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9월 19일 (금)
(음 7월 28일, 辛卯 )
집계기준 : 2025년 9월 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운수 좋은 날
•
훈민정음해례
•
천변풍경(川邊風景)
•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
길재(吉再)
•
언해(諺解)
•
파미르 고원
•
김유정(金裕貞)
•
삼대(三代)
•
일리노이 주
•
김종서(金宗瑞)
•
맹자언해(孟子諺解)
•
심청전(沈淸傳)
•
원천석(元天錫)
•
서기(書記)
•
이존오(李存吾)
•
김천택(金天澤)
•
이황(李滉)
•
조선 단종(端宗)
▣
지청천 (池靑天)
바로가기
[1888 ~ 1959] 독립 운동가, 정치가. 호는 백산(白山), 본래의 이름은 대형(大亨)이며, 이청천이라고도 불렸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복장을 받았다.
인물
:
인물 > 한국
[1888 ~ 1959] 독립 운동가, 정치가. 호는 백산(白山), 본래의 이름은 대형(大亨)이며, 이청천이라고도 불렸다.
구한국때 정부의 유학생으로 일본 육군 사관 학교를 졸업했다.
1919년
에 일본군에서 탈출하여 만주로가
신흥 무관 학교
에서 독립군 간부를 양성했고,
김좌진
등과
대한 독립 군단
을 조직하여 항일 운동에 앞장 섰으며,
1940년
에 임시 정부의
광복군
총사령관이 되었다.
1945년 광복이 되자 귀국하여
대동 청년단
을 조직하고, 그 단장이 되어 청년 운동을 하다가 무임소 장관, 제헌 국회 의원, 제2대 국회 의원을 지냈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복장을 받았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지청천
(池靑天)
1888
1919년
1940년
1889
김좌진
(金佐鎭)
1920
신흥 무관 학교
1920
대한독립군단
1929
한국독립군
1940
광복군
(光復軍)
1947
대동 청년단
(중복)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독립군
(獨立軍)
건국훈장
한국의 독립운동
1947년
1920년
1856
이범윤
(李範允)
1857
구춘선
(具春先)
1866
나중소
(羅仲昭)
1868
이시영
(李始榮)
1868
홍범도
(洪範圖)
1881
서일
(徐一)
1898
김홍일
(金弘壹)
1900
이범석
(李範奭)
1914
간도국민회
1919
대한 독립군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
북로 군정서
1919
의군부
(義軍部)
1919
군무도독부
1920
서로 군정서
1930
한국 독립당
1948
대한청년단
쌍성보전투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19
3·1 운동
(三一運動)
1920
봉오동 전투
1920
청산리 전투
1921
자유시 사변
•
최해(崔海)
•
한족회(韓族會)
•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
대전자령 전투
•
정의부(正義府)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A) 기본 자료
기본 자료
[사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기념사진
(1940. 9. 17.)
(7)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국가보훈처
2019.08.30
◈
'19년 9월의 독립운동가 지청천 장군 선정
【--】
19년 9월의 독립운동가 지청천 장군 선정【공훈관리과 - 이영자 (044-202-5780)】
2
|
국가보훈처
,
독립 기념관
,
지청천
,
독립운동가
,
광복회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국가보훈처
2018.12.27
◈
2019년 <이달의 독립운동가> 13인 선정·발표
【--】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내년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2019년 ‘이달의 독립운동가’ 13인을 선정·발표했다.【공훈관리과 - 김슬기 (044-202-5771)】
0
|
국가보훈처
,
한용운
,
지청천
,
이동휘
,
윤봉길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항일무장투쟁의 씨앗이 된 신흥무관학교 - 영상한국사 (40)
[역사 > 한국역사] (2)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광복군을 창설하고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다 - 영상한국사 (193)
[역사 > 한국역사] (0)
일본육사출신 김경천과 신흥무관학교 - 영상한국사 (150)
[역사 > 한국역사] (0)
장교 출신의 남만주 삼천(三天), 독립군을 길러내다 - 영상한국사 (39)
[역사 > 한국역사] (0)
여성독립운동가들 3. 남성독립투사들의 든든한 동반자이자 조력자 - 역덕이슈 오늘 (54)
[역사 > 한국역사] (0)
광복군, 임시정부의 국군 - 역덕이슈 오늘 (29)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