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부안군 (扶安郡)
전라 북도의 서해 연안 중부에 자리잡고 있는 군. 서해에 튀어나온 변산 반도에 걸쳐 있어 3면이 바다이고, 남서부가 산지로 되어 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扶安 蝟島 鎭里 大月褶曲, Daewol recumbent fold in jin-ri, Wido Island, Buan)」을 10월 12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한다.【천연기념물과】
문화재청 부안군(扶安郡) 천연 기념물(天然記念物) # 대월습곡 #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백악기 이후에 형성된 반원형의 거대 횡와습곡으로 높은 지질학적 가치 보유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扶安 蝟島 鎭里 大月褶曲, Daewol recumbent fold in jin-ri, Wido Island, Buan)」을 10월 12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한다.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은 부안군 위도에 위치하는 횡와습곡으로, 백악기 이후에 형성되었다. 백악기 이전에 형성된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형 습곡과는 형성 시기나 과정, 형태 등이 차별성을 가지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고 경관 또한 매우 아름다워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게 되었다.
* 횡와습곡: 수평의 퇴적층이 미는 힘(횡압력)에 의해 주름과 같은 굴곡 형태를 가지는 것이 습곡인데, 이 중 습곡 작용이 고도로 진행되어 습곡의 기울어짐이 거의 수평으로 누운 습곡을 횡와습곡이라 함.
 
거대한 반원형의 형태로 마을에서 오랫동안 ‘큰 달’이라 불리고 있는 대월습곡은 단단해진 이후 횡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일반적인 습곡과는 달리 완전히 굳어지지 않은 지층들이 양탄자(카펫)처럼 말려 거대한 습곡구조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겹겹의 둥근 원형 단면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는 대월습곡은 각각의 색으로 경계가 뚜렷한 지층이 지름 약 40m 가량의 반원을 만들며, 그 모습이 마치 화살 과녁의 일부처럼 보이는 독특한 형태로 푸른 바다와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이번에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됨으로써 부안 위도는 공룡알둥지 화석, 독특한 퇴적구조, 주상절리 등과 함께 한반도의 다양한 지질학적 역사를 보여주는 교육 체험장으로 더욱 많은 관심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대월습곡에 대한 학술조사를 실시하고,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하여 지역주민들과 함께 학술적, 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부안 위도의 대표 자연유산으로 보존·관리할 계획이다.
 
 
<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

 
 
첨부 :
1012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지정(본문).hwpx
1012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지정(본문).hwp
1012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지정(붙임2).pdf
 

 
※ 원문보기
문화재청 부안군(扶安郡) 천연 기념물(天然記念物) # 대월습곡 #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문화】「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지정
(게재일: 2023.10.12. (최종: 2023.10.12. 11:36))  문화재청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전라북도의 마을
전주시 (全州市)
군산시 (群山市)
익산시 (益山市)
정읍시 (井邑市)
남원시 (南原市)
김제시 (金提市)
완주군 (完州郡)
진안군 (鎭安郡)
무주군 (茂朱郡)
장수군 (長水郡)
임실군 (任實郡)
순창군 (淳昌郡)
고창군 (高敞郡)
부안군 (扶安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