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성첩(城堞: 성벽)의 모양
|
1
|
|
|
남편은 숭례문(崇禮門)과 동편은 흥인문(興仁門)과
|
|
2
|
|
|
서편은 소의문(昭義門)과 북편은 창의문(彰義門)이
|
|
3
|
|
|
사관(四關)이 되었으니 수문장(守門將) 호군부장(護軍部長)
|
|
4
|
|
|
수문군(守門軍) 영통(領統)하며 칼을 꽂고 신칙(申飭)한다
|
|
5
|
|
|
팔로(八路)를 통하였고 연경(燕京) 일본 다았구나
|
|
|
|
2. 백각 육의전(六矣廛)의 모습
|
1
|
|
|
우리나라 소산(所産)들로 부끄럽지 않건마는
|
|
2
|
|
|
타국물화(他國物貨) 교합(交合)하니 백각전(百各廛) 장할시고
|
|
3
|
|
|
칠패(七牌)의 생선전(生鮮廛)에 각색 생선 다 있구나
|
|
4
|
|
|
민어(民魚) 석어(石魚) 석수어(石首魚)며 도미 준치 고도어(高刀魚)며
|
|
5
|
|
|
낙지 소라 오적어(烏賊魚)며 조개 새우 전어(鱣魚)로다
|
|
6
|
|
|
남문(南門)안 큰 모전(毛廛)에 각색 실과 다 있구나
|
|
7
|
|
|
청실뇌(靑梨) 황실뇌 건시(乾?) 홍시(紅?) 조홍시며
|
|
8
|
|
|
밤 대추 잣 호도며 포도 경도(瓊桃) 오얏이며
|
|
9
|
|
|
석류(石榴) 유자(柚子) 복숭아며 용안(龍眼) 여지(荔枝) 당대추〔唐大棗〕로다
|
|
10
|
|
|
상미전(上米廛) 좌우가가(左右假家) 십년지량(十年之糧) 쌓았어라
|
|
11
|
|
|
하미(下米) 중미(中米) 극상미(極上米)며 찹쌀 좁쌀 기장쌀과
|
|
12
|
|
|
녹두(綠豆) 청태(靑太) 적두(赤豆) 팥과 매태(馬太) 중태(中太) 기름태(太)ㄹ다
|
|
13
|
|
|
되를 들어 자랑하니 민무기색(民無飢色) 좋을시고
|
|
14
|
|
|
수각(水閣)다리 넘어서니 각색 상전(商廛) 벌였어라
|
|
15
|
|
|
면빗 참빗 얼레빗과 쌈지 줌치 허리띠며
|
|
16
|
|
|
총전(氈) 보료 모담자(毛?子)며 간지(簡紙) 주지(周紙) 당주지(唐周紙)ㄹ다
|
|
17
|
|
|
큰 광통교(廣通橋) 넘어서니 육주비전(六注比廛) 여기로다
|
|
18
|
|
|
일 아는 열립군(列立軍)과 물화(物貨) 맡은 전시정(廛市井)은
|
|
19
|
|
|
큰 창옷에 갓을 쓰고 소창옷에 한삼(汗衫) 달고
|
|
20
|
|
|
사람 불러 흥정할 제 경박(輕薄)하기 측량(測量)없다
|
|
21
|
|
|
백목전(白木廛) 각색방(各色房)에 무명이 쌓였어라
|
|
22
|
|
|
강진목(康津木) 해남목(海南木)과 고양(高陽)낳이 강(江)낳이며
|
|
23
|
|
|
상고목(商賈木) 군포목(軍布木)과 공물목(貢物木) 무녀포(巫女布)와
|
|
24
|
|
|
천은(天銀)이며 정은(丁銀)이며 서양목(西洋木)과 서양주(西洋紬)라
|
|
25
|
|
|
지전(紙廛)을 살펴보니 각색 종이 다 있구나
|
|
26
|
|
|
백지(白紙) 장지(壯紙) 대호지(大好紙)며 설화지(雪花紙) 죽청지(竹靑紙)며
|
|
27
|
|
|
선익지(蟬翼紙) 화초지(花草紙)며 깨끗할사 백면지(白綿紙)며
|
|
28
|
|
|
상화지(霜花紙) 자문지(咨文紙) 초도지(初塗紙) 상소지(上疏紙)며
|
|
29
|
|
|
천연지(川蓮紙) 모토지(毛土紙)와 모면지(毛綿紙) 분당지(粉唐紙)와
|
|
30
|
|
|
궁전지(宮箋紙) 시축지(詩■紙)와 각색 능화(菱花) 고을시고
|
|
31
|
|
|
베전(廛)을 살펴 보니 각색 마포(麻布) 들어쳤다
|
|
32
|
|
|
농포(農布) 세포(細布) 중산(中山)치며 함흥(咸興) 오승(五升) 심의포(?衣布)며
|
|
33
|
|
|
육진장포(六鎭長布) 안동포(安東布)와 계추리 해남포(海南布)와
|
|
34
|
|
|
왜베 당(唐)베 생계추리 문포(門布) 조포 영춘포(永春布)며
|
|
35
|
|
|
길주(吉州) 명천(明川) 가는 베는 바리 안에 드는 베ㄹ다.
