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역사지도
세계지도
지도
역사지도
about 세계지도
◈ 역사지도 ◈
권 역 :
일치 접근
위 치  :  28°N 89°E ~ 4°N 123°E   (50 %)
-20° -10° 90° 100° 110° 120° 광주시 광저우 복주시 푸저우 곤명시 쿤밍 元(원) 大越國(대월국) 아유타야 왕국 (Ayutthaya) 수코타이 왕국 (Sukhothai) 占婆(참파) (Champa) 크메르제국 (Khmer) 란쌍 왕국 (Lanxang) 항사워디 왕국 (Hanthawaddy K.)
바탕 지도 :
작 업 : 권역별 년도별
년 도 : 이동 :    
1
동남아 (참파, 192)
[192년 ~ 1832년] 베트남 중부 지방에 위치해 있던 말레이계의 구 참족이 세운 왕국이다.
동남아 (베트남)
192 ~ 1832
2
남유럽 (동로마제국, 영토 잃음, 644년)
[395년 ~ 1453년]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할된 395년부터 476년까지 서방 황제의 치하로 존속한 로마 제국의 연속체로, 공식 국호는 이전과 같은 로마 제국이다.
로마 (동로마제국)
644 ~ 1453
3
동남아 (크메르 제국, 802)
[802년 ~ 1431년] 동남아시아에서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존속한 힌두교/불교 제국이다.(앙코르 제국/캄부자국)
동남아 (캄보디아)
802 ~ 1431
4
서유럽 (나바라 왕국, 824년~)
[824년 ~ 1841년] 중세 유럽의 한 나라이다. 대서양 연안의 피레네산맥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바스크 대부분을 영유하고 있었다.
유럽 (나바라 왕국)
824 ~ 1492
5
영국 (스코틀랜드 왕국, 843)
[843년 ~ 1707년] 그레이트브리튼섬의 북쪽 1/3을 차지하고 있던 유럽의 옛 나라이다. 843년에 처음 세워졌으며, 1707년 연합법으로 잉글랜드 왕국과 합쳐져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유럽 (스코틀랜드 왕국)
843 ~ 1707
6
티베트 (구게)
[866 ~ 1630] 티베트고원의 중앙에 성립된 고대왕국으로, 617년에서 842년 까지 2백여년간 지속된 티베트 지역 역사상 국력이 가장 강했던 왕조였다.
중국 티베트 (토번)
866 ~ 1630
7
영국 (잉글랜드 왕국, 927)
[927년 ~ 1707년] 그레이트브리튼섬의 남쪽을 차지했던 옛 나라로 지금의 웨일스와 잉글랜드를 영토로 했다.
유럽 (잉글랜드 왕국)
927 ~ 1707
8
동유럽 (폴란드 왕국, 960년 ~)
[960년 ~ 1572년] 1025년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 지역에 존속한 왕국이었다.
동유럽 (폴란드)
960 ~ 1572
9
서유럽 (신성로마제국, 962)
[962년 ~ 1806년] 중세 초기에 형성되어 1806년 해체될 때까지 중앙유럽에서 발달한 다민족 영토복합체 제국이다.
유럽 (신성로마제국)
962 ~ 1806
10
서유럽 (프랑스 왕국, 987)
[987년 ~ 1792년] 프랑스의 왕정 시대를 말하는 것으로, 카페 왕조가 들어선 987년부터 루이 16세의 퇴위 이전인 1792년까지의 프랑스를 뜻한다.
유럽 (프랑스왕국)
987 ~ 1792
11
고려의 영토 회복 (강동6주, 993)
993년 요나라의 제1차 침입 때 서희가 요나라 장수 소손녕과 담판하여 영유권을 인정받은 고려 서북면의 영토이다.
대한민국 (고려시대)
936 ~ 1356
12
동유럽 (헝가리 왕국, 1000년 ~)
[1000년 ~ 1918년] 1000년부터 1946년까지 지금의 헝가리와 주변 국가에 있었던 군주제 국가이다. 1526년부터 1918년까지는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헝가리 국왕을 겸임하였다
동유럽 (헝가리)
1000 ~ 1867
13
서유럽 (아라곤 왕국, 1035년~)
[1035년 ~ 1492년] 이베리아반도의 중세 및 초기 근대 왕국이었다.
유럽 (아라곤 왕국)
1035 ~ 1492
14
동남아 (대월국, 1054)
[1054년 ~ 1804년] 1054년~1804년까지 사용된 베트남의 국호로, 리 왕조의 성종(1054년~1072년)이 즉위를 할 때 사용한 공식 명칭이다.
