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임실문화원의 지식창고 고고학으로 본 임실
고고학으로 본 임실
(보기 : 일자별구성)
(A) 목차
참고문헌
about 고고학으로 본 임실
내서재
추천 : 0
【향토】
(2024.01.05. 09:21) 
◈ 참고문헌
• 郭長根, 2007, 「蟾津江流域으로 百濟의 進出過程 硏究」, 『湖南考古學報』 26, 湖南考古學會.
• 곽장근, 2008, 「호남 동부지역 산성 및 봉수의 분포양상」, 『영남학』 제13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곽장근, 2011,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한국고대사연구』 63, 한국고대사학회.
【참고문헌】
 
 
• 郭長根, 2007, 「蟾津江流域으로 百濟의 進出過程 硏究」, 『湖南考古學報』 26, 湖南考古學會.
 
• 곽장근, 2008, 「호남 동부지역 산성 및 봉수의 분포양상」, 『영남학』 제13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곽장근, 2011,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한국고대사연구』 63, 한국고대사학회.
 
• 곽장근, 2012, 「새만금해역의 해양문화와 문물교류」, 『도서문화』 제39집,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郭長根, 2013, 「鎭安高原 初期靑磁 登場背景과 傳播經路」, 『東亞細亞海洋文化國際學術大會』, 中國浙江大學校.
 
• 곽장근, 2013, 「진안고원 초기청자의 등장배경 연구」, 『전북사학』 제39집, 전북사학회.
 
• 곽장근, 2014, 「진안 도통리 초기청자 요지와 후백제」, 『진안 도통리 청자』, 국립전주박물관.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6, 『실상사 Ⅱ』 발굴조사보고서.
 
• 국립전주박물관, 2011, 『임실任實』 전북의 역사문물전 Ⅹ.
 
• 군산대학교 박물관, 2004, 『전북동부지역 가야문화유산』, 전라북도.
 
• 군산대학교 박물관, 2011, 『임실 도인리 유적』, 임실군.
 
• 군산대학교 박물관, 2014, 「진안 도통리 초기청자 가마 시(발)굴조사 약보고서」, 진안군 참조.
 
• 군산대학교 박물관, 2007, 『임실 운정리 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 金圭東·崔興鮮, 1998, 「任實 蟾津댐 水沒地區 遺蹟 地表調査 報告」, 『扶安 海岸一帶 遺蹟 地表調査 報告』, 國立全州博物館.
 
• 金壽泰, 1999, 「全州 遷都期 甄萱政權의 變化」, 『韓國古代史硏究』 15.
 
• 金英媛, 1997, 『全北의 朝鮮時代 陶窯址』 -朝鮮時代 粉靑·白磁 窯址-, 國立全州博物館.
 
• 金元龍, 1986, 『韓國考古學槪說』, 一志社.
 
• 金泰植, 1993, 『加耶聯盟史』, 一潮閣.
 
• 김영진, 2002, 『도자기가마터 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 김태식, 2002,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 盧重國, 1991, 「百濟 武寧王代의 集權力 强化와 經濟基盤의 擴大」, 『百濟文化』 第21輯, 公州大學校附設 百濟文化硏究所.
 
• 文化財管理局, 1975, 『文化遺蹟總覽』.
 
• 朴天秀, 2009, 「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를 중심으로-」, 『韓國上古史學報』, 韓國上古史學會.
 
• 서지은·조명일·김유리나, 2009, 『임실 성미산성』, 전북문화재연구원·임실군.
 
• 송화섭, 2009, 「전북 해양문화와 새만금」, 『전북의 역사와 문화유산』, 전라북도·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송화섭, 2013, 「후백제의 대외교류와 문화」, 『후백제 왕도 전주』, 전주시·전주역사박물관.
 
• 송화섭, 2014, 「한국 윷판형 암각화의 역사와 성격」, 『임실상가윷판유적』, 임실문화원·한국암각화학회.
 
• 송화섭, 2014, 「한국 윷의 문화사와 윷판암각화의 천문사상」, 『임실상가윷판유적』, 임실문화원·한국암각화학회.
 
• 윤덕향·이민석·고금님, 2003, 『용암리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Ⅱ』, 전북대학교 박물관·임실군.
 
• 尹盛俊, 2010, 「鎭安地域 靑瓷窯址의 硏究」 圓光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 이기길, 2007, 「한국 서남부와 일본 큐슈의 후기구석문화 비교 연구」, 『호남고고학보』 25, 호남고고학회.
 
• 이기길·차미애·김수아, 2008, 『임실 하가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 李道學, 2008, 「百濟와 東南아시아 諸國과의 交流」, 『충청학과 충청문화』 7,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이도학, 2008, 「신라 말 후백제 진훤 세력의 성장과 남중국 교섭」, 『한국전통문화학술대회논문집』, 절강대학교 한국연구소.
 
• 李道學, 2010, 『백제 사비성 시대 연구』, 일지사.
 
• 이동희, 2007, 「백제의 전남동부지역 진출의 고고학적 연구」, 『한국고고학보』 64, 한국고고학회.
 
• 李鍾玟, 2002, 「韓國의 初期靑磁 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李鍾玟, 2003, 「韓國 初期靑磁의 形成과 傳播」, 『美術史學硏究』 240.
 
