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남행기(南行記) ◈
카탈로그   본문  
1940.2
채만식
채민식의 송도서 광주까지 천리길을 여행하며 작성한 풍물기(1940.2)
1
南 行 記[남행기]
 
2
정읍역(井邑驛)을 지나서야 날은 차창 밖에서 부윳이 샌다.
 
3
차는 이윽고, 옛날엔 열아홉 살 먹은 과수가 스물한 살 먹은 딸을 데리고 기러기로 더불어 울며 넘었다는 장성 갈채를 마침, 낙향하는 여급과 귀성하는 의학생(醫學生)의 도란도란 재미있는 한담을 싣고, 씨근거리면서 기어올라간다.
 
4
올라가다가 필경 지쳐서는 굴을 뚫고 나가고……
 
5
노령(蘆嶺) 터널을 빠져나오니 남북의 분수령이라, 가느다란 실개천이 선로를 따라 흘러내린다.
 
6
한강이 꽝꽝 얼어붙은 것을 보았는데, 동지에 영 위의 개천물이 그대로 흐르고 있고, 역시 남방 풍물인가 했다.
 
7
신기해하느라니까, 옆에 와 앉았던 상인태의 텁수룩한 나그네가
 
8
“요세, 날이 푹허기두 하지만……”
 
9
하면서 뻐억뻑 골통대를 빠는 사이사이, 설명이 구수하다.
 
10
“……목포는 짐장이 한참이고, 아그(아이)들이 맨발로 학교를 댕기지라우. ……제주는 또, 가시면 겨우내애 배추가 밭에서 새애파랗고……”
 
11
보드라우면서도 다뿍 늘어진 발음, 워너니 차 안은 어느덧 호남 사투리가 판을 짠다.
 
 
12
지나간 가을, 추수가 시원치 않았던 들판의 논에는 군데군데 논보리만 벌써 두세 치나 자라, 아직도 먼 4월의 양식을 약속하며 있다.
 
13
보리에 걸음을 주던 새벽 농군이 손을 멈추고 우두커니 차를 바라다보고 섰다. 무얼 생각하는 것일꼬?
 
14
들판 건너로, 아침 안개가 자욱히 마을을 싼, 신흥 뒤꼍의 방장산(方丈山)의 높고 큰 덩치가, 솟아오르는 조양(朝陽)을 가득 받아 단풍철인 듯 누르붉게 불타오른다.
 
15
사가리역(四街里驛) 구내엔 산더미 같은 장작 눌이 몇 개고 쌓여 있는 게 보기만 해도 푸짐하다.
 
16
저놈을 말끔 한꺼번에 불을 땠으면 꽤 뜨뜻하렷다 싶었다.
 
17
아방궁이 불탈 때처럼, 상제도 무둔왈(撫臀曰) 열(熱)타 하실 테고.
 
18
장작은 어떤 상인들이 큰 이문을 보려고 드뿍 매점을 해둔 것인데, 그통에 경성 방면의 장작시세가 턱없이 더 올랐고, 한 것을 얼씨구나 좋다고, 마침내 수송을 하자니까는, 지사영감이 영을 내려 덜컥 금지를 시켰더라고.
 
19
화재 난 데 도적질이란 속담도 있지만 원체 너무들 하더라니, 거저 잘 꾸사니야지.
 
20
송정리에서 광주로 갈아 타느라고 차를 내리는데, 밤새껏 동행을 한, 예의 저편쪽 양장 여급군이 자꾸만 내 두상에 주목을 한다.
 
21
송도서 광주까지 천리길을 무모(無帽)로 가는 줄은 모르고서, 저 나그네가 모자를 잊고 내리거니 하여, 보기에 딱했던 모양이다.
 
22
여자 되어 그만침 꼼꼼하니, 팔자가 저렇지 않고 진작 누구네 집 며느리가 되었더라면 엔간한 시어머니한테는 눈치밥은 안 먹었을걸 싶어 애석했다.
 
 
23
광주에서.
 
24
조(趙) ․ 조(曺) 두 벗의 권을 사양타 못해, 술은 먹지도 못하는 주석엘 나아갔더니, 요정은 여기도 잔치집같이 풍성거린다.
 
25
서울서는 웬만한 풍류객이 웬만큼 벼르고 모은 자리가 아니고서는, 위지왈 ‘벙어리’와 ‘파아마넨트’를 초화(草花)로 구경하거나 그 알량한 유행가 토막을 얻어듣기가 고작인데, 역시 제바닥이라 그렇기도 하겠지만, 각시들이(맵시는 촌스러도) 개개일자로 뽑는 남방노래가 멋들어져 모처럼 하룻밤이 즐거웠다.
 
26
‘수비대구두’라는 별명에 꼭 맞도록, 덜퍽 커가지고는 털털하게 생긴 각시가 들어오더니, 뒤미쳐서는 그 십분지 일도 못되는 애기가 들어와서 괴상한 콤비를 이뤄놓는다.
 
27
애기가 하도 작길래 물어보았더니 열여섯 살이라고, 그런데 고놈이 노래로는 좌중을 압두를 한다.
 
28
그러나 잘하는 그 노래에 흥이 나기보다는 액색해서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이튿날 밤에는 애저찜을 먹다가 문득 그 애기각시가 더불어 생각이 나서 저깔을 놓았었고.
 
 
29
뒤미처 신(辛)이 참석을 했고, 조(曺)와 둘이서 북을 들여다놓고 번갈아 장단을 쳤다.
 
30
조(曺)는 북으로 명인급에 드는 활량이요, 신은 거저 아마튜어라는데, 내 눈으로야 잘 치고 못 치는 것을 분간할 길이 없지만, 한갓 그 둘이가 다 같이 북채를 들고 앉아 일종 기이한 관이 있을 만큼 도취상태에 빠지곤 했다.
 
31
노래가 차차로 진행함을 따라, 더우기 멋들어지게 목이 넘어갈 때면 팔을 높이 들었다 내렸다, 고개를 꾸뻑거리는 것이며 “좋오타!” 추는 소리며, 모든 제스처가 평상시의 그들의 몸짓과는 딴 사람인 듯 훨씬 억양이 크고, 그러하되 전혀 의식적으로가 아니라 썩 자연스러운 품이 당자네 자신도 모를 사이, 절로 그래지는 모양이다.
 
32
장단이면 양악에서는 피아노에 의한 반주이겠는데, 가수 말고 반주자까지도 역시 그와 같이 도취가 되어 몰아(沒我)의 경지에로 젖어들어갈 수가 있는 것임을 비로서 알겠었다.
 
33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창작을 할 때에 작중 인물의 생활에 동화가 되어, 어느덧 나 자신도 모르는 동안, 그의 감정의 변화를 따라, 혼자서 웃기도 하고 찡그리기도 하고 노하기도 하는 것과 다름이 없는 것일 것이다.
【원문】남행기(南行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수필〕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24
- 전체 순위 : 1960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191 위 / 183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황제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남행기 [제목]
 
  채만식(蔡萬植) [저자]
 
  1940년 [발표]
 
  기행문(紀行文)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남행기(南行記)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5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