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백남운 씨 『조선 민족의 진로』비판 ◈
카탈로그   본문  
1946년 5월
김남천
목   차
[숨기기]
1
백남운 씨 『조선 민족의 진로』비판
 
 
 

1. 혁명 단계 특수론의 기만성

 
3
백남운 씨는 『지로』중 「조선 경제 현단계의 재론」이라는 제 2항목 가운데서 예의‘부르주아 혁명 단계론 비판을 되풀이하고 장황한 인례(引例)와 뒤엉킨 용어례(用語例)의 남용에 의하여 조선 혁명의 현단계를 구명하고 있는데 교수의 논지를 추려 보면 다음과 같은 것으로 된다.“군내 노선을 규정하는 정치 척도는 조선 사회 경제의 발전적 현단계 그것이고 국제 노선이라는 것은 세계사적 견지에서 지침은 될지언정 척도는 아니다”라 하여
 
4
첫째로 그것은 불란서혁명의 산물인 자유민주주의일 수는 없다.
 
5
둘째로 그것은 이십 세기 초두 독일류의 사회민주주의일 수는 없다.
 
6
셋째로 공산계 일부 논자들처럼 부르주아 민주주의일 수는 없다.
 
7
넷째로 그것은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일수는 없다.
 
8
그리하여 그것은 다섯째로 단연히 백 교수 창제(創製)인‘좌우익의 정치협의회위원회’로 구체화된느 연합성 신민주주의라야 된다고 하는 것이다.
 
9
그러나 제 이항의 마지막에서는 민주주의의 유형이요 둘째인 사회민주주의는 제이유형이오 셋째는 빠져 없어지고 넷째인 프로 민주주의가 제삼 유형이라 하였고 조선의 현실로는 어느 것이나 부적당하여 결국 연합성 신민주주의로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택동 씨의‘신민주주의론’과 ‘연합정부론’의 기계적인 명칭만의 밀수입이라고 비판받을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하여 “조선 정치의 목표는 당시의 중국과도 달라서”역시 그것과는 구별되는 백남윤 식 민주주의라야 한다는 주밀성(周密性)도 노상 잊어버리지는 않는 것이다. 서상 백 교수의 혁명적 단계의 다섯 개의 나열과 만한 학문적 자신이 있는 것일까. 나는 백 교수의 과거의 학문적 업적을 위하여 이러한 피상적 유별(類別) 개념과 혼도(混到)한 용어례와, 본질적인 것과 현상적인 것의 혼돈, 원칙적인 것과 특수적인 것의 뒤범벅을 슬퍼하는 자이다.
 
10
첫째로 그것은 역사적 단계로서의 혁명의 기본 성격과 정치 유형으로서의 또는 혁명의 구체적인 과제로서의 특수성을 한자리에 병렬(竝列)시켰거나, 그렇지 않으면 원칙적인 것과 특수적인 것을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데서 생겨나는 끊임없는 혼란을 방지할 길이 없었다.
 
11
둘째로 조선 사회 경제의 분석의 과정에서 유산자니 무산자니 지주니 자산층이니 무산층이나 하는 등 용어를 애용하여 정확하고 엄밀한 의미에서의 그들의 혁명성을 입증하기에 편리한 대로 서상 용어례를 자의적으로 구사하고 있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12
세밀히 읽어 본 독자라면 이것이 결코 무사려(無思慮)하게 쓰인 것이 아니라 좌우합작 연합성(聯合性)을 이루는 데 우익의 진보성을 입증하기 위한 일정한 정치적 기도(企圖) 밑에 교묘히 쓰여진 것 다시 말하면 장소에 따라 편리한 대로 갈라서 사용된 것임을 알았을 것이다.
 
13
교수가 애독한 듯한 모택동 씨의『신민주주의론』제삼 절「중국의 역사적 특점(特點)」과 제사 절「중국 혁명은 세계 혁명의 부분이다」라는 구절에서 우리는 혁명의 〇〇의 계단과 어떤 특수한 나라에 있어서의 혁명과 그 세계 혁명과는 관련성에 대하여 간명하게 논술된 것을 읽을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찍이‘레닌’에 있어서 벌써 일반적인 유형의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과 특수적인 형태의 그것과의 구별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이 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다.
 
