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강화군 (江華郡)
경기도 북서부에 자리잡고 있는 군. 1995년 3월에 인천 광역시에 편입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다섯째로 큰 섬인 강화도를 비롯하여 15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8 (4 등급)
◈ 강화도 전등사(명부전, 삼성각, 범종)
강화도 정족산성 안에 있는 전등사(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에 다녀와 본 것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정족산성(삼랑성) 동문,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 공격을 막아낸 양헌수 승전비(梁憲洙 勝戰碑), 소나무 사이로 난 흙길, 대조루(對潮樓), 기와 교체 공사 중인 대웅보전(大雄寶殿), 중생의 질병을 고쳐준다는 약사여래가 있는 약사전(藥師殿)을 이미 소개했고 오늘은 명부전(冥府殿), 삼성각(三聖閣), 극락암(極樂庵), 약수터 및 송나라 철종(鐵鐘)이 있는 종각과 사물(운판, 법고, 범종, 목어)이 있는 범종각(현판 없음)에 대해 알아봅니다.
강화군(江華郡) 강화도(江華島) 전등사(傳燈寺)
강화도 정족산성 안에 있는 전등사(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에 다녀와 본 것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정족산성(삼랑성) 동문,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 공격을 막아낸 양헌수 승전비(梁憲洙 勝戰碑), 소나무 사이로 난 흙길, 대조루(對潮樓), 기와 교체 공사 중인 대웅보전(大雄寶殿), 중생의 질병을 고쳐준다는 약사여래가 있는 약사전(藥師殿)을 이미 소개했고 오늘은 명부전(冥府殿), 삼성각(三聖閣), 극락암(極樂庵), 약수터 및 송나라 철종(鐵鐘)이 있는 종각과 사물(운판, 법고, 범종, 목어)이 있는 범종각(현판 없음)에 대해 알아봅니다.
\na-;▼전등사 배치도
 
\na-;▼정족산성 동문(鼎足山城 東門)
 
\na-;▼양헌수 승전비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 공격을 물리침
 
\na-;▼흙길
 
\na-;▼선불장(選佛場)
 
\na-;▼범종루(좌) 와 대조루(우)
 
\na-;▼대웅보전의 목조 삼존불상(약사여래, 석가모니, 아미타여래), 건물 외부 공사 중
\na-;▼약사전
 
\na-;▼명부전(좌측)과 약사전(우측)
 
\na-;▼명부전(冥府殿)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
☞죽은 이를 재판하는 시왕(十王)이 있는 곳은 명부전, 지장보살을 모셨을 경우에 지장전
 
\na-;▼지장보살 삼존상 및 시왕상(보물 1786호)
☞1636년 조성
☞중앙에 지장보살상(설법인:說法印), 좌우에 무독귀왕(無毒鬼王), 도명존자(道明尊者), 그리고 시왕(十王), 귀왕, 판관, 사자상, 동자상, 인왕상 등 29 존상
 
☞명부전 주련
지장대성위신력(地藏大聖威神力)
항하사겁설난진(恒河沙劫說難盡)
견문첨례일념간(見聞瞻禮一念間)
이익인천무량사(利益人天無量事)
\na-;▼삼성각 가는 길 약수
 
\na-;▼삼성각(三聖閣)
☞(북두)칠성, 산신(령), 독성(나반존자)을 모시며 토속신앙과 불교와 융합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
 
 
☞삼성각 주련
영산석일여래촉(靈山昔日如來囑)
위진강산도중생(威振江山度衆生)
만리백운청장리(萬里白雲靑嶂裡)
운거학가임한정(雲車鶴駕任閒情)
\na-;▼극락암(스님 공간)
 
☞극락암 주련
유물선천지(有物先天地)
무형본적요(無形本寂寥)
불축사시조(不逐四時調)
능위만상주(能爲萬像主)
\na-;▼연등아래 적묵당(종무소), 종각, 극락암, 명부전(좌측부터)
 
\na-;▼종각(철종, 鐵鐘)
☞중국의 철제 종이 보물 393호로 지정된 유일한 종
☞높이 1.64m, 입지름이 1m
☞1097년 중국 회주(懷州) 수무현(修武縣) 백암산(百巖山) 숭명사(崇明寺)에서 주조된 철제 종을 일제강점기 무기 제조에 쓰려고 가져와 부평(富平) 병기창에 있던 것을 광복 후 전등사로 가져옴
 
☞형태가 정상에 두 마리의 용을 갖추고 용 머리 주변에는 16개의 연꽃잎을 돌렸으며, 종의 몸체에는 위쪽에 8잎을 돌리고, 그 밑으로 여러 개의 옆 띠로 위아래를 구분한 다음 위아래 각 8개의 네모 구획을 마련함
\na-;▼달마대사(중국의 고승) 상
 
\na-;▼약수터
 
\na-;▼종무소에 걸린 전등사 현판(김규진 글씨, 안순환 그림)으로 공주 "마곡사"도 동일인이 썼다.
 
\na-;▼장독대
 
\na-;▼4물 (범종, 운판, 법고, 목어)이 있는 범종루로 현판은 없다.
 
\na-;▼무설전 : 현대식 내부 공간으로 조성한 법당과 복합 문화공간(갤러리)
 
▣전등사 관람 정보
①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②관람시간 : 08시~18:00(18:30)
③입장료 :3,000원(문화재를 전부 볼 수 없는데....)
④주차료 : 2,000원(동문과 남문 주차장)
⑤홈페이지 http://www.jeondeungsa.org/
⑥대중 교통: 신촌역(홍대입구역, 합정역 경유) 출발하는 2000번 버스, 김포 라인 지하철 구래 역에서 70번 버스(배차 간격 40분)
\na-;출처: 강화군청, 문화재청, 전등사 홈페이지, 구글, 네이버
 

 
※ 원문보기
강화군(江華郡) 강화도(江華島) 전등사(傳燈寺)
【여행】강화도 전등사(명부전, 삼성각, 범종)
(게재일: 2020.03.02. (최종: 2020.03.02. 09:22))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경기도의 한 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인천의 마을
중구 (中區)
동구 (東區)
남구 (南區)
연수구 (延壽區)
남동구 (南洞區)
부평구 (富平區)
계양구 (桂陽區)
서구 (西區)
강화군 (江華郡)
옹진군 (甕津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