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4 ~ 1452] 조선의 제 5대 왕(재위 1450~1452년). 이름은 향(珦)이고, 시호는 공순(恭順)이다.
세종의 맏아들로 20년간 세자로 있으면서 문신과 무신을 고르게 쓰도록 하였고, 올바른 말을 할 수 있게 하여 민심을 파악하는 등 세종을 크게 도왔다.
1450년에 세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있는 동안 《
동국병감》 《
고려사》 《
고려사절요》 등이 간행되었고, 군사 제도도 개혁되었다.
학문을 좋아하여 유학, 천문, 역법, 산술 등을 두루 잘 알았고, 초서, 예서를 잘 썼다.
몸이 허약하여 왕위에 오른 지 3년 만에 세상을 떠나고,
단종에게 왕위가 계승되었다.
능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에 있는 현릉(顯陵)이다.
3정승
•
하연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남지 (우의정)
•
황보인 (영의정),
남지 (좌의정),
김종서 (우의정)
■ 즉위 이전
→ 1414 출생
→ 1418 세종 즉위 → 1421 왕세자 책봉
→ 1441 측우기 제작
→ 1442 첨사원이 설치되어 세자(문종)는 왕(세종)의 업무를 대신하여 처리
■ 즉위 이후
→ 1450 문종 즉위
- 심온(세종의 장인)의 복권 - 심온의 후손들이 관직에 진출 가능
- 군사제도를 ‘3군 12사’에서 ‘5사’로 개편
- 화차(수레에 신기전 탑재) 제작 및 실전 배치, 염초 도회관(염초 제작) 설치
- 수양대군 책임하에 어제신진서(진법)와 동국병감(전쟁사) 제작
- 고려사(1451)와 고려사절요(1452) 편찬
- 승려들의 공물 대납으로 발생한 폐단을 시정
→ 1452 승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