14
그러므로 일반적으로는 또는 원칙적으로는 지금의 우리가 고려하여야 할 혁명은 두 계단밖에 없는 것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모택동씨의 용어례에 의하면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요 신식의 자산계급 민주주의 혁명과 소련식으니 무산계급 사회주의 혁명이 즉 그것이오 종래 우리들이 써 오던 사회과학적 용어례에 의하면 전자는 일반적으로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이오 후자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인 것이다. 이여(爾餘)의 백 교수의 다섯 개의 나열이나 세개의 유형이나는 일반적인 것과 특수적인 거의 무원칙한 혼란에서 생겨난 기만성(欺瞞性)의 소산이다.(5월 10일〕
 
 
 

2

 
16
특히 백 교수의 지칭(指稱)하는 바 소위 공산게 일부 논자(論者)가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단계라 한 것은 원칙적이오 일반적인 것을 발하는 용어례로서 사용된 것이오 특수적으로는 혁명의 구체적 내용과 과제와, 더 나아가서는 정치 형태에 따라서 규정되는 것이니 진보적 민주주의니 인민적 민주주의니 인민정권이니 모택동 씨의 신민주주의니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인 것이다. 그러므로 백 교수가 아무리 조선 사회 경제의 특수적 성격을 분석구명하여도 이 혁명의 일반적 규정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사회민주주의와의 〇〇협조론은 영국의 노동당 일본의 사회당(전날 등)의 이론 등 자본주의 국가의 세계적 현상인데 이것을 가리켜 본적인 혁명과 동렬에 병립시킨다는 것은 기만성의 소치가 아니라면 백 교수의 학문적 지위를 위하여 슬픈 일이다.
 
17
그러나 문제 제기의 중심은 그러한 곳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는 것이니 요는 부루주아 민주주의 혁명으로부터 프롤레타리아 혁명에의 전화(轉化)의 가능성을 만드는 역사적 조건이 무엇이며 또 어떠한 도정을 거쳐서 그것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 하는 데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왜 그런가 하면 백 교수의 특수성의 문제는 결국 이것의 〇〇에서만 해결될 수 있는 것이오 불연(不然)이면 민족의 수와 국가의 수만큼 무슨 식 민주주의 혁명이 나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민족적 특수성격을 세계사적 임무와 분리하여 비본질적인 지엽에 속하는 차이마다 하나식 혁명 계단을 설정한다면 비단 다섯 개뿐이오 하필 세 개의 유형뿐이랴.
 
18
그러므로 우리는 백 교수가 그렇게 기피하고 싶어하는‘국제노선’위에서 조선 혁명의 전화의 조건과 도정을 살피지 않으면 아니 되는 것이다.
 
19
1928년의 국제당(國際黨) 제6회 프로그램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에의 추진의 조건과 도정에 기(基)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개의 주요 집단으로 분류한 것을 발표한 적이 있었다.
 
20
첫째는 고도로 발달한 자본주의 제국(미, 독, 영 등)
 
21
둘째는 자본주의가 중위(中位)의 발전 단계에 있는 제국(서반아,葡, 波, 洪, 발칸제국 등등)
 
22
셋째로 식민지 반식민지 제국(중국, 인도 등)과 및 종속제국(아르헨티아, 브라질 등)
 
23
넷째로 일층 뒤떨어진 제국(예컨대 아프리카의 어떤 지방)
 
24
이상 네 집단 중 조선이 어느 것에 해당한다고 지적된 것은 없으나 제4집단이 임금노동자가 태무(殆無) 혹은 전무(全無)하여 주민은 혈족적(血族的) 분위기 속에서 생활하고 국내적 자본계급은 없고 외국적 제국주의는 무력적 약탈자로 행동하고 있는 때문에 프롤레타리아 독재 제국이 유력한 원조를 주면 민족적 반란과 승리는 자본주의의 계단을 그대로 뛰어넘어 사회주의에의 길을 열 수 있으리라고 규정한 데 비추어 우리 조선은 이것에는 들어맞지가 않고 제3집단에 드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제2집단의 경우도 해방 후의 사정으로는 약간 돌볼 필요가 있을까 한다. 그러나 어느 편으로 보나 제3집단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 부분만을 여기 옮겨 보기로 한다.
 