|
|
36
|
|
|
청포전(靑布廛) 살펴보니 당물화(唐物貨)가 벌여 있다
|
|
37
|
|
|
중침(中針) 세침(細針) 수(繡)바늘과 다홍(茶紅) 삼승(三升) 청(靑) 삼승(三升)과
|
|
38
|
|
|
녹전(綠氈) 홍전(紅氈) 분홍전(粉紅氈)과 삼승고약(三升膏藥) 공단(貢緞)고약
|
|
39
|
|
|
감투모자 회회포(回回布)와 민강사당(?薑沙糖) 오화당(五花糖)과
|
|
40
|
|
|
연환당(軟環糖) 옥춘당(玉春糖)과 갖은 당속(糖屬) 벌여 있다
|
|
41
|
|
|
선전(線廛)은 수전(首廛)이라 돈 많은 시정(市井)들이
|
|
42
|
|
|
호사(豪奢)도 혼란(混亂)하고 인물도 준수(俊秀)하다
|
|
43
|
|
|
각색 비단 벌였으니 화려(華麗)도 장할시고
|
|
44
|
|
|
공단(貢緞) 대단(大緞) 사단(紗緞)이며 궁초(宮?) 생초(生?) 설한초(雪寒?)며
|
|
45
|
|
|
금계제파(金鷄啼罷) 일륜홍(一輪紅)하니 날 돋았다 일광단(日光緞)과
|
|
46
|
|
|
일년명월(一年明月) 금소다(今宵多)하니 달이 밝은 월광단(月光緞)과
|
|
47
|
|
|
추운담담(秋雲淡淡) 영유유(映悠悠)하니 보기 좋은 운문대단(雲紋大緞)
|
|
48
|
|
|
춘풍도리(春風桃李) 화개야(花開夜)하니 번화로운 도리불수(桃李佛手)
|
|
49
|
|
|
매화만국(梅花萬國) 청모적(聽暮笛)하니 매죽문(梅竹紋) 가계주(紬)며
|
|
50
|
|
|
용귀호동(龍歸虎洞) 운유습(雲猶濕)하니 혼란(?爛)할사 용문갑사(龍紋甲紗)
|
|
51
|
|
|
상사볼견(相思不見) 이내 마음 임 그리운 상사단(相思緞)과
|
|
52
|
|
|
은한성희(銀漢星稀) 일도통(一道通)하니 통해주(通海紬) 이름 짓고
|
|
53
|
|
|
명괘금방(名掛金榜) 제일인(第一人)하니 장원주(壯元紬) 되어 있고
|
|
54
|
|
|
산천초목(山川草木) 번성하니 넌출 진 포도대단(葡萄大緞)
|
|
55
|
|
|
만경창파(萬頃蒼波) 조개비단 보기 좋은 금선단(金線緞)과
|
|
56
|
|
|
부화부순(夫和婦順) 만사성(萬事成)하니 양화단(兩和緞) 이름 짓고
|
|
57
|
|
|
팔월 구월 천기냉(天氣冷)하니 설사(雪紗) 빙사(氷紗) 되어 있고
|
|
58
|
|
|
태상노군(太上老君) 호로단(호로단)과 천세만세(千歲萬歲) 만수단(萬壽緞)과
|
|
59
|
|
|
역발산(力拔山) 기개세(氣蓋世)는 초한(楚漢)적 우단(羽緞)일다
|
|
60
|
|
|
얼룩덜룩 광월사(光月紗)며 알쏭달쏭 아롱단(緞)과
|
|
61
|
|
|
한 냥(兩) 두 냥 팔량주(八兩紬)며 한 쌍 두 쌍 쌍문초(雙紋?)며
|
|
62
|
|
|
수건(手巾) 감 흑저사(黑紵紗)며 이불 감 남추라(藍?羅)며
|
|
63
|
|
|
볼끼감 자지상직(紫芝常織) 휘양〔揮項〕감 검은 궁초(宮綃)
|
|
64
|
|
|
어물전(魚物廛) 살펴 보니 각색 어물 벌여 있다.
|
|
65
|
|
|
북어(北魚) 관목(貫目) 꼴독어骨獨魚〕며 민어(民魚) 석어(石魚) 통대구며
|
|
66
|
|
|
광어(廣魚) 문어(文魚) 가오리며 전복(全鰒) 해삼(海蔘) 가자미며
|
|
67
|
|
|
곤포(昆布) 메욱 다사마(多士麻)며 파래김 우무가시
|
|
68
|
|
|
도자전(刀子廛) 마로저재에 금은보패(金銀寶貝) 놓였구나
|
|
69
|
|
|
용잠(龍簪) 봉잠(鳳簪) 서복잠(瑞福簪)과 간화잠(間花簪) 창포잠(菖蒲簪)과
|
|
70
|
|
|
앞뒤 비녀 민죽즐(竹櫛)과 개구리 앉힌 쪽비녀며
|
|
71
|
|
|
은가락지 옥가락지 보기 좋은 밀화지환(蜜花指環)
|
|
72
|
|
|
금패호박(錦貝琥珀) 가락지와 값 많은 순금 지환(指環)
|
|
73
|
|
|
노리개 볼작시면 대삼작(大三作)과 소삼작(小三作)과
|
|
74
|
|
|
옥나비 금벌이며 산호(珊瑚) 가지 밀화불수(蜜花佛手)
|
|
75
|
|
|
옥장도(玉粧刀) 대모장도(玳瑁粧刀) 빛 좋은 삼색(三色) 실로
|
|
76
|
|
|
꼰술 푼술 갖은 매듭 번화하기 측량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