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제21장
|
1
|
|
|
하히 일워시니 赤脚仙人(적각선인) 아닌 天下蒼生(천하창생) 니시리가
|
2
|
|
|
하히 어시니 누비 아닌 海東黎民(해동여민)을 니시리가
|
|
|
|
2. 제22장
|
1
|
|
|
赤帝(적제) 니러나시릴 白帝(백제) 갈해 주그니 火德之王(화덕지왕) 神婆(신파)ㅣ 알외니
|
2
|
|
|
黑龍(흑룡)이 사래 주거 白龍(백룡) 살아내시니 子孫之慶(자손지경) 神物(신물)이 니
|
|
|
|
3. 제23장
|
1
|
|
|
雙鵰(쌍조)ㅣ 사래 니 絶世(절세) 英才(영재) 邊人(변인)이 拜伏(배복)니
|
2
|
|
|
雙鵲(쌍작)이 사래 디니 曠世(광세) 奇事(기사) 北人이 稱頌(칭송)니
|
|
|
|
4. 제24장
|
1
|
|
|
다거늘 님그믈 救(구)시고 六合(육합)애도 精卒(정졸) 자시니
|
2
|
|
|
다거늘 나라해 도라오시고 雙城(쌍성)에도 逆徒(역도) 平시니
|
|
|
|
5. 제25장
|
1
|
|
|
德望(덕망)이 뎌러실 가다가 도라 軍士(군사)ㅣ 걋긔 黃袍(황포) 니피니
|
2
|
|
|
忠誠(충성)이 이러실 죽다가 살언 百姓(백성)이 아긔 袞服(곤복)니피니
|
|
|
|
6. 제26장
|
1
|
|
|
東都(동도)애 보내어시 하리로 말이 이 곧 뎌 고대 後(후)날 다리가
|
2
|
|
|
北道(북도)애 보내어시 글로 말이 가샴 겨샤매 오 다리가
|
|
|
|
7. 제27장
|
1
|
|
|
큰 화리 常例(상례) 아니샤 얻 초 濟世才(제세재) 後人(후인)이 보니
|
2
|
|
|
큰 사리 常例(상례) 아니샤 보시고 더디시나 命世才(명세재) 卽日(즉일)에 깃그시니
|
|
|
|
8. 제28장
|
1
|
|
|
員(원)의 지븨 가샤 避仇(피구) 소 마리 兩漢故事(양한고사)애 엇더니고
|
2
|
|
|
아바 뒤헤 셔샤 赴京(부경) 소 마리 三韓今日(삼한금일)에 엇더니고
|
|
|
|
9. 제29장
|
1
|
|
|
漢德(한덕)이 비록 衰(쇠)나 帝冑(제주)ㅣ 中興(중흥)시릴 大耳兒(대이아) 臥龍(와룡)이 돕니
|
2
|
|
|
世亂(세란) 救호려 나샤 천자(天姿)ㅣ奇偉(기위)실 大耳相(대이상) 詔使(조사)ㅣ 일니
|
|
|
|
10. 제30장
|
1
|
|
|
뒤헤는 모딘 도 알 어드 길헤 업던 번게를 하히 기시니
|
2
|
|
|
뒤헤는 도딘 알 기픈 모새 열 어르믈 하히 구티시니
|
|
|
|
11. 제31장
|
1
|
|
|
전리 현버늘 딘 三十年(삼십년) 天子(천자)ㅣ 어시니 모딘 일우리가
|
2
|
|
|
石壁(석벽)이 잣 數萬里(수만리) 의미어시니 百仞虛空(백인허공)애 리시리가
|
|
|
|
12. 제32장
|
1
|
|
|
天爲建國(천위건국)샤 天命(천명)을 리오시니 亭上牌額(정상패액) 세사 마치시니
|
2
|
|
|
天爲拯民(천위증민)샤 天才(천재) 리오시니 藪中(수중) 담뵈 스믈살 마치시니
|
|
|
|
13. 제33장
|
1
|
|
|
行宮(행궁)에 도기 둘어 님그미 울어시 赴援設疑(부원설의)샤 도기 도라가니
|
2
|
|
|
京都(경도)애 도기 드러 님그미 避(피)커시 先登獻捷(선등헌첩)샤 님금 도라오시니
|
|
|
|
14. 제34장
|
1
|
|
|
믈 깊고 업건마 하히 命(명)실 론자히 건너시니다
|
2
|
|
|
城(성) 높고 리 업건마 하히 도실 론자히 리시니다
|
|
|
|
15. 제35장
|
1
|
|
|
셔 긔벼를 알 나가샤 모딘 도 믈리시니다
|
2
|
|
|
스 軍馬(군마) 이길 믈리조치샤 모딘 도 자시니다
|
|
|
|
16. 제36장
|
1
|
|
|
兄(형)이 디여 뵈니 衆賊(중적)이 좇거늘 재 려 티샤 두 갈히 것그니
|
2
|
|
|
채텨 뵈시니 三賊(삼적)이 좇거늘 길버서 쏘샤 세 사래 다 디니
|
|
|
|
17. 제37장
|
1
|
|
|
셔 賊臣(적신)이 잇고 부니 天命(천명)이실 딘 하히 내시니
|
2
|
|
|
나라해 忠臣(충신)이 업고 至誠(지성)이실 여린 하히 구티시니
|
|
|
|
18. 제38장
|
1
|
|
|
四征無敵(사정무적)샤 오샤 사시릴 東(동) 니거시든 西夷(서이) 라니
|
2
|
|
|
用兵如神(용병여신)샤 가샤 이기시릴 西(서)예 오나시든 東鄙(동비) 라니
|
|
|
|
19. 제39장
|
1
|
|
|
楚國(초국)엣 天子氣(천자기)를 行幸(행행)로 마시니 님 미 긔 아니 어리시니
|
2
|
|
|
鴨江(압강)앳 將軍氣(장군기)를 아모 爲(위)다 시니 님 말미 긔 아니 올시니
|
|
|
|
20. 제40장
|
1
|
|
|
城(성) 아래 닐흔 살 쏘샤 닐흐늬 모미 맛거늘 京觀(경관) 시니
|
2
|
|
|
城(성) 우희 닐흔 살 쏘샤 닐흐늬 치 맛거늘 凱歌(개가)로 도라오시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