 
25
이러한 제국은 산업 발전의 일정한 경향을 가지고 있는데, 왕왕 굉장하게 발전한 산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조차 없지 않으나 그러나 대부분은 사회주의의 독립적 건설에는 불충분한 것이다. 차등(此等) 제국은 유력한 중세기적 봉건적 제관계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경제에 있어서나 정치적 상부구조에 있어서는 결정적인 공업상 산업상 및 금융상의 제기업과 가장 중요한 운수기관(運輸機關) 대사유지 경작지 등은 외국의 제국주의적 집단의 손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롤레타리아 주체의 독재에의 추구되는 민족적으로 기다(幾多)의 준비 과정을 거쳐서야 비로소 가능하다.
 
26
즉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이 사회주의 혁명으로 전화하는 전시대(全時代)의 성과로서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사회주의 건설의 성공은 이러한 제국에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제국의 직접적 지지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프로프,『민주주의 혁명의 역사적 조건』에서 轉載)
 
27
이상 네 개의 집단에 대한 규정을 보면 이차대전 후 구라파 제국이나 혹은 중국에서 또는 조선의 국내에서 북조선에서 남조선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있는가 하는 것을 살피는 것은 절대로 필요한 일이라고 나는 생각하는 것이다. (5월 11일〕
 
 
 

3. 기계주의적인 연합성(聯合性)론

 
29
1945년 5월 8일 이후의 구라파의 사정은 어떠한가. 8월 15일 이후의 중국과 조선을 포함한 극동의 사정은 어떠한가. 그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경제적인 상태와 전쟁 중 민주주의의 새로운 발전을 위하여 싸운 실적에 따라 나라마다 현실적인 불균현은 있다 할지라도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으로터의 전이에 있어 그 조건과 과정을 살필 대 〇〇〇〇〇으로 전기(前記) 국제당(國際黨)프르그램의 규정한 바와 틀림없이 각각 혁명적 전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30
특히 제2집단으로 규정된“농업경제에 반봉건적(半封建的) 제관계의 우심한 잔재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주의 건설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물질적 전제를 가지고 있으면 부르주아 민주주의적 혁명을 아직 종결짓지 못한”“자본주의가 중위의 발전 계단에 있는”제국 파(波), 홍(洪) 발(勃), 나(羅), 유고, 체코 등의 민주주의화 과정을 볼 때에 빈약한 자료와 보도(報道)로나마 우리는 그들이 일로(一路)토지문제의 평민적 해결과 중요 산업기관의 국유화를 거쳐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완수의 역사적인 과제를 힘차게 다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중국이나 조선의 현실에 있어서도 제3집단의 규정으로 된“기다(幾多)의 준비 과정을 거치며 있어”역시 세계 혁명의 일환으로서 그가 가지고 있는 혁명적 임무를 전략적으로 또는 전술적으로 실천 과정에 옮겨 놓고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말썽거리가 되는 막부삼상회담까지를 포함한 백 교수의 소위 ‘국제노선’은 조선 사회경제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단순한 지침인 것이 아니라 실천 과정에 들어간 구체적인 과업인 것이다.
 
31
뿐만 이 과업을 주동적(主動的)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또 실천하여야 할 혁명적 과업으로 싸우고 있는 각국의 민주주의 전선(戰線)은 파국(波國)의 ‘민족해방위원호’나 루마니아의‘민족민주전선’이나 홍아리(洪牙利)의 ‘독립미족전선’이나 혹은 조선의‘민주주의의민족전선’이나 한가지로 미족 성원(成員)의 절대다수인 인민의 이익을 기초로 하는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 혁명의 두 계단 사이에서‘조건과 도정’에 조차 추이되는 특별 유형인 민주주의, 다시 말하면 인민적인 민주의의 과정을 실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잇다. 이것은 각국마다 반주주의적인 친파쇼적인 반동 진영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세계사적인 현상인 것이다.
 
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민적 민주주의와 구별되는 백 교수의 연합성 신민주주의란 무엇이며 또 무엇을 기초로 하는 것이냐, 단적으로 나는 이를 지적하되 소위‘우익을 구성한 친일재벌 대지주와 및 그들의 정치적 대변자에 대한 절충주의적 기계주의적 연합과 지나친 연합성의 기계주의적 인정(認定)에서 유래된 것이라 명언(明言)한다.
 
