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난중일기(亂中日記)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이순신(李舜臣)
•
이상(李箱)
•
만복사저포기
•
조용조(租庸調)
•
시경(詩經)
•
날개(-)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김현감호 설화
•
상춘곡(賞春曲)
▣
동문선 (東文選)
바로가기
조선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등이 엮은 것으로 신라 이후 조선 숙종 때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은 책. 목록 3권, 정편 130권, 속편 21권으로 총154권 4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
:
유물 > 고도서 > 문집
조선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등이 엮은 것으로 신라 이후 조선 숙종 때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은 책. 목록 3권, 정편 130권, 속편 21권으로 총154권 4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편은 성종 9년(
1478년
)에
서거정
이 완성하였고, 속편은 중종 13년(
1518년
)에
신용개
등이 엮은 것을 숙종 39년(
1713년
)에 대제학
송상기
등이 개편한 것이다.
정편에는 신라 이후 조선 초기까지의 시문을 실었고, 속편에는 이후 숙종 때까지의 시문을 실었다.
[숨기기]
동문선
(東文選)
조선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등이 엮음
신라 이후 조선 숙종 때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음
목록 3권, 정편 130권, 속편 21권으로 총154권 45책으로 구성
정편은 성종 9년(1478년)에 서거정이 완성
속편은 중종 13년(1518년)에 신용개 등이 엮음
숙종 39년(1713년)에 대제학 송상기 등이 개편
정편에는 신라 이후 조선 초기까지의 시문을 실었고
속편에는 이후 숙종 때까지의 시문을 실었다.
◈ 지식지도
관계
동문선
(東文選)
1478
사림파
(士林派)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1713년
1518년
1478년
15세기
(15世紀)
16세기
(16世紀)
18세기
(18世紀)
1710년대
1510년대
1470년대
1710년
1711년
1712년
1714년
1715년
1716년
1717년
1718년
1719년
1510년
1511년
1512년
1513년
1514년
1515년
1516년
1517년
1519년
1498년
1471년
1472년
1474년
1476년
1477년
1420
서거정
(徐居正)
1463
신용개
(申用漑)
1417
신숙주
(申叔舟)
1431
김종직
(金宗直)
1438
신면
(申㴐)
1454
남효온
(南孝溫)
1471
남곤
(南袞)
1518
속동문선
1433
향약집성방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1477
태평한화골계전
동인시화
(東人詩話)
필원잡기
(筆苑雜記)
1484
동국통감
(東國通鑑)
1530
신증동국여지승람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06
중종 반정
(中宗反正)
1713
위트레흐트 조약
(미정의)
송상기
•
이곡(李穀)
•
조선 성종(成宗)
•
가전체 문학
•
신도비(神道碑)
•
공방전(孔方傳)
•
국선생전(麴先生傳)
•
국순전(麴醇傳)
•
대동 시선(大東詩選)
•
저생전(楮生傳)
•
죽부인전(竹夫人傳)
•
청강사자현부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동문선
총서
총서
(5)
◈ 참조 원문/전문
(총 14 작품) [
모두보기
]
국선생전
麴先生傳
고전 소설
이규보
(176)
예산은자전
猊山隱者傳
고전 수필
최해 (崔瀣)
(25)
죽부인전
竹夫人傳
고전 수필
이곡(1298~1351)
(17)
배열부전
裵烈婦傳
고전 수필
이숭인
(17)
정시자전
丁侍者傳
고전 소설
식영암(息影庵)
(16)
저생전
楮生傳
고전 소설
이첨(李詹)
(16)
상률가
橡栗歌
한시
윤여형(尹汝衡)
(15)
절부조씨전
節婦曺氏傳
고전 수필
이곡 (李穀)
(9)
취후
醉後
한시
정지상
(4)
장안춘일유감
長安春日有感
한시
최광유(崔匡裕)
(4)
석죽화
石竹花
한시
정습명(鄭襲明)
(3)
화사제고우시
和舍弟苦雨詩
한시
김돈중(金敦中)
(2)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