙성 (영의정), 김이소 (좌의정), 이병모 (우의정)
• 홍낙성 (영의정), 유언호 (좌의정), 채제공 (우의정)
• 홍낙성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윤시동 (우의정)
• 홍낙성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이병모 (우의정)
• - (영의정), 채제공 (좌의정), 이병모 (우의정)
• - (영의정), 이병모 (좌의정), 심환지 (우의정)
• 이병모 (영의정), 심환지 (좌의정), 이시수 (우의정)
• 심환지 (영의정), 이시수 (좌의정), 서용보 (우의정)
|
|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
|
|
◈ 참조 원문/전문
|
|
|
|
◈ 조회순
|
|
2018.06.04
|
|
|
【여행】
조선 22대 정조(이산, 재위 1776~1800) 임금이 몹시 사랑한 여인(의빈 성씨)과 장남 문효세자(文孝世子, 의빈 성씨 소생, 5세 사망)가 묻혔던 효창묘(孝昌墓, 현재 용산구 효창공원)에 다녀와 효창공원 역사에 대해 알아본다.
|
|
|
|
2024.04.21
|
|
|
【문화】
식목왕(植木王) 정조대왕
매년 봄이 시작되면 사람들은 나무를 심는다. 신라는 문무왕 17년(677) 음력 2월 25일(양 4월 5일)에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삼국통일을 이룩해, 이날을 기념하여 나무를 심었다.
|
|
|
|
2024.09.24
|
|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철조대왕은 즉위 후 서기 1850년 3월 임인일(壬寅日) 판의금부사 이가우(李嘉愚 )와 전라도 병마절도사 채학영(蔡學永)을 대동 파주, 교하에서 3일간 경숙(經宿) 하면서 교하주민 남녀 61세 이상 고령자에게 쌀과 고기를 나누어 주었고 용성부대 부인(龍城府大夫人) 묘소를 전배(展拜)한 후 환궁하였다.
|
|
|
|
2024.05.21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국가유산청 출범을 기념해 5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서울 종로구)에서 대표적 왕실회화인 《화성원행도華城園幸圖》에 최신 가상융합 기술을 활용해 재현한 체험형 디지털 전시 ‘실감 화성實感 華城, 디지털로 체험하는 8일간의 왕실 행차’를 개최한다.【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디지털헤리티지학과】
|
|
|
|
2024.04.20
|
|
|
【문화】
채제공과 김만덕의 만남
정조와 효의왕후를 대궐에서 알현하고 나온 김만덕은 영상 채제공의 집으로 돌아간 이후, 한양도성의 선비들을 만나 교유하며 제주 한라산의 아름다움과 매년 세차게 불어오는 무서운 태풍 및 흉년의 참상을 모두 설명하였다.
|
|
|
|
2024.02.22
|
|
|
【문화】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 개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4년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23.12.8.-‘24.3.10.) 연계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을 개최한다.【미술부】
|
|
|
|
2023.12.07
|
|
|
【문화】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미술부】
|
|
|
|
2019.12.10
|
|
【문화】
경북도 독도사료연구회에서 새로운 내용 발굴
【독도정책과】
|
|
|
◈ 최근등록순
|
|
2024.09.24
|
|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철조대왕은 즉위 후 서기 1850년 3월 임인일(壬寅日) 판의금부사 이가우(李嘉愚 )와 전라도 병마절도사 채학영(蔡學永)을 대동 파주, 교하에서 3일간 경숙(經宿) 하면서 교하주민 남녀 61세 이상 고령자에게 쌀과 고기를 나누어 주었고 용성부대 부인(龍城府大夫人) 묘소를 전배(展拜)한 후 환궁하였다.
|
|
|
|
2024.05.21
|
|
|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국가유산청 출범을 기념해 5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서울 종로구)에서 대표적 왕실회화인 《화성원행도華城園幸圖》에 최신 가상융합 기술을 활용해 재현한 체험형 디지털 전시 ‘실감 화성實感 華城, 디지털로 체험하는 8일간의 왕실 행차’를 개최한다.【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디지털헤리티지학과】
|
|
|
|
2024.04.21
|
|
|
【문화】
식목왕(植木王) 정조대왕
매년 봄이 시작되면 사람들은 나무를 심는다. 신라는 문무왕 17년(677) 음력 2월 25일(양 4월 5일)에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삼국통일을 이룩해, 이날을 기념하여 나무를 심었다.
|
|
|
|
2024.04.20
|
|
|
【문화】
채제공과 김만덕의 만남
정조와 효의왕후를 대궐에서 알현하고 나온 김만덕은 영상 채제공의 집으로 돌아간 이후, 한양도성의 선비들을 만나 교유하며 제주 한라산의 아름다움과 매년 세차게 불어오는 무서운 태풍 및 흉년의 참상을 모두 설명하였다.
|
|
|
|
2024.02.22
|
|
|
【문화】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 개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4년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23.12.8.-‘24.3.10.) 연계 학술심포지엄 <영·정조 시대 서화 활용>을 개최한다.【미술부】
|
|
|
|
2023.12.07
|
|
|
【문화】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미술부】
|
|
|
|
2019.12.10
|
|
【문화】
경북도 독도사료연구회에서 새로운 내용 발굴
【독도정책과】
|
|
|
|
2018.06.04
|
|
|
【여행】
조선 22대 정조(이산, 재위 1776~1800) 임금이 몹시 사랑한 여인(의빈 성씨)과 장남 문효세자(文孝世子, 의빈 성씨 소생, 5세 사망)가 묻혔던 효창묘(孝昌墓, 현재 용산구 효창공원)에 다녀와 효창공원 역사에 대해 알아본다.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