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원된 흥양읍성 성벽 모습 ⓒ 오문수
고려말 왜구 침탈에 시달렸던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에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해 행정구역을 개편했다. 행정구역 개편에 나선 고흥이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왜구 방어였다.
고려시대 고흥군 관내에는 태강현, 남양현, 두원현, 고흥현, 도양현, 도화현, 풍안현의 7개 행정구역이 있었다. 고흥은 지정학적으로 해안가에 있어 왜구의 출몰이 빈번했다. <태종실록>에 따르면 장흥, 고흥, 광양 3읍은 바닷가에 위치해 왜구가 배를 대는 곳이라고 여겨 진의 설치를 주장해 일찍부터 관방의 중요성이 대두된 지역이다.
▲ 1872년 흥양현 지도 ⓒ 오문수
그리하여 세종 23년(1441년)에 현의 이름을 고흥의 '흥'자와 남양의 '양'자를 조합해 '흥양현'으로 개명하고 치소를 주월산 아래(현 군청자리)에 정하고 흥양읍성을 축조했다. 흥양이란 지명은 1441년부터 1914년까지 명실공히 고흥을 대표한 지명이었다.
흥양읍성 규모는 주위가 3500척, 높이는 평지가 12척, 높고 험한 지대는 9척 4촌, 여장 높이는 3척이며 적대가 11개소, 문이 2개소로 옹성은 없었다. 여장이 574이고 성안에 우물이 5개소이고 해자도 없었다. 1452년에는 충청, 전라, 경상도 도체찰사 '정분'이 주장해 옹성을 쌓았다.
행정구역이 정비됨에 따라 고흥에는 1개의 첨절제사영과(사도진)과 발포진, 녹도진, 여도진의 3개 만호영이 설치되어 관방이 정비되었다. 이는 전라좌수영 관하 고흥이 거의 4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반도였다는 점과 큰 섬지역이 많았다는 것 때문이었다.
혼신을 다해 군수물자 조달에 힘쓴 고흥
전쟁을 수행하는 데 꼭 필요한 것으로 군인, 무기, 식량을 들 수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전라좌수영 수군으로 참전해 4차례 해전에서 전사하거나 부상당한 211명(사망 38, 부상 173) 중 131명이 고흥 출신이었다. 병사로 참여한 사람도 많았지만 후방에서 배를 만들고 식량을 조달한 사람들도 많았다.
난중일기와 이순신 장계에 따르면 "흥양의 유방군(진지에 머물러 있는 군사)으로 하여금 도양장(도양목장)으로 들어가 농사를 짓게 하고 그 밖의 남은 땅은 백성들에게 나누어 소작하게 하고 말들은 절이도(현 거금도)로 옮겨 모으면 될 것"이라고 조정에 주장하여 실현되었다.
난중일기에 따르면 1593년 7월 7일, 7월 13일 1594년 2월 6일, 11월 23일, 1595년 11월 13일, 1596년 2월 8일, 6월 19일에 고흥에서 군량미가 생산되어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다.
흥양현에서는 비상통신수단인 봉수를 정비하고 병선 건조를 위해 23곳의 소나무밭을 지정해 관리 감독했다. 팔영산, 마북산, 천등산, 소록도 등의 소나무는 전선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초기 좌수영 조선소에서 일했던 214명의 목수 중 1/3인 77명이 고흥 출신이었다.
이순신에 의하면 군량은 거의 전라도에서 나온다고 했다. 백사 이항복은 선조에게 보고하기를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수군 기지인 광양, 순천, 낙안, 흥양 네 고을에 남아있는 공사민물(公私民物)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할 만큼 7년 동안 큰 고난을 겪었다"고 했다.
▲ 앞에 보이는 주택지가 옛 흥양현 선소가 있었던 곳이다. 매립되어 옛모습을 찾을 수 없지만 옛날 기와조각들이 발견되고 있다 ⓒ 오문수
▲ 흥양현 선소가 있었던 도화면 덕흥 마을 인근이 매립되어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 오문수
고흥반도 해안 지역에 집중적으로 포진되어있던 흥양수군은 전라좌수군의 반을 차지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임진왜란이 발발해 전라좌수군이 첫 출전할 때 전라좌수영 함대에 배치된 고흥 수군의 위치를 보면 고흥 수군의 활약상을 알 수 있다.
흥양현감 배흥립 –전부장. 녹도만호 정운 –후부장. 사도첨사 김완 –좌척후장. 여도 권관 김인영 –우척우장. 영군관 나대용 –유군장
발포만호가 부재 중이어서 첫 출전 당시 유군장을 맡았던 나대용은 한산도 해전부터는 황정록으로 교체됐다. 위 기록을 보면 고흥 수군은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수군 함대의 전후좌우를 책임지는 핵심 지휘관들이었다.
고흥 수군 출신지휘관으로 선무원종 1등 공신에 책록된 인물들에는 흥양현감 배흥립, 녹도만호 정운과 그의 후임자 송여종, 사도첨사 김완, 정유재란 시 흥양현감 최희량과 송대립, 송희립, 진무성, 신여량, 송상보, 신제운, 신여탁, 박륜 등이 녹권에 올라있다.
고흥이 번창했던 1973년에는 27만 명에 달했던 인구가 지금 6만 5천 명으로 줄었다. 국가가 풍전등화의 위험에 빠졌을 때 목숨 바쳐 국난을 이겨낸 고흥이 지역소멸의 위험에 처했다는 소식을 듣고 안타까운 마음에 고흥군청 기획실에 들러 고영재 실장으로부터 현황을 청취했다.
▲ 읍성터 자리에 있는 옥하공원에 오르면 고흥 시가지가 내려다 보인다 ⓒ 오문수
"2022년 2월 현재까지 3972호가 귀농 귀촌했습니다. 귀농 귀촌하는 이유요? 고흥은 기후가 온화하고 청정 지역으로 경관이 매우 아름답기 때문입니다. 고흥 지역 주산물은 김, 미역으로 매년 1천 억 이상의 소득을 올리고 있어요. 2019년 통계를 보면 억대 농어가가 1036호에 달하고 있으니 시골에서 살고 싶으면 살기 좋은 고흥으로 오세요."
고흥군에서는 "인구문제해결을 위해 전국 최초로 인구정책과를 신설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 원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