동남아 (베트남)
1054 ~ 1804
15
러시아 (노브고로드 대공국, 1136년 ~)
[1136년 ~ 1478년] 오늘날 러시아의 노브고로드 주를 중심으로 존재하던 공화국으로, 12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발트해에서 우랄 산맥 북부에 걸친 광대한 영역을 점유했던 루스계 국가이다.
러시아 (노브고로드 대공국)
1136 ~ 1478
16
서유럽 (포르투갈 왕국, 1139년~)
[1139년 ~ 1910년] 1139년부터 1910년까지 유럽에 존재한 옛 왕국이다.
유럽 (포르투갈 왕국)
1139 ~ 1910
17
동유럽 (불가리아 제2제국, 1185년 ~)
[1185년 ~ 1396년] 1185년 ~ 1396년 동안 중세 불가리아에 존속했던 왕조이다. 수도는 터르노보에 있었다. 불가리아 제2제국은 불가리아 제1제국의 계승자였으며, 차르 칼로얀과 이반 아센 2세의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동유럽 (불가리아)
1185 ~ 1396
18
서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0년~)
[1230년 ~ 1715년] 중세 및 근대에 걸쳐 이베리아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1230년 후사가 없어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면서 탄생했다.
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1 ~ 1492
19
서아프리카 (말리 제국, 1235년경~)
[1235년경 ~ 167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235년부터 1670년까지 존재했던, 만딩고족이 세운 제국이었다. 순디아타 케이타에 의해 세워졌고,나이저 강을 따라 언어, 법, 관습 등을 퍼뜨렸다.
아프리카 (말리제국)
1235 ~ 1670
20
서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년~)
[1238년 ~ 1492년] 에스파냐 안달루시아의 도시그라나다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이슬람 왕조
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 ~ 1492
21
[1271 ~ 1368] 1260년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몽골 제국의 제5대 대칸으로 즉위한 쿠빌라이 칸이 1271년 몽골 제국의 국호를 '대원(大元)'으로 고침으로써 성립되었다.
중국 (원)
1271 ~ 1368
22
몽골제국의 분할 (1279 경)
1279년 쿠빌라이 칸 당시 영토와 제국의 분할 (원나라, 차카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일칸국)
몽골초원 (몽골제국)
1225 ~ 1370
23
서유럽 (나폴리 왕국, 1282년)
[1282년 ~ 1816년] 1861년부터 1946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 존재한 나라이며, 전신은 사르데냐 왕국이다.
유럽 (나폴리 왕국)
1282 ~ 1816
24
서유럽 (시칠리아 왕국 2, 1282년)
[1130년 ~ 1816년] 1130년부터 1816년까지 시칠리아섬과 이탈리아 반도 남부를 지배하였던 왕국이다. 노르만족 기사들이 1071년 시칠리아섬을 지배하고 있던 이슬람 지배자들을 몰아내고 세운 시칠리아 백작령이 그 기원이다.
유럽 (시칠리아 왕국)
1282 ~ 1816
25
러시아 (모스크바 대공국, 1283년 ~)
[1283년 ~ 1547년] 키예프 루스 이후 분열된 전체 루스 공국들을 통일하였으며, 오늘날 현대 러시아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었다.
러시아 (모스크바 대공국)
1283 ~ 1478
26
동남아 (항사워디 왕국, 1287)
[1287년~1552년] 1287년부터 1539년까지, 1550년부터 1552년까지 미얀마를 통치한 왕국이다.
동남아 (미얀마)
1287 ~ 1552
27
서유럽 (사르데냐 왕국, 1297)
[1297년 ~ 1861년] 13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남유럽의 한 국가였다.
유럽 (사르데냐 왕국)
1297 ~ 1861
28
중동 (오스만제국의 발흥, 1299년)
[1299년 ~ 1922년] 13세기 말 오스만 1세가 아나톨리아 북서부에서 건국했으며, 1354년에 유럽으로 건너가 발칸반도를 정복하고 세 대륙에 걸친 거대한 제국을 세웠다.
중동 (오스만제국)
1299 ~ 1453
29
인도 (델리 술탄국(투글루크 왕조), 1320)
[1320년 ~ 1414년] 델리 술탄국의 세 번째 투르크계 이슬람 왕조로, 알라웃딘이 죽은 뒤 델리 술탄국의 왕위계승을 두고 발생한 최종적인 승리자가 된 기야스웃딘 투글루크가 1320년에 왕위에 오르면서 투글루크 왕조를 개창하였다.
인도 (델리 술탄국)
1320 ~ 1414
30
인도 (비자야나가라제국, 1336)
[1336년 ~ 1646년] 데칸 고원의 비자야나가르에 도읍하여 남인도 지역에 영향력을 떨쳤던 드라비다계 힌두 제국이다. 1336년 하리하라 1세와 그의 동생 부카 등 다섯 형제가 창건하였다.
