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울산 광역시 (蔚山廣域市)
경상 남도 동북부 울산만에 자리한 시. 면적 1,493㎢, 동쪽은 동해와 접해 있고, 서쪽은 경상 북도 청도군과 경상 남도 밀양시·양산시, 남쪽은 부산 광역시 기장군, 북쪽은 경상 북도 경주시와 접해 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2 (5 등급)
◈ 조선 후기 건축양식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洪川 壽陀寺 大寂光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하고, 국보 「울주 천전리 각석」의 명칭을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로 변경 예고하였다.【유형문화재과】
문화재청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蔚州 川前里 銘文과 岩刻畫) 울주군(蔚州郡) 홍천 수타사(壽陀寺) 홍천군(洪川郡) #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울주 천전리 각석」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로 명칭 변경 예고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洪川 壽陀寺 大寂光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하고, 국보 「울주 천전리 각석」의 명칭을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로 변경 예고하였다.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은 수타사의 주불전(主佛殿)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에 따라 관계전문가 지정조사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하게 되었다.
* 주불전: 석가모니불 또는 아미타불, 비로자나불 등을 모시는 사찰의 중심이 되는 건물
 
홍천 수타사는 관련 기록에 따르면 신라시대 원효(元曉)가 우적산(牛跡山)에 일월사(日月寺)를 창건한 이후, 1569년(선조 2)에 현 위치인 공작산으로 옮겨 지으면서 수타사(水墮寺)로 명칭이 바뀌었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1592년)을 겪으면서 사찰건물이 전소되었고, 1636년(인조 14) 공잠대사(工岑大師)가 사찰을 고쳐 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은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봉안한 법당으로, 불상 뒤 벽면에 비단 바탕에 채색한 영산회상도를 후불탱화로 걸어두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연목(서까래)과 부연(처마 서까래의 끝에 덧얹는 네모지고 짧은 서까래)이 있는 겹처마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로 조선 후기의 건축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다.
대적광전은 규모가 크지 않으나, 부재간의 비례가 잘 잡혀 예술성이 높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불전 건물이다. 특히, 불전 중심에 불단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져 있는 평면 형식과 일부 공포·창방 등에서 조선 중기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1636년(인조 14) 공잠대사의 중건 이후로 중수와 개수에 대해 명확한 사료가 뒷받침되어 건축적·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한편, 이번에 명칭 변경이 예고되는 「울주 천전리 각석」은 1970년 발견이 되어 1973년 국보로 지정된 국가유산이다. 너비 9.5m 높이 2.7m 크기의 바위 면에 기하학적 무늬와 동물, 인물, 배, 기마행렬도 등이 새겨져 있으며, 이와 별도로 신라의 관직명과 조직체계 등 선사시대 이후 여러 시대의 모습을 담은 글과 그림이 있어 국보 지정 당시 ‘각석’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국보 지정 당시에는 기하학적인 문양과 각종 인물상, 동물상이 표현된 암각화보다는 제작시기와 내용이 명확한 신라시대 명문이 학술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았으나, 이후 암각화에 대한 다양한 조사 연구가 이루어져 선사시대 그림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면서 관계전문가의 조사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명문과 암각화의 중요성이 모두 포함된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로 이번에 명칭을 변경하게 되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과 명칭 변경을 예고한 국보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각각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하고, 명칭을 변경할 예정이다.
 
 
<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
 
 
<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로 명칭 변경 예고한 울주 천전리 각석 >
 
 
첨부 :
1229 조선 후기 건축양식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보물 지정 예고(본문).hwpx
1229 조선 후기 건축양식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보물 지정 예고(본문).hwp
1229 조선 후기 건축양식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보물 지정 예고(붙임3).pdf
 

 
※ 원문보기
문화재청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蔚州 川前里 銘文과 岩刻畫) 울주군(蔚州郡) 홍천 수타사(壽陀寺) 홍천군(洪川郡) #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문화】조선 후기 건축양식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보물 지정 예고
(게재일: 2023.12.29. (최종: 2023.12.31. 20:30))  문화재청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 민국의 도시[광역시]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대한민국의 마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