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9월 20일 (토)
(음 7월 29일, 壬辰 )
집계기준 : 2025년 9월 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김유정(金裕貞)
•
봉준호(奉俊昊)
•
김영랑(金永郞)
•
아이리스 아웃
•
미주리 주(State of Missouri)
•
삼전도비(三田渡碑)
•
마니산(摩尼山)
•
어제경세문답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김기림(金起林)
•
강화 장곶돈대
•
원천석(元天錫)
•
이황(李滉)
•
김유기(金裕器)
•
이명선(李明善)
•
김우규(金友奎)
•
김장생(金長生)
•
조선 태종(太宗)
•
신안군(新安郡)
▣
김옥균 (金玉均)
바로가기
[1851 ~ 1894] 조선 고종 때의 정치가 호는 고균(古筠), 또는 고우(古愚)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851 ~ 1894] 조선
고종
때의 정치가 호는 고균(古筠), 또는 고우(古愚)이다.
일찍이 개화 사상에 눈을 뜨고 일본에 건너가 새 문물을 시찰하였다.
1884년
에
홍영식
등과
갑신정변
을 일으켜 새 내각을 조직하였으나 청나라의 개입으로 정변이 3일 천하로 끝나자 일본을 거쳐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1894년
상하이에서 자객 홍조우에게 암살당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김옥균
(金玉均)
1851
1894년
1884년
1831
유홍기
(劉洪基)
1855
홍영식
(洪英植)
1863
조선 고종
(高宗)
1884
갑신정변
(甲申政變)
개화파
(開化派)
1881
신사 유람단
1881
영선사
(領選使)
1894
동학 운동
(東學運動)
1907년
1881년
1863년
1897
대한 제국
(大韓帝國)
1783
정원용
(鄭元容)
1786
김정희
(金正喜)
1796
조두순
(趙斗淳)
1807
박규수
(朴珪壽)
1808
신정 왕후
(神貞王后)
1815
흥인군
(興寅君)
1816
홍순목
(洪淳穆)
1818
여흥부 대부인 민씨
1820
흥선 대원군
1825
김병국
(金炳國)
1827
조병세
(趙秉世)
1831
오경석
(吳慶錫)
1832
김병시
(金炳始)
1836
민규호
(閔奎鎬)
1842
김홍집
(金弘集)
1842
홍만식
(洪萬植)
1845
이재면
(李載冕)
1849
조선 철종
(哲宗)
1849
박영교
(朴泳敎)
1851
명성 황후
(明成皇后)
1859
서광범
(徐光範)
1861
박영효
(朴泳孝)
1866
서재필
(徐載弼)
1907
조선 순종
(純宗)
1874
개화당
(開化黨)
1880
통리기무아문
1935
고종실록
(高宗實錄)
1866
병인 박해
1866
병인 양요
(丙寅洋擾)
1866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8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1871
신미양요
(辛未洋擾)
1882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4
한성 조약
(漢城條約)
1885
톈진 조약
(天津條約)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1895
을미사변
(乙未事變)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
이봉구(李鳳九)
•
서상우(徐相雨)
•
이수정(李樹廷)
•
지운영(池雲英)
•
송병준(宋秉畯)
•
변수(邉燧)
•
정난교(鄭蘭敎)
•
배정자(裵貞子)
•
한성 순보(漢城旬報)
•
급진 개화파
•
능지(凌遲)
•
박문국(博文局)
•
수구당(守舊黨)
◈ 최근등록순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9.24
◈
울릉도 주민, 53년 4월 의용수비대 결성해 독도 상륙...일본 순시선 접근하자 격퇴 영토 수호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7) - 독도의용수비대 2024년은 매우 뜻깊은 해이다. 독도등대가 개설된 지 70주년을 맞이하였고, 국립경찰이 상주하면서 영토를 수호(守護)한 지 70주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이다. 국립경찰이 독도에 들어가 영토를 수호하기 전에 울릉도 주민들이 앞장을 서서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를 자주 침범하는 일본의 순시선을 막기 위하여 1953년 4월 20일에 독도에 상륙하였다.
3 (+2)
|
김옥균
,
전서구
,
독도등대
,
홍순칠
,
독도의용수비대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최익현 vs 김옥균
[역사 > 한국역사] (0)
갑신정변은 왜 일어났나? - 영상한국사 (056)
[역사 > 한국역사] (0)
김옥균과 홍종우의 엇갈린 운명 - 영상한국사 (059)
[역사 > 한국역사] (0)
김옥균, 조선 최초의 파리유학생에게 암살되다 - 역덕이슈오늘 (04)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