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2019년 3분기 전국 항만 12억 1,525만 톤 물동량 처리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19년 3/4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이 총 12억 1,525만 톤(수출입화물 10억 6,203만 톤, 연안화물 1억 5,321만 톤)으로, 전년 동기(12억 645만 톤) 대비 0.7% 증가하였다고 밝혔다.【항만운영과 - 나유성 (044-200-5773)】
- ‘컨‘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2,171만 TEU -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19년 3/4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이 총 12억 1,525만 톤(수출입화물 10억 6,203만 톤, 연안화물 1억 5,321만 톤)으로, 전년 동기(12억 645만 톤) 대비 0.7%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광양항과 부산항의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 2.6% 증가하였으나, 인천항과 평택·당진항은 각각 5.5%, 2.6% 감소하였다.
 
○ 품목별로 보면 철재류와 기계류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6%, 5.0% 증가했으나, 유연탄은 6.1% 감소하였다.
 
□ 한편, 2019년 3분기까지 전국 항만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2,146만 8천 TEU) 보다 1.1% 증가한 2,170만 9천 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화물은 일본 수입 물동량과 중국 수출 물동량의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한 1,246만 7천 TEU이고, 환적화물은 2.2% 증가한 909만 1천 TEU를 기록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수출입) 대(對) 중국 5.3%↑, 일본 4.9%↑
 
□ 항만별로 살펴보면,
 
○ 부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1,632만 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화물은 캐나다, 호주, 이란 등 국가에서 감소세를 보였으나, 일본 수입, 중국 수출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772만 9천 TEU를 기록하였다.
- 환적화물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859만 1천 TEU를 처리하였다.
 
○ 광양항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180만 1천 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화물은 1.3% 감소한 134만 4천 TEU를 기록하였으며, 환적화물은 13.5% 증가한 45만 7천 TEU를 처리하였다.
 
○ 인천항은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한 228만 5천 TEU를 기록하였다.
 
□ 비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총 7억 8,770만 톤으로 전년 동기(7억 9,095만 톤) 대비 0.4% 감소하였다. 광양항과 울산항은 증가세를 보인 반면, 인천항과 평택·당진항은 감소세를 보였다.
 
○ 광양항은 유류·철재?화공품 등의 수출입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하였다.
* 유류 수출입 8,928 → 9,481만톤(6.2%↑), 철재 수출입 898 → 945만톤(5.2%↑),화공품 수출입 508 → 674만톤(32.6%↑)
 
○ 울산항은 화공품 및 자동차 수출입 물동량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하였다.
* 화공품 수출입 2,138 → 2,340만톤(9.4%↑), 자동차 수출입 820 → 962(17.2%↑)
 
○ 반면, 인천항은 유류, 유연탄의 수입 물동량과 모래의 연안 입항 물동량이 줄어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하였다.
* 유류 수입 2,847 → 2,575만톤(9.6%↓), 유연탄 수입 1,147 → 1,110만톤(3.3%↓),모래 연안입항 518 → 0.5만톤(99.9%↓)
 
○ 평택·당진항은 유류 및 광석의 수출입 물동량이 줄어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하였다.
* 유류 수출입 2,214 → 1,888만톤(14.7%↓), 광석 수출입 1,611 → 1,596만톤(0.9%↓)
 
□ 품목별로 보면 철재류, 자동차, 유류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5%, 6.4%, 2.0% 증가한 반면, 유연탄은 6.1% 감소하였다.
 
○ 철재류는 평택·당진항, 부산항, 인천항 및 옥포항의 수입 물동량이 증가하였고, 목포항에서도 연안 물동량이 증가하였다.
* 평택 · 당진항 수입 266 → 312만톤(17.5%↑), 부산항 수입 243 → 285(17.6%↑), 인천항 수입 215 → 260만톤(21.2%↑), 옥포항 수입 142 → 289만톤(103.6%↑), 목포항 연안 출항 143 → 267만톤(86.8%↑)
 
○ 자동차는 울산항, 평택·당진항 등에서의 수출 물동량과 마산항의 수출입 물동량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하였다.
* 울산항 수출 776 → 873만톤(12.5%↑), 평택 · 당진항 수출 646 → 722만톤(11.8%↑), 인천항 수출 332 → 413만톤(24.1%↑), 마산항 수출입 206 →333만톤(61.7%↑)
 
○ 유류는 광양항 수출입 물동량과 대산항의 수출 물동량이 늘어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하였다.
* 광양항 수출입 8,928 → 9,481만톤(6.2%↑), 대산항 수출 1,030 → 1,155만톤(12.2%↑)
 
○ 반면, 유연탄의 경우 태안항과 보령항 등 주요 항만의 수입 물동량이 줄어 전년 동기 대비 6.1% 감소하였다.
* 태안항 수입 1,230 → 996만톤(19.1%↓), 보령항 수입 1,124 → 957만톤(14.9%↓), 대산항 수입 1,066 → 1,006만톤(5.6%↓), 인천항 수입 1,147 → 1,110만톤(3.3%↓)
 
 
첨부 :
191030(조간) 2019년 3분기 전국 항만 12억 1,525만 톤 물동량 처리(항만운영과, 항만물류기획과).hwp
 

 
※ 원문보기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신비하고 투명한 심해오징어‘ 등 해양생물 콘텐츠 수상작 선정
• 2019년 3분기 전국 항만 12억 1,525만 톤 물동량 처리
• 해수부, IOPC 추가기금 총회 의장 9년 연속 배출
(2019.10.29. 19:5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