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9월 18일
|
신라 경덕왕 10년, 발해 문왕 15년
불국사, 석굴암 건립
|
|
|
|
|
|
|
|
|
|
|
|
|
|
|
|
|
|
|
중국 당나라 때의 조세 제도. 세금을 여름 (6월)과 가을(11월) 두 차례로 나누어 거둬들인 제도이다.
|
|
|
|
|
|
신라 원성왕 10년, 발해 성왕 2년, 강왕 원년갑술년(甲戌年)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인 정부(4년차) / 코로나19 진행중...
조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 취임.
|
|
|
|
|
문제인 정부(3년차) / 코로나 19 대유행. 제21대 총선 (더불어민주당 : 163석, 미래한국당 : 103석)
|
|
|
|
|
|
문제인 정부(2년차) / 아프리카돼지열병 유행.
|
|
|
|
문제인 정부(1년차) /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정상회담
|
|
|
|
|
|
문제인 정부 출범 / 김정남 피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인천 초등학생 살해, 문제인 대통령 당선, 어금니아빠 사건, 북한군병사 귀순, 포항지진, 샤이니 종현 자살, 제천 화재
|
|
|
|
|
|
박근혜 정부(3년차) / 최순실게이트,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소추 의결, 촛불집회
|
|
|
|
|
|
|
|
|
박근혜 정부(2년차) / 김영란법 통과, 메르스 사태
|
|
|
|
|
|
|
|
|
|
박근혜 정부 출범. 4대강 문제, 일본의 역사왜곡
|
|
|
|
이명박 정부(4년차) / 한미 FTA 발효. 싸이 강남 스타일 세계적 선풍적인기 몰이
|
|
|
|
|
|
|
|
|
이명박 정부(3년차) / 김정일 사망, 평창동계올림픽 결정, 본격적으로 K-pop열풍 시작
|
|
|
|
|
|
이명박 정부(2년차) / 2010동계올림픽 김연아 세계신기록 갱신, 천안함 침몰 사건, 나로호 공중폭발
|
|
|
|
|
|
|
이명박 정부(1년차) / 5월 25일 노무현 전대통령 자살로 서거 국민장
|
|
|
|
|
|
|
|
|
|
노무현 정부(4년차) / 노무현 대통령, 제2차 남북정상회담개최.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발표
|
|
|
|
노무현 정부(3년차) / 황우석 교수 논문 조작, 한일 독도 분쟁,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당선
|
|
노무현 정부(2년차) /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사건, 최전방 총기난사
|
|
|
노무현 정부(1년차) / 노무현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국회를 통과
|
|
|
|
|
|
• 김대중 정부(4년차) / 2002년 축구 월드컵이 한국과 일본에서 공동 개최
|
|
|
|
|
|
|
|
• 김대중 정부(2년차) / 6·15 남북 공동 선언
|
|
|
|
|
|
|
|
|
|
|
|
|
|
• 김영삼 정부(4년차) / 북한의 황장엽 노동당서기관 망명
|
|
|
|
• 김영삼 정부(2년차) / 세계 무역 기구가 발족하다. 부동산실명제 실시. 삼풍 백화점 붕괴
|
|
|
• 김영삼 정부(1년차) / 북한 김일설 사망. 성수대교 붕괴
|
|
|
|
|
제14대 김영삼 대통령 취임. 소말리아 UN 활동 참여, 금융실명제 실시
|
|
|
|
|
|
|
|
|
|
|
|
• 노태우 정부(4년차) / 바르셀로나 올림픽 황영조선수, 마라톤 금메달 획득
|
|
|
|
|
|
|
|
|
|
|
|
|
|
|
|
|
• 노태우 정부(3년차) /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지방자치제 부활,
국제노동기구ILO가입, 제5차 남북고위급 회담, (남북 화해, 불가침, 교류협력을 위한 합의서) 채택
소연방 해체, 독립국가공동체 출범
|
|
• 노태우 정부(2년차) / 민주자유당 출범(3당 합당), 한,소 수교
독일 통일
|
|
|
|
• 노태우 정부(1년차) / 루마니아, 차우세스쿠 대통령 처형, 헝가리.폴랜드 등 동국권국가와 수교
|
|
|
|
|
|
|
|
|
|
제 13대 노태우 대통령 취임(제6공화국 출범). 제24회 서울 올림픽경기대회 개최
|
|
|
|
|
|
• 제5공화국 (7년차) / 6월항쟁, 6.29선언 공표. KAL858기 폭파사건. 제13대 대통령선거 실시(노태우 후보 당선)
|
|
|
|
|
• 제5공화국 (6년차) / 서울, 제10회 아시안 게임 개최
고르바초프, 페레스트로이카 추진,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개시
|
|
• 제5공화국 (5년차) / 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채택.
