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부산 광역시 (釜山廣域市)
경상 남도 남동쪽 끝에 자리잡고 있는 항구 도시. 그 전 이름은 부산 직할시였으나, 1995년 3월 1일에 부산 광역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우리 나라에서 서울 다음 가는 대도시이며 국내 제일의 무역항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공동-보도)부산역 주변에서 발견된 '아르헨티나개미', 방제 실시
환경부(장관 조명래),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부산광역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이호중), 국립생태원(원장 박용목), 한국철도공사(사장 손병석)는 6월 21일 오전 관계기관 합동으로 생태계교란 생물인 '아르헨티나 개미(Linepithema humile)' 방제 작업을 실시했다.【생물다양성과 - 김영민 (044-201-7242)】
환경부(環境部) 부산 광역시(釜山廣域市) # 부산역 # 생태계교란 생물 # 아르헨티나 개미
▷ 6월 21일 정밀조사 결과 '아르헨티나 개미' 서식이 확인된 부산역 컨테이너 야적장 및 주변 도로 관계기관 합동 방제 실시
▷ 환경부, '아르헨티나 개미'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6.1~)
 
환경부(장관 조명래),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부산광역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이호중), 국립생태원(원장 박용목), 한국철도공사(사장 손병석)는 6월 21일 오전 관계기관 합동으로 생태계교란 생물인 '아르헨티나 개미(Linepithema humile)' 방제 작업을 실시했다.
 
남미가 원산지인 '아르헨티나 개미'는 사람에게 피해를 입힌 사례는 없으나, 높은 번식력을 지니고 있어 토착 생물종과 먹이 및 서식지 경쟁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10월 부산역 주변 외래생물 예찰 과정에서 '아르헨티나 개미'가 발견됨에 따라 생태계위해성 평가를 거쳐 지난 6월 1일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하고, 부산역을 중심으로 주변 5km 지역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방제는 정밀조사 결과 '아르헨티나 개미'의 서식이 확인된 부산역 철도구역 내 컨테이너 야적장(500m×50m)과 인근 보행자 도로변(1.5km×5m)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화학적 액상 살충제가 땅속에 스며들게 고압 분무 살포하는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환경부 및 관계기관은 국내에서 '아르헨티나 개미'가 완전히 퇴치될 때까지 정밀조사 및 추가 방제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유전자분석 등을 통한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유입 원인, 시기, 발견지점 간의 연계성 등을 규명할 계획이다.
 
아울러 '아르헨티나 개미' 의심 개체를 발견할 경우 국립생태원에서 운영 중인 외래생물 신고센터(041-950-5407)로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아르헨티나 개미'에 대한 정밀조사 및 예찰을 강화하고, 추가 발견 시 선제적 방제를 통해 국내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이 잘 보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임을 밝혔다.
 
붙임 1. '아르헨티나개미' 종 세부정보.
        2. '아르헨티나개미' 출현지점.
        3. 질의/응답.  끝.
 

 
※ 원문보기
환경부(環境部) 부산 광역시(釜山廣域市) # 부산역 # 생태계교란 생물 # 아르헨티나 개미
【환경】(공동-보도)부산역 주변에서 발견된 '아르헨티나개미', 방제 실시
(게재일: 2020.06.21. (최종: 2020.06.21. 19:33))  환경부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 민국의 도시[광역시]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대한민국의 마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