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일반 (일자별)
【문화】 국가보훈처
◈ 2020년 7월의 6.25전쟁 영웅, 란가라지 인도 육군 중령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란가라지 인도 육군 중령’을 2020년 7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제대군인지원과 - 성태헌 (044-202-5759)】
‘20년 7월의 6·25 전쟁영웅, 란가라지 인도 육군 중령 선정
 
‣ 란가라지 인도 육군 중령은 25개월간 6·25전쟁에 참전하여 총 341명으로 편성된
 
제60야전병원 지휘관으로 헌신함
‣ 직접 수술조를 편성, 총탄이 빗발치는 최전선 등 전장을 누비며 환자를 수술하며 진두지휘를 함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란가라지 인도 육군 중령’을 2020년 7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 란가라지 중령이 지휘한 인도 제60야전병원은 1942년 8월 창설 부터 공수사단에 배속되어 공수훈련을 받은 의무장병들로 편성되었다.
 
○ 이들 대부분은 제2차 세계대전에 종군한 경험과 더불어 인도 서북부 국경의 캐시미르(Kashmir) 산악지대에 18개월간 배치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 인도 제60야전병원은 외과의사 4명, 마취의사 2명, 일반의사 8명, 치과의사 1명 등 총 341명으로 2개의 외과반과 1개의 치과반으로 편성되었으며, 1950년 11월 20일 부산에 도착한 후 2개 제대로 편성하여 란가라지 중령이 지휘하는 본대가 영국군 제27여단을 직접 지원하고, 배너지 소령이 지휘하는 분견대가 대구 후방병원을 담당했다.
 
○ 제60야전병원 본대는 평양까지 진출한 후 유엔군의 전면적인 철수에 따라 의정부-수원-장호원으로 철수하였다가 유엔군의 재반격이 시작되면서 영국군과 함께 최전선에 투입되었다.
 
○ 또한, 1951년 중공군의 공세로 호주군이 주암리 북쪽에서 격전을 벌이는 동안 위생병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총탄이 빗발치는 최전방 고지까지 나아가 중상자들을 들것으로 실어오기도 했다. 이때 많은 중상자들이 응급조치 후 헬리콥터로 후방병원에 신속히 후송되어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 1951년 10월, 유엔군의 코만도 작전에 참가한 인도 의무요원들은 총검과 수류탄 대신 의약품과 수술기구를 휴대하고 공격부대를 뒤따르면서 전상자들의 응급조치는 물론 험한 지형과 공산군의 저지사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헌신적으로 환자 수송작전을 전개하였다.
 
○ 1953년 2월 란가라지 중령은 직접 수술조를 편성하고 전장을 누비며 환자를 수술하는 등 진두지휘를 하던 약 25개월간의 6·25전쟁 참전 복무기간을 마치고 귀국했다.
 
□ 인도정부는 그에게 ‘Mahar Vir Chakra’ 훈장을 수여했으며, 그가 지휘한 제60야전병원은 한국정부, 유엔군사령관, 인도정부로부터 그 공로를 인정받아 많은 훈장을 수여했다.
 
 
첨부 :
200630 보도자료(7월 6.25전쟁영웅, 란가라지).hwp
 

 
※ 원문보기
【문화】 국가보훈처
• 6.25전쟁 70주년 '평화의 패' 수여식
• 2020년 7월의 6.25전쟁 영웅, 란가라지 인도 육군 중령 선정
• 2020년 7월의 독립운동가, 강혜원 선생 선정
(2020.07.04. 12:5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