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한글(고어) 
◈ 산중잡곡(山中雜曲) ◈
카탈로그   본문  
金得硏(김득연)
산중잡곡은 총 49수로, 김득연이 지수정가를 짓고 난 다음 남은 여러 가지 생각과 느낌을 시조 형식에 담아 읊은 작품이다. 주요 내용은 세속을 떠난 물외한인으로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삶, 시가와 문장에 대한 생각, 인생의 덧없음과 몸이 늙었음을 탄식한 것 등이 있다.
1
산중잡곡 (山中雜曲)
 
 
2
- 01 -
 
3
臥龍山(와룡산) 린 아래 半畝塘(반무당)을 새로 여니
4
 업 거울에 山影(산영)이 겻다
5
이 내의 經營(경영) 든 그 보려 노라
 
 
6
* 와룡산, 반무당 : 경북 안동에 있는 산과 연못
 
 
7
- 02 -
 
8
池塘(지당)에 活水(활수)이 드니 노 고기 다 헬로다
9
松陰(송음)에 淸籟(청뢰)이 나니 琴瑟(금슬)이 여긔 잇다
10
안자셔 보고 듣거 도라갈 주 모로다
 
 
11
* 청뢰 : 맑은 바람
12
* 금슬 : 거문고와 비파
 
 
13
- 03 -
 
14
솔 아래 길 내고 못 우  니
15
風月(풍월) 烟霞(연하)은 左右(좌우)로 오괴야
16
이 예 한가히 안자 늘 주 모리라.
 
 
17
- 04 -
 
18
늘거도 막대 딥고 병 드러도 눕디 아냐
19
솔 아레 두 거어 못 우 안자 쉬니
20
뭇노라 이 엇던 할아비오 나도 몰라 노라.
 
 
21
- 05 -
 
22
집 두혜 차리 고 문 알   기러
23
기장밥 닉게 짓고 山菜羹(산채갱) 므로 마
24
朝夕(조석)게 風味(풍미)이 足(족)도 내 분인가 노라
 
 
25
- 06 -
 
26
 고프거든 버구롓 밥 먹고
27
목 거든 바갯 믈 마시니
28
이리 가온대 즐거오미  인다
29
의외 浮雲(부운)  富貴(부귀)이사 브 주리 이시랴
 
 
30
- 07 -
 
31
山中(산중)에 白雲(백운)이 잇고
32
山外(산외)예 綠水(녹수)이 잇다
33
구름 자  고 믈 조차 고기 낫가
34
一身(일신)이 한가히 니니 萬事(만사)이 無心(무심)야라
 
 
35
- 08 -
 
36
봄의 고지 픠고 녀에 綠陰(녹음)이 난다
37
錦繡 秋山(금수추산)애  리 더옥 됴타
38
며 白雲 蒼松(백운 창송)이사 닐어 므슴 리오
 
 
39
- 09 -
 
40
生涯(생에) 數莖白髮(수경백발)
41
心事(심사) 一片 靑山(일편청산)
42
雪月 風花(설월 풍화)애 四時 佳興(사시 가흥) 다 다
43
이 외에 즐거온 이리  업슬가 노라
 
 
44
- 10 -
 
45
늘거 올 일 업서 山中(산중)에 도라오니
46
松菊(송국) 猿鶴(원학)기 다 나를 반기다
47
아야 술  브어라 樂而忘憂(낙우망이) 리라.
 
 
48
- 11 -
 
49
龍山(용산)애 봄비 개니 고사리 채 졋다
50
石枕(석침)애 松風(송풍)이 부니 이 절로 다
51
아야 므로 달혀라 벋 몯 기다려 노라
 
 
52
* 용산, 석침 : 지명
 
 
53
- 12 -
 
54
버디 오마커 솔 길 손소 니
55
無心(무심)한 白雲(백운)은 쓸소록 고텨 난다
56
뎌 白雲(백운)아 洞門(동문)을 모지 마라 올 길 모가 노라
 
 
57
* 동문 : 동네 입구에 세운 문
 
 
58
- 13 -
 
59
허여셴 늘근 하라비 솔 아래 비겨시니
60
희롱 松子(송자)는 안 알 려딘다
61
寂寞(적막)히 말 리 업스니 웃고 주고 보노라
 
 
62
- 14 -
 
63
桃源(도원)이 잇다 야도 녜 듣고 못 봤더니
64
紅霞(홍하)이 滿洞(만동)니 이 진짓 거긔로다
65
이 몸이  엇더뇨 武陵人(무릉인)인가 노라
 
 
66
- 15 -
 
67
商山(상산) 늘근 하라비 採芝歌(채지가)을 브르더니
68
千載(천재) 芝谷(지곡)애 나도 늘거 브르노라
69
녯 사람의 즐기던 마 이 내 마애 알리로다
 
 
70
* 상산사호(商山四皓) :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산시성 상산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으로 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하다.
71
* 채지가 : 거문고의 곡명.
72
* 지곡 : 지치가 있는 골짜기
 