33
백 교수가 밀수입한 모택동 씨의‘신민주주의’과 연합정부론‘을 백 교수의 제안과 대비해 보면 이것은 명료해진다. 모택동 씨가 국민정부를 향하여 연합정부론을 제창한 것은 어떠한 구체적인 상태 가운데서인가. 조선의 주체적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나는 다음의 두 점을 들어 둘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
 
34
하나는 1927년 국공(國共) 분열이래 장개석의 정당은 실권을 잡고 있을 뿐 아니라 이차 대전 중에도 장은 오대 강국 수반 중 일인이오 그의 국민정부는 국제적 승인과 그보다도 연합오대국의 하나로 되어 있는 엄연한 사실이다. 그런데 조선의‘우익’은 어떠한가. 이곳에는 조각조각 부서진‘대한임정(大韓臨政)’의 소지천만(笑止千萬)의 ‘법통(法統)’간판과 그를 지지하는 친일재벌과 악던 지주와 친파쇼 정객과 반인민적인 모리배의 오합(烏合)이 있다.
 
35
둘째로 모씨의 연합정부론은 그러한 주객관적 정세 하에서도 누차의 국공회담에서 보는 바 도저히 양보할 수 없는 부동(不動)의 원칙을 가지고 제창되고 있는 것이다.“우리 공산당원이 전부르주아 혁명 계단에 있어서 주장하는 일반 강령이오 정부에 참가하는 것은 의자를 탐내서가 아니라 최저강령을 실시함에 있다고 말한 기본 요구 중에서 두 가지를 보면 기일은‘토지문제에 대한 손 선생의 경자유기전(耕者有基田)’이오 기이는 중요 대기업의 국가경영관리 문제이다. 그러면 백 교수는 좌우연합의 민주경제적 원칙은 무엇이며 구체적인 남북조선의 정세와‘〇〇’‘민전(民戰)’‘좌’ ‘우’는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5월 12일〕
 
 
 

4. 합작(合作) 원칙은 토지개혁

 
37
백 교수는 「민주 경제의 역사적 필연성」이라는 항목 가운데서 정당하게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조선 민족의 장래(將來)할 운명을 생각하고 열의적(熱意的)으로 민중의 현실성을 평가컨대 사회적 문제인 빈부의 대립관계를 근본적으로 〇〇〇〇것이‘민주 경제’의 〇〇인 것이며 그‘민주 경제’
 
38
〇〇(두줄 판독 불가 - 편자). 이렇게도 말한다. 저마다 민주주의를 표방하는“좌우당이 대립되어 있는 이상에 어느 당이고‘민주 경제’를 실현할 역량을 가진 정당만이 민주 정당인 것이다.”
 
39
그러므로 요는 교수의‘민주 경제’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하는 것을 살피는 데 달려 있다. 교수는 「연합 민주 정권의 역사성」이라는 항목 중에서 “조선의 민주 경제 수립은 토지 재분배로 시작도니느 것이지 토지 재분배의 정치적 기술은 좌우 정당의 정치적 성격의 시금석이다. 실질적인 민주경제의 기본 공작은 토지 급 삼림의 원칙적 무상 국유인 것이다. 우익의 유상 국유(시가 팔백 억원 이상)는 토지의 산업 자본을 국가 대리로 조달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실질적인 민주 경제의 공작과는 전연 배치되는 것이다”라고 말하여‘민주 경제’의 일단(一端)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 인용문 중에서 특히 나는‘토지와 삼림의 원칙적 무상 국유’라는 구절을 주목한다. 왜 그런가 하면 전자는 퍽 모호한 표현이요 후자는 그것과는 달리 원칙적인 구체적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는데 다시 교수는 다른 구절 가운데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40
“공업 생산 부면의 일제(日帝)식 구성은 주체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며 민주 경제의 일반 정책이 수립됨에 따라 공업 생산 체제도 민주적으로 조직될 것이지마는 반봉건성 토지 문제를 민주적으로 재편성하는 것이 건국 민주 경제의 기본 공작인 것이며 운운.”
 