|
|
|
• 제5공화국 (4년차) / 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자회담 제의.
|
|
|
|
|
|
[1911 ~ ] 영국의 소설가. 오랫동안 교직에 있어서 문단 진출이 늦었으나, 1954년에 처녀작이자 출세작인 《파리 대왕》을 출간했다. 1983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
• 제5공화국 (3년차) / KAL기 소련에 피격. 버마 아웅산 묘소 폭발 사건, 이산 가족찾기 TV 생방송
|
|
|
|
|
• 제5공화국 (2년차) / (전두환 대통령) 프로야구 출범
|
|
|
|
• 제5공화국 (1년차) / 대한민국, 전두환대통령, 제12대 대통령 당선 (제5공화국 출범),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
[1916 ~ 1997] 프랑스의 정치가. 제2차 세계 대전에 출전하여 독일군의 포로가 되었으나 탈출하여 저항 운동을 폈다. 전후에 사회당 출신 하원 의원이 되었고 정보 장관·내무상 등 요직을 거쳐, 1981년의 선거에서 프랑스 사상 최초로 사회당 출신의 대통령이 되었다.
|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최규하 대통령 하야. 전두환,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제5공화국헌법 확정.
제22회 모스크바 올림픽대회, R.레이건 공화당후보, 미국 제40대 대통령에 당선
|
|
|
|
|
충청 남도 태안군 안면읍을 이루는 섬. 읍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우리 나라에서 여섯째로 큰 섬이다. 대개 50m 미만의 낮은 구릉이고, 서해안에는 모래톱이 발달되었다.
|
|
|
|
충청 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에 있는해수욕장. 태안 반도와 안면도의 황해안 일대에 지정된 태안 해안 국립 공원에 들어 있다.
|
|
|
• 2025년 9월 17일
|
판소리 열두 마당. 「자치가(雌雉歌)」라고도 한다. 내용은 장끼가 까투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탁첨지가 덫에 놓은 콩을 먹고 죽게 되자, 까투리는 참새·소리개와 혼담을 하다가 홀아비 장끼를 만나 재혼하고 자손이 번창하였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꾸민 것이다.
|
|
|
|
• 2025년 9월 16일
|
중국 원나라 말기에 허베이성(河北省) 일대에서 일어난 한족 반란군. 머리에 붉은 두건(頭巾)을 둘렀다고 해서 홍건적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홍두적(紅頭賊) · 홍적(紅賊)이라고도 한다.
|
|
[? ~ ?] 고려 후기 문신. 자는 광한(光漢)·선경(善卿), 호는 두계(杜溪)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
|
[? ~ ?] 고려 후기 문신. 자는 통경(通卿), 호는 수은당(樹隱堂)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전라북도 남원(南原) 출신이다.
|
|
[1400 ~ 1453] 조선 전기에, 예문관직제학, 진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승원(鄭承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해(鄭諧)이고, 아버지는 정구령(鄭龜齡)이며, 어머니는 박문로(朴文老)의 딸이다.
|
|
[1576 ~ 1654] 조선 후기에, 형조판서, 부호군, 지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
|
[1609 ~ 1677] 조선 후기에, 우의정, 좌의정, 중추부영사 등을 역임한 문신.
|
|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SLBM】 전략 잠수함에서 발사할 수 있도록 개량한 탄도 미사일이다.
|
|
|
|
[1915 ~ 2000]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
|
|
|
국회에서 법안이나 안건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국회법 제85조의 2에 규정되어 있으며, 패스트트랙이라고도 한다.
|
|
|
필리버스터(filibuster) 또는 합법적 의사진행 방해(合法的 議事 進行 妨害)는 의회 운영 절차의 한 형태로서, 입법부나 여타 입법 기관에서 구성원 한 사람이 어떤 안건에 대하여 장시간 발언하여 토론을 포기하고 진행되는 표결을 지연하거나 완전히 막고자 하는 행위이다.
|
|
[1676 ~ 1722]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후손이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기언정(奇彦鼎)의 아버지.
|
|
[1509 ~ 1574] 본관이 고흥(高興)으로, 자는 중한(仲翰), 호는 장춘이다. 아버지는 유해(柳瀣)이며,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로 전라좌수사 이종인(李宗仁)의 딸이다.