 
73
- 16 -
 
74
商山洞(상산동) 려 와셔 芝谷(지곡) 구위 도라드니
75
松月池臺(송월지대)에 셴 하라비 안자 잇다
76
잇다감 白雲(백운)을 조차 採芝(채지)려 가노라
 
 
77
* 지곡 : 지치가 있는 계곡
78
* 송월지대 : 송월지에 있는 대
 
 
79
- 17 -
 
80
山下泉(산하천)에 귀 시으니 人間事(인간사)를 뉘 드르리오
81
澗畔松(가반송)을 벗 사므니 歲寒心事(세한심사)을 내 아노라
82
물며 早晩功業(조만공업)은 雲卷書(운권서)에 인다
 
 
83
* 세한심사 : 풍류를 즐기는 은사의 마음
84
* 운권서 : 자연 속에 묻힌 책
 
 
85
- 18 -
 
86
世上(세상)애 사리 모다 모다 채 어리다
87
살 줄만 알고 주글 주를 모다
88
엇다 다 두고 두고셔 먹을 주 모다
 
 
89
- 19 -
 
90
山中(산중)에 병 든 모미 내 호온자 한가야
91
死生 飢寒(사생기한)을 하 브텨 두고
92
平生(평생)애 갑업시 듯 거 明月淸風(명월청풍) 이로다
 
 
93
- 20 -
 
94
내 貧賤(빈천) 보내려  이 貧賤(빈천) 뉘게 가며
95
의 富貴(부귀) 오과다  뎌 富貴(부귀)이 내게 오랴
96
보내디도 청티도 말오 내 분로 리라
 
 
97
- 21 -
 
98
功名(공명)도 잇고 뎌마다 로리도 만코 만코
99
富貴(부귀)는 더욱 마다 시이 하고 하다
100
아마도 이 내 貧賤(빈천)이사 즐거오미 그지 업다
 
 
101
- 22 -
 
102
本性(본성)이 無識(무식)야 아므 일도 다 모니
103
東西(동서)을 내 알며 南北(남북)인 내 아더냐
104
아마도 모 거시니 모 대로 리라
 
 
105
- 23 -
 
106
百年(백년)이 三萬六千日(삼만육천일)이라
107
이 압피 얼메나 니
108
이리  언제 고텨 놀리 (二句缺)
109
우리 오늘 일 모 놀고 일 일 노리라
 
 
110
- 24 -
 
111
人間(인간)에 원만 일을 上帝(상제) 알외이다
112
百年 前程(백년 전정)이 하 갓가와 셜워이다
113
원컨댄 不老長生(불로장생)을 分揀題給(분간제급)쇼셔
 
 
114
- 25 -
 
115
上帝(상제) 녀기샤 내 말도 어엿브다마
116
白髮 公道(백발공도)을 내 엇디 處分(처분)리
117
아지기 첫 百年(백년)으란 依願施行(의원시행)노라
 
 
118
- 26 -
 
119
六十年(육십년)을 다 디낸 후에  두  지내엿더니
120
오늘날 봄을 보니     오도다
121
일에       면 千百年(천백년)에 니리로다
 
 
122
- 27 -
 
123
녜 노던 벗님네 손 곱펴 헤여 보니
124
數十年來(수십년래)예 바니나마 업노괴야
125
우리 사라인 제 일 이리 노리라
 
 
126
- 28 -
 
127
어린 제 라고졋더니 라니 늘기 셜
128
늘글 줄 아던 라디나 마 거슬
129
아마도 몯 졀믈 人生(인생)이 아니 놀고 엇뎨리
 
 
130
- 29 -
 
131
右(우) 謹言所志矣段(근어소지의단)
132
陳地立案成給(진지립안성급)소
133
劉伶(유령)의 노던  醉鄕(취향)이 무게셔이다
134
世上(세상)에 爭望(쟁망) 리 업게 依法成給(의법성급)쇼셔
 
 
135
* 근어소지의단 : 삼가 뜻하는바 말씀.
136
* 진지립안성급 : 뜻하는 바가 잘 이룩됨.
137
* 유령 : 역사상 술을 좋아했던 인물.
 
 
138
- 30 -
 
139
上帝(상제) 녀기샤 狀辭(장사) 的實(적실) 올디라두
140
陶淵明(도연명) 李太白(이태백)도 立案(입안) 몯 낸 히어니
141
天下(천하)에 公物(공물)을 사마 모다 모다 노라라
 
 
142
* 장사 : 소장(訴狀)에 적힌 글
 
 
143
- 31 -
 
144
世間(세간)에 민망 이리 詩艱難(시간난) 셜웨이다
145
雪月 風花(설월 풍화) 만나거든 졉기 어려웨라
146
許多(허다) 錦章繡句(금장수구)을 의 몸 題給(제급)쇼셔
 
147
* 금장수구 : 좋은 문장과 구절.
 
