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중국 (中國)
아시아 대륙의 동부를 차지하는 나라. 정식 이름은 중화 인민 공화국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참고)코로나 상황에도 미세먼지 한중협력은 계속된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4월 9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 6동 환경부 회의실에서 중국 생태환경부와 미세먼지 등 한중 환경협력사업 논의를 위한 고위급 영상회의를 개최하였다.【대기환경정책과 - 조순이 (044-201-6879)】
환경부(環境部) 미세먼지(微細--) 중국(中國) # 중국 생태환경부 # 황석태
▷ 한국(환경부)-중국(생태환경부) 고위급 영상회의 개최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공유 등 청천계획 실행력 강화에 맞손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4월 9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 6동 환경부 회의실에서 중국 생태환경부와 미세먼지 등 한중 환경협력사업 논의를 위한 고위급 영상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영상회의에 환경부는 황석태 생활환경정책실장이 참석하였고, 중국 생태환경부는 국제합작사 궈징 사장이 참석하였다.
 
최근 양국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면협의가 어려워짐에 따라 서신교환, 영상회의 등을 통해 각종 협력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이번 영상회의는 우리 정부의 제안에 따라 마련된 것이다.
 
황석태 실장과 궈징 사장은 양국의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공유 등 '청천계획 2020년 세부 이행계획'에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고, 이행계획에 대한 실행력 강화에 뜻을 모았다.
 
이행계획은 대기오염과 관련된 정책·기술교류, 공동조사·연구, 산업박람회 개최, 계절관리제 정책 및 성과 공유, 배출권거래제 정책대화 등 총 9개의 협력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중협력이 그 간의 공동 조사·연구 위주에서 정책·기술·산업분야까지 확대되어 중국의 미세먼지 감축 노력을 배가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3월 31일 양국은 2019년 11월에 한중 환경장관이 체결한 '청천계획(晴天, 푸른 하늘) 양해각서'의 후속 실행방안으로 이행계획을 확정하였으며, 우편을 통해 최종 서명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
 
이날 회의에서 양국은 코로나19 대응상황에서도 서면이나 영상회의 등을 통해 협력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코로나19 상황이 안정화되는 대로 대면회의도 조속히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우선, 양국은 지난 3월로 종료된 양국의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의 내용과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양국 전문가 영상회의를 4~5월중에 개최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한, 양국은 청천컨퍼런스와 제2차 한중 연례 환경장관회의 개최시기에 대하여 상호의견을 나누고, 가능한 빨리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하였다.
 
청천컨퍼런스는 청천계획 이행과 관련된 양국의 당국자와 과학자 간 소통의 장으로 올해 처음 개최될 예정이며, 제1차 한중 연례 환경장관회의는 작년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바 있다.
 
황석태 실장은 "미세먼지 문제는 한중 국민 모두에게 절박한 사안으로 양국 정부는 각자 또 함께 문제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우리 정부는 중국의 실질적인 미세먼지 감축 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중국과의 협력구조를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1. 청천계획 2020년 세부 이행계획 주요 내용
        2. 용어정의.  끝.
 

 
※ 원문보기
환경부(環境部) 미세먼지(微細--) 중국(中國) # 중국 생태환경부 # 황석태
【환경】(참고)코로나 상황에도 미세먼지 한중협력은 계속된다
(게재일: 2020.04.09. (최종: 2020.04.13. 10:30))  환경부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중국의 역사(시대) 구분.
중국의 행정구역
직할시 (4)
화북구 (2)
허베이성 (河北省), 산시성 (山西省)
서북구 (3)
산시성 (陝西省), 간쑤성 (甘肅省), 칭하이성 (靑海省)
동북구 (3)
랴오닝성 (遼寧省), 지린성 (吉林省), 헤이룽장성 (黑龍江省)
화동구 (6)
장쑤성 (江蘇省), 저장성 (浙江省), 안후이성 (安徽省), 장시성 (江西省), 푸젠성 (福建省), 산둥성 (山東省)
중남구 (5)
허난성 (河南省), 후베이성 (湖北省), 후난성 (湖南省), 광둥성 (廣東省), 하이난성 (海南省)
서남구 (3)
쓰촨성 (四川省), 윈난성 (雲南省), 구이저우성 (貴州省)
자치구 (5)
특별행정구 (2)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동북아시아의 마을
대한민국
북한
중국
몽골
타이완
일본
홍콩(중)
마카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