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부산 광역시 (釜山廣域市)
경상 남도 남동쪽 끝에 자리잡고 있는 항구 도시. 그 전 이름은 부산 직할시였으나, 1995년 3월 1일에 부산 광역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우리 나라에서 서울 다음 가는 대도시이며 국내 제일의 무역항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2 (5 등급)
◈ 부산시, 지적재조사사업 ‘최우수기관’ 선정
  부산시(시장 오거돈)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적재조사사업 부문 최우수기관에 선정되었다. 【토지정보과 - 송명수 (051-888-2635)】
부산 광역시(釜山廣域市) # 지적재조사사업
◈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적재조사사업 최우수기관 선정 쾌거… 오늘(19일) 장관 표창 받아
◈ 지적 불부합으로 인한 경계분쟁 등 시민불편을 해소하고 재산권 행사에 기여
 
 
  부산시(시장 오거돈)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적재조사사업 부문 최우수기관에 선정되었다.
 
  부산시는 국토교통부가 주관 ‘2019년 지적재조사사업 추진사항 점검 및 실적 평가’에서 최우수기관에 선정되어 오늘(19일) 세종시 정부청사에서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2019년도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한 17개 광역시·도와 226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사업물량, 완료실적, 바른땅시스템 현행화 및 활용도, 정책지원, 특수시책 등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지적재조사사업은 경계분쟁과 재산권 행사 등에 주민들의 불편사항이 많은 지적불부합지를 새로 조사·측량해 지적공부를 바로잡는 사업으로 지난 2012년 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국가의 역점시책으로 추진되어 왔다.
 
  부산시는 지난 2012년 부산진구 개금지구를 시작으로 63개 사업지구에 대한 지적재조사를 추진해 지금까지 49개 사업지구 10,282필지의 2,234천㎡를 완료했다. 특히, 해당 사업지구 주민들의 숙원인 지적 불부합을 해결해 재산권 행사가 가능해지면서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다. 부산시는 현재 남은 14개 지구 2,549필지에 대한 측량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비 460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30년까지 지적재조사사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드론 등 무인항공기와 3D레이저 스캐너 등 4차산업 최신기술을 활용해 더 정확하고 신뢰받는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부산시가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공감하고, 시민이 행복한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 원문보기
부산 광역시(釜山廣域市) # 지적재조사사업
【행정】부산시, 지적재조사사업 ‘최우수기관’ 선정
(게재일: 2019.12.19. (최종: 2019.12.20. 01:26))  부산광역시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 민국의 도시[광역시]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대한민국의 마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