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사지(事知)한 내시(內侍)들은 승전(承傳) 차지(次知) 장번(長番)일다
|
|
2
|
|
|
건장한 무예청(武藝廳)은 자지군복(紫芝軍服) 남전대(藍전대)에
|
|
3
|
|
|
십팔기(十八技)예(藝) 주장(主掌)하니 기상(氣像)이 호용(豪勇)하다
|
|
4
|
|
|
밤이면 호피(虎皮)두건(頭巾) 호피군복 삼모장(杖)에
|
|
5
|
|
|
파수(把守)마다 앉았으니 호분군(虎賁軍) 되어 있고
|
|
6
|
|
|
맵시있는 전별감(殿別監)은 이팔청춘(二八靑春) 아이로다
|
|
7
|
|
|
당당 홍의(紅衣) 자지(紫芝)두건(頭巾) 남광다회(藍廣多繪) 넓은 띠를
|
|
8
|
|
|
가슴에 눌러 띠고 빚 좋은 순금(純金) 동곳
|
|
9
|
|
|
큰 대(大)자 새겨 내어 모양 좋게 곶아 있고
|
|
10
|
|
|
모대(帽帶)한 사알(司謁) 사약(司?) 융복(戎服)한 무감(武監) 통장(統長)
|
|
11
|
|
|
별감(別監) 무감(武監) 영통(領統)하여 합문(閤門)에 등대(等待)하고
|
|
12
|
|
|
각 처소(處所) 나인(內人)들은 안 일을 감았는데
|
|
13
|
|
|
지밀(至密) 침방(針房) 수방(繡房)이며 생것방(房) 소주방(燒廚房)이
|
|
14
|
|
|
백각사(百各事) 각각 맡아 아침 저녁 문안(問安)이며
|
|
15
|
|
|
의대수문(衣?酬問) 침선(針線)이며 수라진찬(水刺進饌) 직분(職分)일다
|
|
16
|
|
|
윤주라(?紬羅) 모단(毛緞) 너울 두록대단(豆綠大緞) 드림이며
|
|
17
|
|
|
홍융사(紅絨絲) 유소(流蘇)매듭 빛 좋게 늘어지고
|
|
18
|
|
|
남소화주(藍蘇花紬) 긴 너울은 누른 화판(花瓣) 조밀(稠密)하다
|
|
19
|
|
|
설한단(雪漢緞) 남(藍)치마와 불빛 모단(毛緞) 족두리며
|
|
20
|
|
|
어여머리 늦은 낭자 오두잠(烏頭簪) 금죽즐(金竹櫛)과
|
|
21
|
|
|
긴 원삼(圓衫) 짜른 당의(唐衣)요지연(瑤池宴) 뫼셨는 듯
|
|
22
|
|
|
분대(粉黛)도 절등(絶等)하고 주취(朱翠)도 화려하다
|
|
23
|
|
|
항아(姮娥)가 적강(謫降)한가 속태(俗態)도 전연 없네
|
|
24
|
|
|
나 많은 무수리는 작은 머리 긴 저고리
|
|
25
|
|
|
아청(鴉靑)무명 넓은 띠에 문패(門牌)를 빗겨 차고
|
|
26
|
|
|
각궁노자(各宮奴子) 모양들은 벙거지 넓은 갓끈
|
|
27
|
|
|
두루마기 반물 들여 소매길게 하여 입고
|
|
28
|
|
|
내병조(內兵曹) 근장군사(近仗軍士) 문문(門門)이 지켜 있어
|
|
29
|
|
|
금잡인(禁雜人) 총찰(統察)하니 가죽 등(藤)채 손에 들고
|
|
30
|
|
|
이리 뛰며 저리 뛰니 기상(氣象)이 호륵(豪勒)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