 
41
여기에 쓰여 있는 바는 막연하고 모호하여 어떻게라도 해석할 수 있는‘민주적 재구성’이라는 표현이다.‘공업 생산 체제의 민주적 편성’이요 ‘토지문제의 민주적 재편성’인 것이다. 백 교수의‘진로’중 민주 경제를 해설하고 분석 구명하는 부분은 지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이요 기본적인 과제를 단적으로 명백하게 규정한 구절은 상기 인용한 것 이상의 것은 아무 데서도 찾아볼 수 없다.
 
42
이 점은 내가 퍽 불만스럽게 여기는 것의 하나다. 상기의 여하한 규정과 표현보다도 가장 명백하고 구체적인 규정을 우리는 다음의 구절에서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연합성 신민주주의’라는 항목 가운데서“토지문제는 민주 경제의 기본 조건이 민주 정권이 수립되는 동시에 해결해야 할 것이고 후일로 지연할 것이 못 된다는 토지정책안은 무엇이며 어떤 것인가. 그것은 벌써 북조선에서 실시해 버린 토지개혁안이요 백 교수가 중앙위원회의 한분으로 있는 신민당의 토지정책안을 말하는 것이다.
 
43
여기에 나는 두 가지 점을 들어 독자의 주의를 환기할 필요를 느낀다. 하나는 민주 경제의 그다지 필요치 않은 해설을 장황하게 되풀이한 교수가 그 가장 구체적인 규정이 있어야 할 토지 정책에 대한 제시를 어째서 지나쳤느냐 하는 점이요 또 하나는 교수가 좌익에 석연하지 못한 한 줄기 그 무엇이 횡재(橫在)한 것 같으므로 자유스러운 처지에서 그 매개적 역활을 하리라는 생각 밑에 〇〇된다는 것이 『진로』임에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토지문제 해결의 구체적 제시의 대목에 이르러서 자유스러운 (학술적)입장에서 신민당원의 처지로 또는 그 대변자로 나아가는가 하는 점이다.
 
44
물론 새삼스럽게 지적할 필요도 없이 좌우연합성론적 〇〇을 〇〇〇〇〇〇〇. 불연(不然)이면 이중성격의 기회주의적인 처세인 것이다.
 
45
그러면 다시 묻노니 교수의‘토지의 재분배’와‘토지와 삼림의 원칙적 무상 소유’와 ‘공업 생산 체제와 토지 문제의 민주적 재편성’이라는 등의 애매한 규정과 표현은 신민당이 발표했고 이미 북조선에서 신민당까지가 주체의 하나가 되어 실시해버린 토지개혁 정책을 말하는 것이라고 단정해도 좋은 것인가. 자유인 백 교수와 정당인 백 교수는 완전히 한 사람이오 신민당 역시 백남윤 교수의『진로』에 대해선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보아 정당한 것인가? 아닌가? (5월 13일)
 
 
 

5.‘덮어놓고 뭉치자!’의 이론적 의상(衣常)

 
47
그것은 여하한 것인지 백 교수의 교묘한 우회의 절(折)을 다한『진로』의 삼림 중에서 한 가지 중요한 문제가 명백히 되었다는 것은 커다란 득이다.
 
48
그것은 무엇일까. 백 교수의 글에서 요지를 보면 이러하다.
 
49
1. 좌고 우고 젖혀 두고 민주주을 〇〇〇〇나서지만 민주 경제를 실현 할 역량이 있는 정당만이 민주적 정당이다.
 
50
2. 민주 경제의 기본 문제는 토지개혁에 있다.
 
51
3. 토지개혁의 정책은 북조선에 실시한 토지개혁령이다.
 
52
이상 세 가지 규정으로써 어떠한 결론이 나올 수가 있는가. 백 교수의‘연합성적 민주주의’가 어떤 것이었든 간에 또는 그 〇〇적 표현으로 제의한 ‘좌우익〇〇〇협의위원회’가 여하한 것이었든 간에 그것이 조선에 있어서 좌우의 합작이오 연합일진대 거기에는 하나의 원칙이 있다. 말할 것도 없이 그 원칙은 북조선에서 실시한 것과 같은 토지개혁을 실행할 역량이 있으며 또 충분히 실행할 만한 성〇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점이 즉 그것일 것이다.
 