|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화동마을에 있는 정자이다. 2002년 4월 19일 전라남도의 기념물 제201호로 지정되었다.
|
|
|
|
함평 이씨 이종인이 1570년경 건립한 정자인데 그는 중종, 명종 대에 함경북병사 및 수군절도사 병조판서 등을 지냈고 1500년 절충장군이 되었으며 1521년 전라좌수사로 왜구를 격퇴하였다. 정자는 수 차례 퇴락과 중수를 거듭해오다가 1865년(고종 2) 후손들에 의해 중건되었다.
|
|
|
|
|
|
|
|
|
|
|
|
[1457 ~ 1521] 조선 시대의 문신. 호는 창계,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흠지(欽之)이다.
|
|
[? ~ ?] 조선전기 영안남도병마절도사, 동지중추부사, 겸사복장 등을 역임한 무신.
|
|
조선시대에 특정한 관직을 부여받지 않은 상태에서 군무에 종사하는 것을 일컫는 용어.
|
|
남북 간의 긴장완화와 관계개선을 위한 총리급 회담. 1990년 9월에 남북 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남북고위급회담이 개최된 이후 1992년 10월까지 8회에 걸쳐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개최되었다.
|
|
|
|
|
1992년 6월19일 러시아 페테르부르크에서 서유럽연합(WEU) 9개 회원국이 국방·외무장관 회의를 갖고 역외 분쟁지역의 평화유지활동을 위한 병력파견을 비롯, 군사적 역할을 확대하기로 합의한 선언.
|
|
• 제1공화국 (5년차) / 휴전협정 조인, 제1차 통화개혁 실시
|
|
|
|
|
• 제1공화국 (2년차) / 6.25전쟁 발발
|
|
|
[1886 ~ 1963] 룩셈부르크 태생의 프랑스 정치가이다. 기독당이자 유럽 연합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전후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기타 서유럽의 중요 자원을 공동 관리하는 '쉬망 플랜'을 제창하여 유명해졌다.
|
|
|
1984년 6월 유럽 공동체(EC) 각료 이사회에서 설치한 기구. 설치 목표는 설립 이후 EC가 계속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럽 통합을 시민 생활·사회 생활면에서 추진하기 위한 것이었다.
|
|
• 2025년 9월 15일
|
• 제4공화국 (4년차) / 제21회 몬트리올올림픽 개막.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
|
|
|
|
[1950 ~ ] 친구인 스티브 잡스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립자로서, 그가 만든 애플 I(애플 원)은 초기 개인용 컴퓨터 중 하나이며, 디스플레이와 키보드가 달린 현재의 형태를 갖춘 최초의 컴퓨터이다.
|
|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경상남도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일어난 반정부 항쟁 사건.
|
|
|
|
1979년 3월 28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미들타운에서 일어난 멜트다운 사고. 국제 원자력 사고 척도에 따르면 시설외까지 위험을 수반한 사고(레벨 5)로, 윈드스케일 화재와 같은 등급이다.
|
|
|
• 제4공화국 (6년차) /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9대 대통령 당선. (7월 6일)
|
|
|
|
• 제4공화국 (5년차) /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81)
|
|
|
• 제4공화국 (2년차) / 긴급조치 1,2,3호 선포, 육영수 여사 피격 사망, 북한 땅굴 발견
|
|
|
|
• 제4공화국 (1년차) / 6.23평화통일 외교정책 공표, 김대중 납치사건
제1차 석유파동 발생
|
|
|
• 제4공화국 시작 /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76) , 7, 4 남북공동성명 발표. 10월유신,
|
|
|
• 제3공화국 (8년차) / 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중화인민공화국, 유엔 가입
|
|
|
|
|
• 제3공화국 (7년차) / 경부고속도로 개통, 새마을운동 시작
|
|
|
|
|
• 제3공화국 (5년차) / 1.21사건 발발, 김신조 생포. '국민교육헌장' 선포
|
|
|
|
• 제3공화국 (4년차)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시작. 제6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후보 당선)
제3차 중동전쟁 발발
|
|
|
|
|
• 제3공화국 (3년차) / 한.미 행정협정 조인. 백마부대 제1진 월남 상륙
|
|
|
• 제3공화국 (2년차) / 한.일 협정 조인
|
|
|
|
|
|
|
|
|
윤보선 대통령 사임.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대통령권한대행.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6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