인도 (비자야나가라제국)
1336 ~ 1646
31
동남아 (아유타야 왕국, 1350)
[1350년 ~ 1767년] 시암의 첫 번째 왕국이다. 1351년에서 1767년까지 존재하였으며, 수도는 아유타야였다.
동남아 (태국)
1350 ~ 1767
32
동남아 (수코타이 왕국 영토 변경, 1350)
[1249년 ~ 1438년] 태국 최초의 통일 왕국이다.
동남아 (태국)
1350 ~ 1438
33
동남아 (란쌍 왕국, 1353)
[1353년 ~ 1707년] 메콩강 중류 지역에서 14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존재했던 역사적인 왕조이다.
동남아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1353 ~ 1707
◇ 최근 등재 목록 ◇
1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B.C. 185 ~ 400
2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인도 (서사트라프)
35 ~ 405
참조 : 인도 # 서사트라프
3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 ~ 500
참조 : 인도 # 바카타카왕조
4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B.C. 230 ~ 225
5
북아프리카 (무와히드 칼리파국, 1130년~)
[1130년 ~ 1269년] 베르베르인의 무슬림 칼리파 왕조였으며 12세기에 설립됐다. 모든 북부 아프리카를 정복해 리비아와 알안달루스, 무어인이 지배하던 이베리아반도까지 다스렸다.
아프리카 (무와히드칼리파국)
1130 ~ 1269
6
북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1040년~)
[1040년 ~ 1147년] 베르베르인이 서사하라 에서 세운 최초의 이슬람 왕조인 베르베르 왕조.
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1040 ~ 1147
7
서아프리카 (송가이 제국, 1464년~)
[1464년 ~ 1591년] 15세기 ~ 16세기동안 서아프리카에서 부흥한 제국 중 하나였다. 수도는 가오였다.
아프리카 (송가이제국)
1464 ~ 1591
8
서아프리카 (말리 제국, 1235년경~)
[1235년경 ~ 167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235년부터 1670년까지 존재했던, 만딩고족이 세운 제국이었다. 순디아타 케이타에 의해 세워졌고,나이저 강을 따라 언어, 법, 관습 등을 퍼뜨렸다.
아프리카 (말리제국)
1235 ~ 1670
9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아프리카 (가나제국)
300 ~ 1235
10
서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718년~)
[718년 ~ 924년] 스페인 북서부에 존속했었던 기독교 국가이다. 오늘날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기원이 되는 나라이다.
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718 ~ 924
11
서유럽 (카스티야 왕국, 1065년~)
[1065년 ~ 1833년] 중세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크고 강력한 상태로 존재했던 왕국이였다.
유럽 (카스티야 왕국)
1065 ~ 1230
12
서유럽 (레온 왕국, 910년~)
[910년 ~ 1230년] 이베리아반도의 북서쪽에 위치한 독립 왕국이었다. 910년 비스케이만(반도의 북쪽 해안)을 따라 있었던 아스투리아스의 기독교 왕자들이 수도를 오비에도에서 레온으로 옮겼을 때 세워졌다.
유럽 (레온 왕국)
910 ~ 1230
13
서유럽 (나바라 왕국, 824년~)
[824년 ~ 1841년] 중세 유럽의 한 나라이다. 대서양 연안의 피레네산맥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바스크 대부분을 영유하고 있었다.
유럽 (나바라 왕국)
824 ~ 1492
14
서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0년~)
[1230년 ~ 1715년] 중세 및 근대에 걸쳐 이베리아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1230년 후사가 없어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면서 탄생했다.
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1 ~ 1492
15
서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756년~)
[756년 ~ 1031년] 에스파냐 지방에 있었던 이슬람 왕조(756~1031년). 우마이야 왕조가 아바스 왕조에게 멸망되자 옴미아드 왕조의 일족인 압둘라흐만 1세가 에스파냐로 탈출하여 코르도바를 수도로 건국한 왕조를 말한다.
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756 ~ 1031
16
서유럽 (아라곤 왕국, 1035년~)
[1035년 ~ 1492년] 이베리아반도의 중세 및 초기 근대 왕국이었다.
유럽 (아라곤 왕국)
1035 ~ 1492
17
서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년~)
[1238년 ~ 1492년] 에스파냐 안달루시아의 도시그라나다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이슬람 왕조
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 ~ 1492
18
인도 (무굴 제국, 1758~)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인도 (무굴 제국)
1758 ~ 1857
참조 : 인도 무굴 제국
19
인도 (무굴 제국, 1720~)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인도 (무굴 제국)
1720 ~ 1758
참조 : 인도 무굴 제국
20
인도 (마라타 제국, 마다브라오 1세, 1758)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인도 (마라타 제국)
1758 ~ 1818
참조 : 인도 마라타 왕국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4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