53
백 교수는 이것을 민주 정당이 되고 안되는 시금석이라고 말하였을 뿐 좌우 연합의 원칙이라고 명백히 단적으로 규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민주주의 건설에 있어서 반민주 정당이나 친파쇼 정당이나와 합작해야 된다는 이론의 복선이라고 단정 〇〇〇〇없으므로 중요 기업의 국유화와 토지개혁이 좌우 연합의 최저 요구라는 점에서 백 교수의 의견과 우리는 완전히 일치되는 셈이다(물론 일치하지 않는다 해도 문제될 것은 없다.)
 
54
그러면 토지개혁과 중요 기업의 국유화라는 원칙은‘국제노선’을 거부하는 이유가 될 수 있으며 또‘국제노선’과는 차이나는 조선 사회 경제적 특수 성격을 형성하는 구체적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일까. 다시 한 걸음 나아가 인민적 민주주의와 구별되는 백 교수의 연합성적 신민주주의를 제창할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일까.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수정론자나 〇〇〇 대신 〇〇〇의 소유자 중 어느 편일 것이다.
 
55
그렇다면 8월 15일 이후의 북조선과 남조선과 좌와 우는 구체적으로 어떠한가.
 
56
북조선에 있어서는 백 교수도 결코 무관계하다고 말할 수 없는 상태에 있어서 토지개혁이 근본적으로 실시되었다. 이것은 이미 시금석이 아니라 민주적 정당이 되는 기본 성격을 〇〇〇〇〇증거인 것이다. 남조선에서는 어떠한가.‘민주주의민족전선’에 가입한 정당과 사회단체가 모두 토지개혁이 북조선과 같이 남조선에서도 실시되어야 함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구성 정당 중 인민당을 제한 이대 정당이 직접 북조선에서 이를 실천하여 그이 〇〇가 선전만에 그치는 것이 아님을 실천으로 증명하였다. 이곳에 있어도 이미 문제는 시금석의 정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백 교수의 이른바 시금석은 소위 우익에 대한 것일 뿐 좌익에는 문제로도 안 되는 상태에 있다.
 
57
그러면 합작과 연합의 가능성이 있어 충분히 〇〇적인 혁명 세력일 수 있다는 우익은 어떠한가. 우익 대표 정당의 하나인 한국민주당의 대변인은 북조선의 토지개혁을 가리켜 〇〇化[화]라고 〇〇하여 도하 각 신문에 담화를 발표하였다. 우익 제 정당의 〇〇자 이승만 박사는 이월 중순 중앙방송국의 마이크를 통하여 ‘북선 동포에게’라는 연제 하에 북조선의 토지개혁을 공산화라 〇〇하고 일제가 실시하려다가 실패한 자작농 〇안이 북한의 형편에 맞는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58
백 교수에게 나는 묻는다. 아니 백 교수를 이론적 대표로 하는 불평 정객, 방랑 정객, 정치〇〇(두 줄 판독 불가 - 편자)들에게 나는 묻는다. 이 이상의 시금석이 필요하냐고.
 
59
모든 문제가 명백히 되었다. 기계주의와 절충주의와 기회주의와 〇〇〇과 무원칙한 좌우합작론이 남을 뿐이다. 원칙 없는 반민주주의론자 친파쇼분자와의 합작과 〇〇-즉 이박사가 친일파와 모리배를 통화여 외친 구호“덮어놓고 뭉치자!”와 어떤 차이와 있는 것이냐. 하나는 비속한 군중을 향하던 선동적인 〇〇적 구호고 하나는 그 위에 필한 〇〇〇〇〇이요 그것을 가린 이론적 의상인 것이 다를 뿐이다.
 
60
이제 나는 다시 다음과 같이 질문할 필요가 있다. 〇〇(6줄 판독 불가 - 편자). 민주주의민족전선을 위한 것이냐 반민주세력을 위한 것이냐.(5월14일〕
 
 
61
(『조선인민보』, 1946년 5월 10〜11일)
【원문】백남운 씨 『조선 민족의 진로』비판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평론〕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16
- 전체 순위 : 2896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411 위 / 179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김남천(金南天) [저자]
 
  # 조선인민보 [출처]
 
  1946년 [발표]
 
  평론(評論) [분류]
 
◈ 참조
  # 백남운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백남운 씨 『조선 민족의 진로』비판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1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