• 李鍾玟, 2004, 「고려시대 청자가마의 구조와 생산방식 고찰」, 『韓國上古史學報』 第45號.
 
• 李鍾玟, 2011, 「韓國 初期靑磁 生産窯址의 分布와 性格」, 『역사와 담론』 제63집.
 
• 李宗哲, 2000, 「松菊里型 住居址에 대한 硏究」, 『湖南考古學報』 12, 湖南考古學會.
 
• 이하우, 2014, 「상가 윷판유적의 조사와 문화사적 위상, 그리고 활용」, 『임실상가윷판유적』, 임실문화원·한국암각화학회.
 
• 이형우, 2008, 『임실 섬진강유역 구석기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BK21사업단·전북문화재연구원.
 
• 李喜寬, 2003, 「韓國 初期靑磁에 있어서 해무리굽碗 問題의 再檢討」, 『美術史學硏究』 237.
 
• 李喜寬, 2011, 「韓國 初期靑瓷에 硏究의 現況과 問題點」, 『지방사와 지방문화』 14권 2호.
 
• 林士民, 1999, 「韓半島 製磁業에 있어서 中國 浙江 越州窯의 影響」, 『康津靑磁國際學術會議』, 康津靑磁資料博物館.
 
• 임실문화원, 2013, 『고대 전략적 요충지 임실 관방유적 임실의 산성과 봉수』, 임실군.
 
• 張南原, 2008, 「고려전기 해무리굽碗의 지속현상에 대한 추론-동아시아 북방도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湖西史學』 50, 湖西史學會.
 
• 張南原, 2009, 「10∼12세기 고려와 遼·金도자의 교류」, 『미술사학』 23,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장장식, 2014, 「윷판형·고누판형 암각화의 성격과 의미」, 『임실상가윷판유적』, 임실문화원·한국암각화학회.
 
•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2, 『임실 석두리 유적』,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전북대학교 박물관, 1994, 『용암리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전라북도·임실군.
 
• 全北大學校 全羅文化硏究所, 1990, 『任實地方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書』, 全羅北道·任實郡.
 
• 전북문화재연구원, 2006, 『전주 동고산성』, 전주시.
 
• 전북문화재연구원, 2007, 『井邑 古阜 舊邑城 Ⅰ』, 정읍시.
 
• 전상학, 2013,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호남고고학보』 43, 호남고고학회.
 
• 全榮來, 1974, 「任實 金城里 石槨墓群」, 『全北遺蹟調査報告』 第3輯, 西景文化社.
 
• 全榮來, 2003, 『全北古代山城調査報告書』, 全羅北道·韓西古代學硏究所.
 
• 全州大學校 博物館, 2007, 『鎭安郡文化遺蹟分布地圖』, 鎭安郡.
 
• 全州歷史博物館, 2007, 『任實郡文化遺蹟分布地圖』, 任實郡.
 
• 조명일, 2004, 「전북 동부지역 봉수의 분포양상」, 『호남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호남고고학회.
 
• 조명일, 2012, 「금강 상류지역 산성 및 봉수의 분포양상과 성격」, 『호남고고학보』 41호.
 
• 조병로, 2003, 『한국의 봉수』, 눈빛.
 
• 조영제 외, 1994, 『함안 황사리분묘군』, 경상대학교 박물관.
 
• 진정환, 2011, 「새로 쓰는 진구사 사적기」, 『임실』, 국립전주박물관.
 
• 진정환, 2013, 「통일신라 고복형석등과 실상산문」, 『전북사학』 제42호, 전북사학회.
 
• 崔健, 1998, 「靑磁窯址의 系譜와 展開」, 『미술사연구』 제12호.
 
• 한국암각화학회, 2014, 『임실상가윷판유적』, 임실군·임실문화원.
 
• 韓盛旭, 2010, 「康津 靑瓷의 生産과 流通」, 『文化史學』 第34號.
 
• 한수영·조희진·김은정·김미령·오대종, 2012, 「임실 옥정호 수몰지구 내 유적의 실태와 향후 과제」, 『연구논문집』 제13호, 호남문화재연구원.
 
• 海剛陶磁美術館, 2000, 『벽돌가마와 초기청자』.
 
• 海剛陶磁美術館, 2001, 『芳山大窯』, 京畿道 始興市.
 
• 湖南文化財硏究院, 2008, 『任實 望月村遺蹟』, 益山地方國土管理廳.
 
• 湖巖美術館, 1987, 『龍仁 西里 高麗白磁窯』.
 
• 湖巖美術館, 2003, 『龍仁 西里 高麗白磁窯』 Ⅱ.
 
• 吉良文男, 2004, 「朝鮮半島の初期靑磁」, 『高麗靑磁, 高麗靑磁の誕生』,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 三上次男, 1989, 『日本·朝鮮陶磁史硏究』, 中央公論美術出版.
 
• 유물 사진은 국립전주박물관, 2011, 『임실任實』 전북의 역사문물전 Ⅹ 도록 참조.
【향토】 고고학으로 본 임실
• Ⅶ. 나오는 글
• 참고문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향토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