 
148
- 32 -
 
149
上帝(상졔) 녀기샤 古文書(고문서) 相考(상고)온
150
三百篇(삼백편)과 李杜詩(이두시)와 百家語(백가어)을
151
 分給(분급)잇갈든
152
뎨례도 不足(부족)디 아니커니 이제 엇디 有餘(유여)케 리
 
 
153
- 33 -
 
154
 고텨 녀기샤 네 가난 불가난이로다
155
詩能窮人(시능궁인)이라 그러여 그럿토다
156
아므려 不足(부족)이다 야도 시바치 거즈말로 퇴노라
 
 
157
- 34 -
 
158
다믄  간 草屋(초옥)개 셰간도 하고 할샤
159
나고 고 벼로 부 므 일고
160
이 草屋(초옥) 이 셰간 가지고 아니 즐기고 엇디 리.
 
 
161
- 35 -
 
162
梅葩(매파)은 冬至(동지)예 픠고 菊芽(국아) 臘月(납월)에 핀다
163
이 엇던 乾坤(건곤)에 그리 추 샘견뇨
164
이 仙翁(선옹) 늘근가 야 일 봄이 이
 
 
165
- 36 -
 
166
내 마 늘건냐 늘 주 내 몰래라
167
은 져머 이셔 벗과 놀려 니
168
엇다엇다 져믄 벗들은 나 놀다 다
 
 
169
- 37 -
 
170
내 양 내 몯 보니 내 그더도록 셔 늘건냐
171
엇그제 少年(소년)이어든 그리 수이 늘글소냐
172
아므려 늘다 늘다 야도 나 몰라 노라
 
 
173
- 38 -
 
174
져믄 벗님네야 늘그니 웃디 마라
175
점기 져근 더디오 늘기사 더 쉬오니
176
너도 날 면  우스 리 이스리라
 
 
177
- 39 -
 
178
七十年(칠십년)을 다 디낸 후에  八年(팔년)에 다니
179
한가 이 모미 壽域中(수역중)에 늘거 간다
180
오날  봄을 만나 擊壤歌(격양가)을 노라
 
 
181
* 수역중 : 장수하는 사람이 사는 곳
182
* 격양가 :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세월을 즐기는 노래
 
 
183
- 40 -
 
184
히히 히히  히히 히히 (제2구 빠짐)
185
이러도 히히 히히 뎌러도 히히 히히
186
일에 히히 히히니 일일마도 히히 히히로다
 
 
187
- 41 -
 
188
어리고  어리니  이리 다 어리다
189
이리도 어리고 뎌리도 어리도다
190
아마도 어린 거시니 어린 대로 리라
 
 
191
- 42 -
 
192
내의 졸이미 졸 듕의 더 졸다
193
生涯(생애)도 졸고 學業(학업)도 졸여라
194
本性(본성)이 졸거니 므스이라 아니 졸리
 
 
195
- 43 -
 
196
애고 늘긔 셜온졔가 늘지 말고 사랏고쟈
197
셰월이 하 쉬 가니 아믜타 다 늘글노다
198
비로기 늘글지라도 오래 사라 노올리라
 
 
199
- 44 -
 
200
늘기 다 셜거니와 오래 살귀 어려오니
201
진실로 오래 살면 늘글소록 더 놀리라
202
樂而忘憂(낙이망우)야 늘 줄을 모리라
 
 
203
* 낙이망우 : 즐거움으로 근심을 잊음.
 
 
204
- 45 -
 
205
萬卷書(만권서)를 對(대)아셔 千古(천고) 버 각니
206
天地間(천지간) 녜던 길히 一胸中(일흉금)에 다 오다
207
진실로 녜 벗과 녜 길을 알면 아니 녜고 어제리오
 
 
208
- 46 -
 
209
늘그면 죽귀 쉽고 죽으면 법 업니
210
늘거도 사나 졔 벋과 노미 긔 올리
211
우리 그런 줄 아라 벋과 일 놀리라
 
 
212
- 47 -
 
213
내  아 벗님내 모다 오소  노새
214
함께 노세. 모다와  놀미 긔 아니 즐거오랴
215
며 風月(풍월)이 無盡藏(무진장)니 글노 노쟈 노라
 
 
216
- 48 -
 
217
어와 벋님네야 모다 모다 죄 오시니
218
이 山亭(산정)이 늘그니 오날 더 즐겁다
219
비로기 林深路黑(임심로흑)나 마나 로 로 오슈셔
 
 
220
* 임심로흑 : 숲이 깊고 길이 어둡다.
 
 
221
- 49 -
 
222
늘그니 늘그니를 만나니 반가고 즐겁고야
223
반가고 즐거오니 늘근 줄을 모롤로다
224
진실노 늘근 줄을 모거니 일 만나
【원문】산중잡곡(山中雜曲)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시조〕
▪ 분류 : 시조
▪ 최근 3개월 조회수 : 122
- 전체 순위 : 592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24 위 / 82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유언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산중잡곡 [제목]
 
  김득연(金得硏) [저자]
 
  시조(時調) [분류]
 
  연시조(連時調)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시조 카탈로그   본문   한글  한글(고어) 
◈ 산중잡곡(山中雜曲)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10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