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우리 수산물, 생산단계부터 더 안전하게 관리한다
‘2019년도 수산물 안전성조사 추진계획’이 2월 13일 농수산물품질관리심의회에서 최종 확정되었다.【어촌양식정책과 - 이상윤 (044-200-5622)】
- 해수부, 2019년도 수산물 안전성조사 계획 수립 -
 
‘2019년도 수산물 안전성조사 추진계획’이 2월 13일 농수산물품질관리심의회에서 최종 확정되었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올해 조사물량 * 확대와 함께 양식장 조사 체계를 마련하여 넙치양식장은 연 1회, 뱀장어 · 조피볼락 · 송어 · 미꾸라지 양식장은 3년 내 1회, 그 외 품종 양식장은 5년 내 1회 안전성조사를 실시한다. 이 외에도 패류독소 조사지점을 2018년 93개소에서 올해는 102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 (‘17년 계획) 12,500건 → (‘18년 계획) 13,000건 → (‘19년 계획) 13,500건
 
또한, 육상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연안과 하천 · 호소에서 어획되는 수산물에 대해 안전성조사를 실시하고, 양식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품에 대한 조사 빈도도 높여서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아울러, 항생물질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부적합 수산물에 대해서는 모든 항생물질의 잔류여부를 재조사하는 등 부적합 수산물 품종 및 항목 에 대해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안전성조사기관인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과 지자체는 매월 수산물 안전 성조사 결과를 공유하여 조사의 효율성 및 활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정복철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은 “국민들이 수산물을 안심하고 드실 수 있도록 안전성 조사를 철저히 하고, 앞으로도 안전한 수산물 생산 · 공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첨부 :
190215(조간) 우리 수산물, 생산단계부터 더 안전하게 관리한다(어촌양식정책과).hwp
 

 
※ 원문보기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한국, 책임 있는 남극조약의 파수꾼 임무 수행
• 우리 수산물, 생산단계부터 더 안전하게 관리한다
• 불법어업 신고 포상금 최대 600만 원으로 상향
(2019.10.10. 21:3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